한포진 관련해서는 국내 의학논문이 거의 없다. 한의학계에서 출간한 논문은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
개요
한포진이란?[!^1][!^2][!^3]
- 손바닥, 손가락 측면 또는 발바닥에 극심한 소양감, 열감, 소포성 발진을 나타내는 재발성 습진 피부질환 (vesiculobullous disorder of the hands and soles)
- 용어
- Dyshidrotic eczema
- Pompholyx
- “dyshidrosis(汗疱)”: 1873년에 땀샘의 장애로 손바닥, 발바닥에 발생한 수포질환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 졌으나, 땀샘이 발병기전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학
- 정확한 원인은 미상
- 한포진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인자
- 정서적 또는 신체적 스트레스, 아토피 피부염의 과거력, 금속 등의 알레르겐 접촉 등
- 면역글로불린 정맥주사, 다한증, 흡연, 자외선(UV) 노출 등
임상양상/진단
한포진의 진단은 손발바닥과 종종 손가락의 측면에 국한된 소수포에서 긴장된 대수포까지 깊은 병변의 임상소견과 극심한 소양감, 급성 발병, 재발 병력 등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 열감과 따가운 느낌 선행 가능
- 피부병변
intraepidermal spongiosis of the thick epidermis(accumulation of edema) -> small, tense, clear, fluid-filled vesicles on the lateral aspects of the fingers(large and form bullae 형성 가능)
deep-seated appearance(-> “tapioca pudding")
- 초기에는 투명한 소수포들이 무리지어 손바닥이나 손가락 측면에서 급격히 발생
- 손바닥과 발바닥은 일반적으로 대칭적으로 발생
- 경증의 경우 소포는 손가락의 측면에서만 발생
- 손가락의 배부에 발생할 경우에는 조갑이영양증 발생 가능
한포진 사진
- 심한 가려움증 동반 가능
- 재발을 잘하는 경향
- 2차 감염: 드묾. 심할 경우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2차감염이 발생 가능
치료
- 악화인자 회피: 우선적으로는 악화인자들이 회피 되어야 하며, 확인된 알레르기 항원이 있다면 피하도록 한다.
- Wet dressing: 발진이 심한 급성기에는 Burrow solution 등을 이용한 wet dressing을 주 3-4회 시행하는데, 대부분 발진은 며칠 내에 회복되며, 발진이 소실되면 중단한다.
- 약물요법
- 국소스테로이드
- 만성 습진성 병변으로 태선화된 경우에는 국소스테로이드제의 밀폐요법 시행 가능
- 국소칼시뉴린억제제
- 발진이 소실된 후 일차적으로 국소스테로이드제와 국소칼시뉴린억제제가 사용될 수 있다.
- 경구 스테로이드: 심한 경우 전신스테로이드의 단기간 사용 후 물집이 소실되면 tapering
- 항히스타민제: 동반된 가려움증 조절
- 항생제: 2차세균감염시 경구 및 국소 항생제 사용
- 국소스테로이드
<처방예시>
Ebastel tab. 10mg(Ebastine) 2T #2
Twolion tab. 10mg(Bepotastine) 2T #2
Solondo tab. 5mg(Prednisolone) 4T #2
Falexin cap. 500mg(Cephalexin) 2C #2
Stogar tab. 10mg(Lafutidine) 2T#2
Difuco oint 0.3% 10g(Diflucortolone) 1ea #1
참고자료
Lee GW, Jung YO. A Case Study on a Chronic Pompholyx Treated by SAAM Acupuncture. The Journal of Saam Acupuncture 2019;1(1):59-65
Park MY et al. A Clinical Case Report of Soyangin Patient with Dyshidrosis. J Sasang Constitut Med 2018;30(3):104-115
Calle Sarmiento PM, Chango Azanza JJ. Dyshidrotic Eczema: A Common Cause of Palmar Dermatitis. Cureus 2020;12(10):e10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