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족골 골절
- 대개 전위가 경미하며 보존적 치료
제5 중족골 기저부 골절
제 5 중족골(5th metatarsal)에 생기는 병변
|
- 중족골 골절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골절
Jones 골절은 1902년 Sir Robert Jones 가 본인이 직접 제 5 중족골 골절을 입은 것을 보고한 것이 최초 |
손상 기전
- 직접적 타박이 아닌 Indirect force에 의해 발생
즉, 발목을 접질리게 될 때(varus, inward force, inversion) 비골단건(peroneus brevis)의 힘에 의해 발생한다.
분류
1960년 Stewart | 제4-5중족골간의 연접한 관절면에 골절선이 위치하는 경우를 "Joens fracture" 로 명명 |
▼ |
|
1975년 Dameron | 간부와 기저부 사이에 생긴 골절은 잘 붙지 않는 경우가 있고 뼈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있음을 보고 |
▼ |
|
1984년 Torg | 골절이 되기전 전구증상, 불편감을 가지고 있다가 급성골절을 일으키는 형태를 보고하면서 "proximal diaphysis fracture"를 Jones 골절로 재명명 |
▼ |
|
1993, Lawrence and Botte's classification | 3가지 Zone에 따라 명명 |
Lawrence 분류: 골절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분류
|
제 5중족골기저부 골절 중 제 I구역 골절이 93% 정도를 차지하며, 제 II구역 골절이 약 4%, 그리고 제 III구역 골절이 3% 정도를 차지한다.
- Zone 1, 2 간 예후의 차이가 없어서, 예후에 따라 2가지 분류법으로 나누기도 함. 다시 말해 제5중족골 기저부에 생기는 골절은 보통 두가지 형태로 발생
- 견열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골절(Zone 1,2 골절)
- 계속되는 하중의 부하가 쌓여서 발생하는 골절(Zone 3 골절)
Zone 1,2 골절(존스골절, 기저부 견열골절) | ↔ | Zone 3 골절(스트레스 골절) |
|
|
|
진단
비부골(os peroneum), 베자리우스 부골(os vesalianum)과 감별진단해야 한다.
치료
일반원칙 | |||||||
| |||||||
▼ | ▼ | ||||||
보존적 치료 | 수술적 치료 | ||||||
|
|
제2 중족골
- 피로 골절이 자주 발생, 보존적 치료
참고자료
- Lee K-T, Park Y-U, JeGal H, Kim J-B. Fifth Metatarsal Stress Fracture.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2012;16(2):87–93.
- Choi Y-N, Choi Y-R, Seo J-H, Lee H-S, Kim S-W, Jeong J-J. Results of Non-Operative Treatment of the Zone I, II Fifth Metatarsal Base Fracture.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2011;15(4):207–11.
- Lee JY, Ha SH, Yu JW, Lee SH, Nam KY, Song KC. Percutaneous Cannulated Screw Fixation of Fifth Proximal Metatarsal Stress Fracture in Athletes.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1;29(1):21–5.
- Kim J, Kim JW, Lee JI, Kim SK, Rhee SH. Surgical Treatment of the Fifth Metatarsal Base Fracture Using Multiple Kirschner Wires.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2014;18(1):24–8.
- Bica D, Sprouse RA, Armen J.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mmon Foot Fractures. afp 2016;93(3):18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