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병력
통증
- 고관절 질환의 가장 흔한 증상!!
- 이상근 증후군(piriformis syndrome): 고관절을 외전, 외회전 시킬 때 완화
- 대개 서혜부, 둔부 혹은 근위부 대퇴에 국한. 허리, 천장 관절, 무릎 혹은 내부 장기로부터 기원하는 통증과 감별하는 것이 중요
- 통증의 질적, 양적 평가: ① 환자의 작업 수행 능력(patient’s ability to work); ② 활동 정도(level of activity); ③ 보행 정도(walking capacity); ④ 기능적 능력(functional ability): 계단의 사용 혹은 양말, 신발을 신는 능력; ⑤ 지팡이나 목발 등의 보행 보조 수단이 필요한 지에 대한 여부
- 통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 평가: 환자의 직업, 여가생활 스타일, 일상 생활 활동(activity of daily living)
연령/성별
- 선천 고관절 이형성증: 유아기 여아에서 호발
- Legg-Calve-Perthes씨 병: 3세에서 12 세 남아에서 호발
- 골다공성 대퇴 경부 골절: 고령의 여성에서 호발
손상기전(외상 질환)
손상기전 | 해당질환 |
환자가 고관절 외측을 부딪히며 넘어졌는가? | 예: 전자부 점액낭염 |
무릎으로 떨어지거나 부딪혔는지, 고관절에 부적절한 삐걱거림이 있는가? | 예: 아탈구, 비구순 파열 |
반복적인 부하 활동을 하고 있는가? | 예: 대퇴골 피로 골절 |
기타 병력
- 음주, 스테로이드 제제 사용
- 소아기 파행
신체검사
- 고관절의 기능과 질환을 평가하는데 있어 상세한 신체 검사를 하는 것이 필수적
- 검사 시 고관절, 하지뿐만 아니라 전신에 대한 상세한 관찰이 이루어져야 함
영상검사
- 단순 X선: AP, translateral, frog-leg
Hip(pelvis) AP | Hip translateral | Hip frog-leg |
- 골주사
- 자기공명영상
참고자료
- 서유성, 최우석. 고관절 진단학. 대한고관절학회지 2006;18(4):218-219
- Kuhlman GS, Domb BG. Hip impingement: identifying and treating a common cause of hip pain. Am Fam Physician 2009;80(12):142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