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자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 Overview


목차

약물의 종류

  • 1 st generation PPI
    • Omeprazole (1989년)
    • Lansoprazole(1995년)
    • Pantoprazole(1997년)
  • 2nd generation PPI
    • Rabeprazole(1999년)
    • Esomeprazole(S-enantiomer of omeprazole)(2001년)
    • Dexlansoprazole(2009년)
    • Novel proton pump inhibitors: Tenatoprazole, Ilaprazole 

 

 

 

기전 

이미지

  • 양성자 펌프
    • 수소-칼륨 교환 ATP효소(H+-K+ATPase).벽세포의 분비세로(secreting cannaliculi)에서 내강 측으로 약 3,000,000:1의 수소 이온 경사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수소이온과 칼륨이온을 교환하여 위산을 분비한다.
    • 위치: ① 위산 분비의 자극이 없는 경우: 양성자 펌프는 기저상태의 벽세포에 있는 세포질 내의 관소포(tubulovesicle)에 존재; ② 위산 자극이 있는 경우: 관소포가 미세융모의 형태로 분비세로에 융합하여 양성자 펌프가 세포의 첨측면으로 이동 
  • PPI: 위산 분비의 최종 단계인 벽세포의 분비세로의 양성자 펌프에 비가역적으로 결합 → 위산 분비 차단
  • PPI는 전구약물(prodrug)로 투여된다.
    • 전구약물의 형태로 벽세포 내로 이동 → 산성의 환경에서 활성화됨 → 전구 약물의 SH-기가 양성자 펌프의 cystein기와 이중-황 결합(disulfide bond) 형성 → 효소 억제작용 발휘
  • 작용시간이 느리다. 위산분비억제를 빠른 시간에 이루지 못하고, 최대효과를 기대하려면 5일 정도가 필요하다.
  • 비가역적으로 작용하지만 새로이 생성되는 양성자펌프를 막을 수는 없다.
  • 아침 식전 복용

 

 

 

약리 및 특성 

흡수/분포 이미지

  • PPI는 전구약물(prodrug)로 투여된다.
  • 위산에 불안정적
  • PPI는 모든 제제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 pKa: 약염기 - 오메프라졸/에소메프라졸/란소프라졸 약 4.0, 판토프라졸 3.9, 라베프라졸 5.0

 

 

대사

  • 소장에서 흡수 후에 빠르게 대사된다.
  • 반감기: 1∼1.5시간 정도

 

PPI의 pharmacokinetic properties

Agent

Bioavailability

Cmax

AUCO-24

Excretion

pKa

Omeprazole

45%

0.7

2.0

Renal

4.0

Lansoprazole

85%

0.5-1.10

2.5

Biliary

4.0

Rabeprazole

52%

0.4

0.8

Renal

5.0

Pantoprazole

77%

2.5

5.0

Renal

3.9

Esomeprazole

64%

1.5

4.3

Renal

4.0

Cf. ilaprazole은 pKa가 5.1로 알려져 있다.

 

  • cytochrome P450 (CYP) 대사
    • CYP 중에서 PPI 대사와 관련이 있는 것은 CYP2C19과 CYP3A4
    • CYP2C19의 다형성으로 인해 약물의 효과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데 인종 또는 개인에 따라 대사에 차이를 보인다.
      • extensive metabolizer (EM)
        • CYP2C19의 대사능이 강해 PPI를 손쉽게 분해한다. 
        • 아시아인의 약 30%
      • poor metabolizer (PM)
        • CYP2C19의 대사능이 약해 체내에 흡수된 PPI를 빠르게 분해하지 못한다. 
        • 아시아인의 약 50%
    • CYP2C19에 의해 주로 분해되는 약물: omeprazole, lansoprazole → EM에서 안정적인 효과를 보이지 못한다.
    • CYP2C19의 영향을 적게 받는 약물: rabeprazole → PM 및 EM에서 모두 안정적인 위산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 omeprazole이나 lansoprazole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 rabeprazole로 변경하는 것이 권장된다. 

