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 임상적 의의
- 대퇴 경부 골절보다 더 노령층에서 발생
- 동반 질환의 수가 많고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40% 정도만이 병전 보행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
손상 기전
- 젊은 환자: 교통사고나 추락과 같은 고에너지 손상으로 발생
- 노령: 대부분 단순 낙상으로 발생
|
진단
단순 X선
- Hip AP, translateral view
- Femur AP, lateral view
- Pelvis AP
기타: MRI, bone scan
- 골절이 의심되나 단순 방사선 사진상 분명치 않은 경우 유용
분류
Boyd와 Griffin분류
- 제1형: 대전자에서 소전자를 따라 골절된 경우 → 정복 및 유지 용이
- 제2형: 주 골절 선이 전자간을 지나고 분쇄가 있는 경우 → 정복 용이
- 제3형
- 기본적으로 전자하 골절
- 적어도 하나의 골절선은 소전자 직하를 지나며 정복도 어렵고 수술시나 수술 후에도 합병증이 많이 생길 수 있음
- 제4형
- 전자부와 대퇴골 근위부를 침범하며 적어도 2개의 평면상에 골절 선이 있음
- 정복을 시행할 때에는 나선형, 사상형 및 나비형 골절이 근위부에 있어 이를 고정하여야 함
Evans classification: 안정성 여부에 따른 분류
- 골절 형태의 안정성과 불안정한 골절 형태의 안정된 정복의 가능성에 의해 분류
안정성 골절
불안정성 골절
|
AO분류
- 골절선의 숫자와 방향에 기초를 두어 분류하여 전위 정도를 표시하지 못하는 제한
- A1 /A2.1: 안정된 정복이 가능한 안정형 골절
- A2.2, A2.3, A3형: 불안정형 골절
A1골절: 내측 피질골의 유지가 양호한 단순 이분골절 A2골절: 외측 피질골은 손상되지 않고 여러 위치에서 내측 및 후방 피질골 손상을 동반한 다분절 골절 A3골절: 외측 피질 또한 손상된 골절(역경사 골절형태) |
치료
일반 원칙 | |
| |
▼ | ▼ |
비수술적 치료 | 수술적 치료 |
|
|
참고자료
- Kim J-O, Kim T-H. Surgical Treatment of Femur Intertrochanteric and Subtrochanteric Fracture. The Journal of the Korean Hip Society 2010;22(1):1–12.
- Bhandari M, Swiontkowski M. Management of Acute Hip Fracture. N Engl J Med 2017;377(21):205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