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돌발두위현훈(BPPV): 개요


목차

정의

  • 두위나 자세변환에 의해 짧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회전성 어지럼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 어지럼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질환

 

 

 

병태생리

발생기전

  • 타원낭(utricle)의 평형반(macula)에 정상적으로 있는 이석(otolith)이 변성되면서 생긴 부스러기들이 반고리관으로 들어가거나 팽대마루(cupula)에 달라붙음 → 두위나 체위변환에 의해 반고리관 내에서 이동하거나 팽대부를 굴곡시켜 팽대부 흥분자극 유발 → 어지럼 발생

 

 

유발원인: 대부분 특별한 유발원인을 찾을 수 없음

 

 

 

유형

  • BPPV는 증상이 어느 반고리관에서 발생하느냐에 따라 전, 후, 수평반고리관성으로 분류

후반고리관성 BPPV (PV-BPPV)

수평반고리관성 BPPV (HC-BPPV)

전반고리관성 BPPV (AC-BPPV)

  • 60-89%
  • 5.1-31.9
  • 0.5-5%
  • 일반적으로 BPPV 중 가장 흔한 유형
  • 안진 유발수기: Dix-Hallpike 수기
  • 안진 양상: 상향-회전성 안진
  • PC-BPPV 에서보다 잠복기가 짧고 지속시간이 더 길면서 피로도는 적은 양상을 보임

 

 

  • 수평반고리관성 BPPV (HC-BPPV)는 안진의 방향에 따라 지향성(향지성, geotropic) BPPV과 천향성(원지성, apogeotropic) BPPV으로 나눌 수 있음 

 

지향성(향지성, geotropic) BPPV

천향성(원지성, apogeotropic) BPPV

유발기전

  • 변성된 이석 부스러기 → 수평반고리관으로 유입, 내림프액 안에 위치 → 머리 움직임에 의해 관내에서 이동하면서(부스러기가 가라앉으면서) 내림프액의 흐름을 유발(canalolithiasis)
  • 이석 부스러기 → 수평반고리관의 팽대마루에 달라 붙어 수평판고리관의 앞쪽에 위치하여 발생(cupulolithiasis)(내림프액 안에 떠 다니는 것이 아님)

안진의 특징

  • 고개를 옆으로 돌릴 때, 지면을 향하는 안진이 약간의 잠복기를 두고 발생, 1분 이내로 지속
  • 병변 쪽으로 고개를 돌릴 때 안진과 현훈이 더 강하게 발생
  • 고개를 옆으로 돌릴 때 하늘을 향하는 수평 안진이 잠복기 없이 발생
  • 고개를 돌리고 있는 동안에는 지속되는 양상

 

참고자료

  • Von Brevern M, Radtke A, Lezius F, et al. Epidemiology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a population based stud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 2007;78(7):710–5. 
  • Byun JY, Ryu EW. Diagnosis and Treatment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2010;9(suppl 1):S55–S64. 
  • Lee S-H, Kim JS.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8;51(11):984. 
  • Shim DB.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Diagnostic Criteria and Updated Practice Guideline in Diagnosis. Res Vestib Sci 2020;19(4):111-119
PC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