 

 

작용

PPI의 활성화

  • PPI는 벽세포 내부 환경의 산성환경에 의해 활성화됨
  • 벽세포가 활성화되지 않은 공복 시 또는 다른 위산 억제제를 투여하는 경우 PPI의 활성도는 감소한다. 
  • 벽세포가 활성화되는 식사 시점의 직전에 하는 것이 최대 효과 → 일반적으로 아침 첫 식사 전 또는 식사와 함께 하는 것이 원칙
  • 1회 투여 시 억제되는 양성자 펌프는 충분치 않으며 5일간의 투여 후 약 80%의 양성자 펌프를 억제할 수 있다.
  • 적절한 수준의 위산억제에 도달하기 위하여 투약 시작 시점 2-3일간 하루 2회 투여를 하거나 또는 H2 수용체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PPI는 초회 투여 후 약효가 나타나기까지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 PPI는 산성 조건에서 활성화돼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으로 양성자 펌프에 결합해 이를 억제한다.

 omeprazole, lansoprazole 등

Rabeprazole

  • 낮은 pH에서 활성화된다.
  • 낮은 pH에서만 활성화될 경우 반복적으로 투여해야 비로소 안쪽에 위치하는 벽세포까지 억제시킬 수 있다.

 

  • 상대적으로 높은 pH에서도 활성화된다. 
  • 비교적 높은 pH에서도 활성화되므로 위샘의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한 벽세포를 초회 투여 시부터 동시에 억제시켜 빠른 약효 발휘

❶ 위샘의 바깥쪽, 상부에 위치한 벽세포는 낮은 pH의 위액을 분비하고 위샘의 안쪽에 위치한 벽세포는 상대적으로 높은 pH의 위액을 분비한다.

 

 

 

약물 상호 작용

  • 흔하지 않다.
  • Digoxin, ketoconazole: 위산이 억제된 상태에서 경구 투여 후 흡수율이 저하하므로 digoxin level의 강하 및 ketoconazole의 혈중 농도 불충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PPI의 약물의 대사 간의 cytochrome p450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통된 대사과정을 가지는 warfarin, diazepam, phenytoin의 투여 시 약물의 대사 감소로 인한 혈중 농도 상승에 유의하여야 한다.
  • 최근의 연구에서 항혈소판 제제인 clopidogrel과 PPI 간의 cytochrome p450에 의해 서로 경쟁적으로 대사됨에 따라 clopidogrel의 효과가 PPI의 투여에 의해 저하되는 것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내성과 반동

  • 약물 투여 후 발생하는 내성에 대한 보고는 없다.
  • 약물의 투여 중단 후 고가스트린 혈증과 유도된 위산 분비 샘의 증가에 따른 위산 분비의 증가는 약 2주간 지속되고 이후 정상화된다.
  •  PPI에 대한 내성은 관찰되지 않으며 약제를 중단한 후 2일까지 위산 억제 효과가 지속된 후 중단 후 14일에 기저 위산 분비와 최대 위산 분비는 모두 증가하여 약 2개월간 지속된다.

 

 

 

