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 전자간 골절(Intertrochanteric Fracture)


목차

개요

  • 임상적 의의
  • 대퇴 경부 골절보다 더 노령층에서 발생
  • 동반 질환의 수가 많고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40% 정도만이 병전 보행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 

 

 

손상 기전

  • 젊은 환자: 교통사고나 추락과 같은 고에너지 손상으로 발생
  • 노령: 대부분 단순 낙상으로 발생
  • 직접적인 외력: 넘어지면서 대전자 외측이나 후방에 가해지는 외력
  • 간접적인 외력: 추락 또는 발이 걸려 넘어지면서 회전이 강요될 때 소전자부의 장요근(iliopsoas)과 대전자부의 외전근(abductor)의 상반된 근육의 작용으로 발생되는 외력

 

 

 

진단

단순 X선

  • Hip AP, translateral view
  • Femur AP, lateral view
  • Pelvis AP

 

 

기타: MRI, bone scan

  • 골절이 의심되나 단순 방사선 사진상 분명치 않은 경우 유용

 

 

 

분류

Boyd와 Griffin분류

  • 제1형: 대전자에서 소전자를 따라 골절된 경우 → 정복 및 유지 용이
  • 제2형: 주 골절 선이 전자간을 지나고 분쇄가 있는 경우 → 정복 용이
  • 제3형
    • 기본적으로 전자하 골절
    • 적어도 하나의 골절선은 소전자 직하를 지나며 정복도 어렵고 수술시나 수술 후에도 합병증이 많이 생길 수 있음
  •  제4형
    • 전자부와 대퇴골 근위부를 침범하며 적어도 2개의 평면상에 골절 선이 있음 
    • 정복을 시행할 때에는 나선형, 사상형 및 나비형 골절이 근위부에 있어 이를 고정하여야 함

 

 

Evans classification: 안정성 여부에 따른 분류

  • 골절 형태의 안정성과 불안정한 골절 형태의 안정된 정복의 가능성에 의해 분류

이미지

안정성 골절

  • 후내방 피질은 완전하게 남아있거나 약간의 분쇄골절만 있어 안정된 정복이 가능한 경우
  • AO분류: A1, A2.1

불안정성 골절

  • 후내방 피질의 분쇄가 심한 경우, 전자하로 골절이 연장된 경우, 역경사 골절 형태인 경우
  • AO분류: A2.2, A2.3, A3형

 

 

AO분류

  • 골절선의 숫자와 방향에 기초를 두어 분류하여 전위 정도를 표시하지 못하는 제한
  • A1 /A2.1: 안정된 정복이 가능한 안정형 골절
  • A2.2, A2.3, A3형: 불안정형 골절

A1골절: 내측 피질골의 유지가 양호한 단순 이분골절

A2골절: 외측 피질골은 손상되지 않고 여러 위치에서 내측 및 후방 피질골 손상을 동반한 다분절 골절

A3골절: 외측 피질 또한 손상된 골절(역경사 골절형태)

이미지


 

 

치료

일반 원칙

  • 대퇴 경부 골절과 비슷
  • 가능한 빠른 수술적 치료 시행: 견고한 내고정 → 통증조절을 통한 조기 거동, 체중 부하 시행 → 합병증 예방: 욕창, 폐렴, 요로 감염 등
  • 고정물 실패 가능성 최소화
  • 환자의 불안정한 전신상태를 수술 전 최대한 교정할 것
  • 정맥 혈전증의 발생 예방, 조치

비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

  • 적응증
    1. 마취 및 수술 자체의 위험이 더 큰 경우로 사망이 임박한 환자
    2. 병전 보행 불가능하면서 수술에 절대적인 금기인 경우
  • 위 경우 8주 동안 비체중 부하
  • 적응증
    1. 전위성 골절
    2. 대부분의 비전위성 골절
  • 수술방법: 대부분 내고정 시행 가능: 압박 고 나사, 골수내 고정
  • 고관절 치환술 적응증
    1. 무혈성 괴사,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등으로 인한 심한 관절의 손상이 수상 전부터 있었던 경우 
    2. 분쇄가 심한 경우
    3. 전위된 대퇴 경부골절이 동반된 경우
    4. 골다공증 등으로 인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불가능한 경우

 

참고자료

  • Kim J-O, Kim T-H. Surgical Treatment of Femur Intertrochanteric and Subtrochanteric Fracture. The Journal of the Korean Hip Society 2010;22(1):1–12.
  • Bhandari M, Swiontkowski M. Management of Acute Hip Fracture. N Engl J Med 2017;377(21):2053–62.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