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반골 골절(Pelvic Fractures)


목차

개요

손상기전

  • 주로 고 에너지 외상에 의해 발생
  • 신체 다른 부위에 생명에 위급한 동반손상이 흔함 → 복부, 두부, 흉부 등
  • 사망률이 높은 손상으로 진단 및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자주 있음

 

 

임상양상

회음부 구조물 손상

  • 골반골이 골절되면서 요도, 질, 직장 등 회음부 구조물의 손상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염두에 두고 진찰 및 처치 해야 함
  •  개방창이 있는지, 감각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수지 직장 검사로 전립선의 위치와 괄약근의 톤을 평가
  • 개방창이 없더라도 혈액이 관찰되는 경우 요도나 질, 직장의 손상을 의심하여야 하고, 요도 입구에 혈액이 관찰될 경우 도뇨관 삽입전에 역행성 요도조영술이 필요할 수 있음
  • 직장 손상이 동반된 경우 감염에 이어 패혈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응급 colostomy를 요함
  • 골절 시 골반 내 혈관이 손상된 경우뿐만 아니라 골절 자체만으로도 쇼크에 빠질 정도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
  • 요천추 신경근 및 신경총과 좌골신경이나 대퇴신경 등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모든 환자에서 꼭 신경학적 검사를 주의 깊게 시행하고 기록해 놓아야 함
  • 외부 출혈이 없더라도 상당량의 출혈이 발생

 

합병증

  • 폐색전증 또는 지방색전중
  • 골반 변형에 의한 하지 길이 부동이나 앉는 자세의 불안정
  • 만성 요통
  • 불유합에 따른 천장관절 주위 불안정성
  • 신경손상에 따른 근육 마비 → 하지 변형, 발기부전(남성)
  • 동반손상의 후유증(요도협착, 장루 등)

 

 

 

진단

영상 검사

  • 대개 환자의 전신상태가 불안정하므로 환자는 안정을 취한 상태에서 영상검사 시행

 

단순 X선: Pelvis AP view, inlet view, outlet view

  • Pelvis AP view: 기본 view
  • Pelvis inlet view: 후방 골반환 평가에 용이(전후방 전위나 회전, 천골 손상평가)
  • Pelvis outlet view: 전방 골반환 평가에 용이(수직 전위나 천장관절, 좌골 조면, 천골 신경공 손상 평가
  • 수직 불안정성을 의미하는 영상검사 소견: 수술적 치료 필요
    1. 제4 또는 5 요추 횡돌기 골절 
    2. 두부방향으로 전위〉1 cm
    3. 천골 외측부 또는 좌골극 견열 골절
    4. 치골결합이개〉2.5 cm 
    5. 전위된 천골 골절
    6. Push-pull test 상 1 cm 이상의 두부 방향으로의 전위

 

Pelvis CT

  • 후방 골반환 평가에 우수하며, 환자가 안정화된 후 후방 구조물의 평가를 위해 반드시 시행


CT angiography: 출혈 부위 확인 가능

 

 

기타

  • 기타 복강 내 출혈을 평가하는 방법: diagnostic peritoneal lavage, 복부 CT, 초음파

 

 

 

분류

  • Tile 분류법: 가장 흔히 사용되는 분류체계. 치료 방침 결정에 유용
    • Type A: stable
    • Type B: rotationally unstable, but vertically and posteriorly stable 
    • Type C: rotationally and vertically unstable

 

 

 

치료

  • 출혈 관리, 골절 불안정성 정도에 따라 수술 필요성 결정

초기 처치: initial resuscitation

  • 수액요법(fluid resuscitation), 수혈
  • 출혈 평가 및 조절
    • 적당한 정복, 골절부 안정화
    • 외고정기, 상용화된 Pelvic binder, pelvic packing 등
    • embolization
  • close monitoring: 맥박, 혈압, 중심정맥압, 소변량 등

 

골절 치료

  • Type A: 통증 치료가 mainstay
  • Type B: 선택적으로 수술 시행: 환자의 연령, 전신 상태, 동반 손상 유무 및 종류, 골절 양상/해부학적 위치, 외력 작용 방향, 골반환 안정성 정도 등
  • Type C: 대부분 불안정하여 전위 진행 → 내고정 필요

 

참고자료

  • Ahn JM, Suh JT. Anatomy, Classification and Radiology of the Pelvic Fracture. J Korean Fract Soc 2013;26(3):221.
  • Park K-C.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Pelvic Ring Injury.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013;26(4):343–7.
  • Min B-W, Lee K-J, Kim G-W, Kwon D. Complications of Pelvic Ring Injury. J Korean Fract Soc 2013;26(4):348.
  • Min B-W, Lee K-J. Surgical Treatment of Malunion and Nonunion after Pelvic Bone Fracture. J Korean Fract Soc 2015;28(4):266.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