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staglandin: 개요
prostagladin이란?
- 다양한 조직에서 eicosanoid 분포는 조직에서 prostaglandin 합성에 관여하는 여러 다른 효소 (PG 합성효소)들의 발현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 프로스타글란딘계(prostanoid): 여러 종류의 prostagladin과 thromboxanes을 포함하는 개념
-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과 같은 C20 불포화 지방산의 cyclooxygenase의 대사물(다양한 세포들의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여 생성) → 생성된 후 즉시 분비 → 국소항상성(local homeostasis) 유지 물질을 생성하기 위한 주위 물질로서 작용
(cf. COX-3: COX-1의 변형체로 뇌와 심장에 대부분 발현)
|
종류 | 합성장소 | 주요 기능 | 주요 약물 | |||||
평활근 | 혈소판 | 신장 | 생식기관 | 신경계 | 염증/면역/기타 | |||
PGD2 |
|
|
|
|
|
|
|
|
PGE1 |
|
|
|
|
|
|
→ 위장관 세포보호작용
|
|
PGE2 |
|
|
|
|
|
|
|
|
PGF2a |
|
|
|
|
|
|
| PGF2a 유도체: 녹내장의 치료
|
PGI2 |
|
|
|
|
|
|
|
|
TXA2 |
|
|
|
|
|
|
|
|
주요 작용
- 다음과 같은 기관에 주요 효과를 나타낸다.
- 평활근: 혈관, 기도, 위장관, 생식기 nerve endings
- 중추신경계: autonomic presynaptic nerve terminals, sensory
- 혈소판, monocyte
- 내분비 기관
- 지방조직(adipose tissue)
- 콩팥
- 눈
혈관/응고
종류 | 작용 | 관련 약물 | ||
혈관평활근 | 혈관내피세포 | 혈소판 | ||
PGD2 | 혈관확장 |
|
|
|
PGE1 |
|
|
|
|
PGE2 | 혈관확장 |
|
|
|
PGF2a | 혈관수축 |
|
|
|
PGH2 | 혈관수축 |
|
|
|
PGI2 | 혈관수축 | 응집억제 |
|
|
TXA2 | 혈관수축 |
| 응집촉진 |
|
생식기
종류 | 작용 | 관련 약물 | ||
여성생식기 | 남성생식기 | |||
자궁 | 자궁경부 | |||
PGE1❶ |
|
| 발기 | alprostadil❷ |
PGE2 | 자궁수축(낮은 농도) 자궁이완(높은 농도) | Cervical ripening |
|
|
PGF2a | 자궁수축 |
|
|
|
TXA2 | 자궁수축 |
|
|
|
❶ PGE1: 정낭, 해면조직, 태반, 태아의 동맥관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된다.
❷ alprostadil의 국소 투여(요도 또는 해면체 내) 시 성교에 적합한 발기 유발: cAMP 증가 → protein kinase활성화 → 평활근 이완
위장관
종류 | 작용 | 관련 약물 |
PGE1 |
| Misoprostol(PGE1 유사체) |
PGE2 |
|
|
호흡기
| 작용 | 관련 약물 | |
기관지 | 폐혈관 | ||
PGE2 | 기관지 확장 |
|
|
PGF2a | 기관지수축 |
|
|
PGI2 | 기관지 확장 | 폐혈관확장 | iloprost(폐혈관확장) |
TXA2 | 기관지 수축 |
|
|
LT | 기관지 수축 |
|
|
콩팥
- PGE2, PGI2 > PGF2a, TXA2
종류 | 콩팥혈관 | 세뇨관(tubule) | 관련 약물 |
PGE2 | ↑RBF |
|
|
PGI2 |
|
PgE2, PgI2 | |
▼ | ▼ |
콩팥혈관확장(renal vasodilatation) | Tubule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 |
▼ | ▼ |
|
|
눈
| 작용 | 관련 약물 |
PGE |
|
|
PGF2a |
|
기타
- CNS: neurotransmitter
Prostaglandin: Prostaglandin analog
Prostaglandin E1 | Prostaglandin I2 | Prostaglandin F2 | Prostaglandin E2 |
|
|
|
|
Prostaglandin E1 analog
- Misoprostol
- PGE1 유사체
- 효과
- 위 내의 벽세포의 prostaglandin 수용체와 상호작용 → 위산분비 억제
- 점액과 중조생산 촉진 → 위장관 세포보호작용
Cf. 고용량: 위산분비 - 자궁수축
- 치료용도: 1) NSAID에 의한 소화궤양 예방; 2) 유산약
- lubirpostone: PGE1: 장 내 내강세포에서 염소이온통로(CIC-2)를 촉진 → 장액분비 증가
Prostaglandin E2 analog
- butaporst
- dinoprostone, metenprost, sulprostone
- 폐동맥고혈압 치료에 사용
- 인공유산(induced abortion)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제
Prostaglandin I2 analog
- Epoprostenol(IV)
- iloprost
- treprostinil
- Prostacyclin 또는 PGI2의 합성유사체
- 내피세포에서 천연적으로 생성된 prostaglandin의 효과를 나타낸다.
- 매우 강력한 폐혈관확장제
- 치료용도: 폐동맥고혈압
참고자료
[Prostaglandin: 개요]
- Ricciotti E, FitzGerald GA. Prostaglandins and Inflammation.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11;31(5):986–1000.
- Kim JK. Prostaglandin E2 Receptors on Upper Respiratory Tract.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52(7):553–9.
- Ji JD, M.D, Lee YH, M.D, Song GG, M.D. Prostaglandin E2 (PGE2): Roles in Immune Responses and Inflammation. 2004;11(4):307–16.
- Lee SK, Kim MG, Kim YR, Hong SH, Park YJ, Ji IW, Jeong EH, Kim HS. A Preliminary Comparison of Efficacy of Intravaginal Misoprostol with Intravenous Sulprostone for Termination of Second-Trimester Pregnancy. Korean J Obstet Gynecol. 2006 Feb;49(2):309-314
- Yoon HS, Yoo JY, Chun KM, Yoon H. Clinical Effects of Cycloxygenase-2 Inhibitor on Nocturia. J Korean Continence Soc 2009;13:67-72
- Kim TH, Kim YS, Myung SC, Lee SW, Won EH, Kim TH. The Effects of Selective Cyclooxygenase-2 Inhibitor and Prostaglandin E 2 Receptor Agonists on the Endothelin Axis of Prostate Cancer Cells. Korean Journal of Urology 2006;47(2):195.
[Prostaglandin: Prostaglandin analog]
- 한국약학교육협의회 약물학분과회. 약물학 3판(2015). 17장, 18장
- Golan의 약리학: 약물요법의 병태생리학적 기초. 3판(2012). 46장
- Kim JK, Moon JP, Kim YB, Ji IW, Jeong EH, Kim HS. A comparison of Clinical Efficacy of Intravaginal Misoprostol with Intravenous Sulprostone for Termination of Second-Trimester Pregnancy. Korean J Obstet Gynecol. 2002 Dec;45(12):2167-2171
- Kim C, Park YB. Pharmacotherapy for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12):1299.
- Lee S-E, Chang H-J. Updates on the Treatment of Pulmonary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3;84(3):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