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달 연골 손상(Meniscus Injury)


목차

개요

해부학: 반달 연골

  • 내, 외측 대퇴-경골 관절 사이에 위치한 섬유 연골 조직(fibrocartilagenous tissue)으로 이루어진 구조물
  • 단면은 쐐기 모양으로 상방은 오목하고, 하방은 편평하거나 볼록
  • 기능: 체중 전달, 관절 연골 보호, 윤활기능, 충격흡수, 전방 십자 인대에 수동 안정성 등

반달 연골판의 파열은 관절경 수술의 가장 흔한 대상 질환이다.

 

 

분류

  • 기본형: 종파열(longitudinal tear), 횡파열(transverse tear), 수평파열(horizontal cleavage)
  • 복합형: 주변의 박리, 하면 파열 등
  • 손상의 양상에 따른 분류: 퇴행 파열, 판상 파열(flap tear), 앵무새 주둥이형 파열(parrot-beak tear), 도우너트형 파열(doughnut tear),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bucket handle tear)

 

 

 

진단

  • 관절선의 통증과 소리가 나거나 걸리는 느낌, 잠김 같은 기계적 증상 호소
  • McMurray 검사는 앙와위에서 무릎을 굴곡 시키고, 신전 시키면서 회전시키는 동안 통증이나 클릭 등의 발생을 알아보는 검사
  • 반달 연골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MRI를 통해 정확한 진단 가능

 

 

증상/병력

  • 통증/압통, 운동 제한, 잠김(locking), 불안정(giving way), 대퇴 사두근 위축 등
  • 전형적으로 호소하는 증상: 통증 + 기계적인 증상(무릎이 어긋나는 느낌, 잠기는 증상(locking) 등)

 

통증/압통

  • 급성기 극심한 통증 호소(관절 내 출혈, 삼출액 증가 등) 
  • 통증발생기전: 연골판 자체의 대부분은 통증 신경 말단이 없지만 파열에 의하여 관절 내로 전위, 관절 사이에 끼거나 과도한 움직임이 생기면 통증 신경이 많이 분포한 인접 활액막에 자극이 생겨 통증 유발
  • 압통: 관절 간격을 따라 손상부에 일치하여 발생 

 

운동 장애

  • 수상 직후에는 통증, 종창으로 인해 정상적인 보행 불가능
  • 보행시 이상음(abnormal sound) 동반 가능. 신전 제한은 반달 연골 손상에서 특징적인 소견

 

잠김(locking)

  • 슬관절 운동 중 굴곡위 어느 시점에서 갑자기 굴신에 장애가 오는 증상
  • 발생기전: 단열된 연골편이 이차성 전위로 관절 면 사이에 감금을 일으키기 때문
  • 큰 연골편을 가진 손상에서 흔히 발생. 증상 출현과 소실 모두가 순간적인 것이 특징적
  • 흔히 반달 연골의 후각부 손상에서 발생하며 불안정 슬관절의 원인 중 하나

 

불안정(giving way)

  • 자갈길을 걸을 때, 계단을 내려갈 때, 뛰어 내릴 때 등의 동작에서 슬관절이 안정성을 잃고 갑자기 무력해지는 현상

 

대퇴 사두근 위축

  • 수상 후 시일이 경과하면 대퇴 사두근 위축 발생
  • 대퇴 사두근 중 특히 내광근 위축 현저

 

 

신체검사

수동적인 굴곡, 신전 검사, 관절선의 압통 여부를 검사해야 한다. 

  • 관절면의 압통(joint line tenderness)과 유발 검사인 McMurray 검사가 대표적

 

관절면 압통(joint line tenderness)

가장 중요하고도 쉬운 검사이다. 위도 아니고 아래도 아니고 딱 반달연골 자리를 눌러 보아 압통이 있는 것을 확인한다.

 

> Dr. 김지형의 코멘트

평소 무릎을 만지면서 관절면이 어딘지 확인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후각부에 파열이 있어도 앞쪽에 눌러 보면 압통이 있습니다. 환자는 아픈 곳이 어디인지 잘 모를 수 있으므로 관절면, 관절면 바로 위와 아래 뼈 부분, 내측과 외측, 양쪽 다리 전체를 비교해 보면 좀 더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그 부위가 확실히 아프다고 말해 줍니다.

 

McMurray 검사

> Dr. 김지형의 코멘트

다리를 비틀어 파열된 연골을 자극하는 방법입니다. 환자의 발목이나 발뒤꿈치를 잡고 무릎을 돌리고(회전시키고) 굽히고 펴는 동작을 합니다. 이때 다른 손을 무릎 관절면에 대고 click을 느끼고 통증이 있는지 환자에게 물어봅니다. 이것은 반달 연골 파열을 진단하는 좋은 검사로 통증 없이 click만 있다면 일단 차트에 기록하되 반달 연골 파열이 아닐 가능성을 염두에 둡니다. 반달 연골은 내측과 외측, 후각, 전각을 가리지 않고 파열될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내측 반달 연골 후각부를 접하게 될 가능성이 많을 것 같습니다.