이상반응

  • PPI에 의한 이상반응은 매우 드물지만 설사와 두통은 비교적 흔히 발생된다.
    • 고가스트린혈증
      • PPI에 의한 고가스트린 혈증은 동물 실험과는 달리 사람에서 유암종의 발생이 증명된 바는 없다.
      • 다만 위저샘의 증식 용종증이 드물게 발생하지만 투약을 중단한 뒤 소실된다.
      • 고가스트린 혈증은 약물의 중단 후 4주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온다.
    • 골다공증/골절
      • PPI를 장기간 사용할 때 골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
        1. 소장에서의 칼슘 흡수율↓ → 골밀도↓
        2. PPI에 의해 파골세포(osteoclast)의 프로톤 펌프의 억제로 골대사에 영향
        3. 비타민 B12이 부족하여 조골세포(osteoblast)의 활성도에 영향
        4. PPI에 의한 고가스트린혈증 → 부갑상샘 과형성 → 부갑상샘호르몬↑ → 골밀도↓
      • 미국FDA(2010년): PPI를 장기간 사용할 때 고관절의 골절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환자에게 설명할 것을 권고
      • 현재까지는 장기간 PPI 투여 시, 고령이나, 스테로이드 투여, 만성 음주/흡연, 골다공증의 고위험군에서는 PPI의 장기간 사용에 주의를 기울이고, 증상을 조절할 최소량의 PPI를 사용하고 필요시 골밀도 검사 등을 시행하여 수용성 칼슘제제나 비타민 D 등을 같이 투여하는 것도 고려해본다. 
      • 젊고 건강한 일반인에서는 장기간의 PPI 사용이 골절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아직 명확한 결론을 얻지 못하고 있다.
    • 비타민/미네랄 흡수장애
      • 비타민 B12
        • PPI에 의한 장기간 저산증 → 음식물에 포함된 비타민 B12가 단백질에서 분리되는 과정 저해; 소장 내 세균 과증식 등에 의한 비타민 B12 흡수 저하
        • 비타민 B12의 부족으로 인해 빈혈이나 신경병증 등의 임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거의 없다.
      • 저마그네슘혈증
        • 드물지만 심각한 증상(근육경련, 감각저하, 전신쇠약감, 정신혼란 등)
        • PPI 중단 시 1-2주 내에 회복; 대개 경구 마그네슘염 보충으로 회복
        • 미국 FDA(2011년): 안정성 경고 
        • 다음과 같은 경우 장기간 PPI를 사용하는 경우 마그네슘 측정 고려
          • 임상적으로 고령, 이뇨제 복용자, digoxin 복용자,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이전에 장절제술을 받은 경우 등
    • 위장관계 감염 증가
      • C. difficile 관련 위장관 감염: 지속적인 저산증에 의해 Clostridium difficile은 발육형태로 보다 쉽게 위장관 내에서 증식
      • 세균성 장염: Salmonella, Campylobacter

 

 

 

투여방법

Acid-related disorders의 치료에 있어서 권장되는 PPI용량

 

peptic ulcer의 치료/유지요법

NSAID-induced ulcers의 예방

Erosive or non-erosive GERD의 치료

omeprazole

20mg

Peptic ulcer의 치료/유지요법과 동일

20mg daily or 20mg twice daily

lansoprazole

30mg

30mg daily or 20mg twice daily

rabeprazole

20mg

20mg daily or 20mg twice daily

Pantoprazole

40mg

40mg daily or 20mg twice daily

Esomeprazole

40mg

20mg or 40mg daily

비고

  • 모두 아침식사 전에 1회투여
  • 모두 아침식사 전에 1회 투여
  • 하루 2회째 투여가 필요한 경우는 저녁식사 전에 투여해야 함


참고자료

  • Cheung DY, Jung H-Y, Song HJ, et al. Guidelines of Treatment for Non-bleeding Peptic Ulcer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5):285.
  • Oh JW. Pharmacological Therapy of Peptic Ulcer.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4;14:13-17
  • Ryu HS, Chei SC. Drug therapy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ood treatment strategies in Korea and recently developed drugs. Korean J Med 78:155-162, 2010
  • Jo YJ. Proton Pump Inhibitor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telligent Prescription. Korean J Med 2013;84:186-195
 
 
PC
화면
메모
+

제2회 실전 임상진료아카데미


약처방의 달인되기: 일차진료에서의 약처방의 정석
  • 일시: 2025.02.08(토) 18:00-22:00
  • 장소: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53길 8 B2F 한국컨퍼런스센터 대강당
  • 대상: 의사, 의대생
  • 강사: 김종률, 박진용, 손정식, 안상현, 이상봉
  • 주최: 대한임상진료학회
  • 후원: 바른의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