 

  • 검사방법: 환자를 앙와위 자세에서, 슬관절의 최대 굴곡 상태로 족관절부 또는 발꿈치를 잡고 회전시키면서 서서히 신전시킴
    • 검사(+): 신전할 때 통증과 마찰음이 나오는 경우
    • 단점: 반달 연골의 후각부 손상에서 잘 발견되나 이외의 파열은 나타나지 않음

이미지

Apley test-Distraction/Compression

이미지


 

영상검사

> Dr. 김지형의 코멘트

저의 경우 노인에서는 MRI 검사보다도 신체검사를 더 신뢰하며,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검사는 시간입니다. 급하게 통증이 시작되었다고 하면 좀 시간을 갖고 기다렸을 때 좋아지는 경우가 있어 기존의 퇴행 관절염이 최근의 운동이나 동작으로 다소 악화된 것으로 간주, 1~2주 정도 기다립니다. 그러다가 통증이 지속되고 관절면에 압통이 있다면 MRI를 찍거나 합니다. 또한 젊은 사람의 경우도 신체검사가 일치하지 않는다면(관절 면 압통은 있는데, McMurray는 정상 또는 그 반대) 시간이라는 검사법을 동원해 2주 정도 기다려 봅니다. 성인의 반달 연골 파열은 저절로 아물지 않으며 파열이 점차 진행되기 때문에 기다린다고 좋아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직장 문제 등으로 빨리 결론을 내야 하는 젊은 환자라면 임상적으로 의심될 때 바로 MRI를 찍어 볼 수도 있겠지요. 젊은 사람일수록 MRI의 진단 가치는 올라가니까요.

 

 

 

치료

일반원칙 

  • 중년 이후에 특별한 외상이 없이 발견된 반달 연골 파열의 경우, 기계적인 증상의 유무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데 중요

 ▼

보존적 치료

수술적 치료

  • 안정, 소염제가 효과적
  • 급성 증상이 사라진 후 점진적 관절 운동으로 기능 회복 도모: 대퇴사두근력을 유지하고 근 위축을 예방하기 위한 수축 훈련을 적극적으로 실시
  • 적응증
    1. 일상 생활이나 경기에 지장을 주는 슬관절통
    2. 잠김 또는 불안정이 자주 일어나는 경우
    3. 정복되지 않는 잠김
    4. 지속적인 신전 제한 등
  • 수술방법: 관절경하 봉합술, 절제술 등

 


재활치료원칙

 

  • 재활치료원칙: 조기 체중부하/보행, 적극적인 근력강화운동, 관절가동운동 시행
  • 재활치료 흐름:
    1. 수술 당일부터 슬관절 신전근의 등척성 운동, 하지 직거상 운동, 족관절의 관절가동운동, 능동적인 슬관절 가동운동 실시 
    2. 수술 후 2주째 일상생활의 복귀를 포함한 보행훈련 실시
    3. 피벗동작, 해당스포츠에 특화된 동작을 위한 훈련 및 신경근재교육을 위한 재활치료 실시

 

참고자료

  • Wang JH, Jeong JS, Park WH. Orthopedic disease and sports medicine related to lower limb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7):715.
  • Kim HS, Yun DH. Rehabilitation of Sports-related Knee Injury.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1):77–83.
  • Kwon SK, Chang CB. Differential Diagnosis of Knee Pain Commonly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2007;14(3):185.
  • Choi N-H, Oh J-S. Management of Meniscal Injury: Repair, Meniscectomy, and Transplantation. J Korean Orthop Assoc 2012;47(3):165.
  • Shiraev T, Anderson S, Hope N. Meniscal tear: Present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Australian family physician 2012;41:182–7.
  • Beaufils P, Pujol N. Management of traumatic meniscal tear and degenerative meniscal lesions. Save the meniscus. Orthop Traumatol Surg Res 2017;103(8S):S237–44.
  • Beaufils P, Pujol N. Meniscal repair: Technique. Orthop Traumatol Surg Res 2018;104(1S):S137–45.
  • Fox AJS, Wanivenhaus F, Burge AJ, Warren RF, Rodeo SA. The human meniscus: a review of anatomy, function, injury, and advances in treatment. Clin Anat 2015;28(2):269–87.
  • Mordecai SC, Al-Hadithy N, Ware HE, Gupte CM. Treatment of meniscal tears: An evidence based approach. World J Orthop 2014;5(3):233–41.
PC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