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전건 손상(Extensor tendon injury)


목차

개요

  • 신전건은 굴곡건보다 더 흔히 손상을 입음(∵손등의 천층에 위치)

 

 

손상 기전

  1. 열상 및 개방성 창상에 의한 파열
  2. 비개방성 손상(파열) : 타박상에 의한 파열, avulsion fracture에 의한 파열, 원위 요골 골절의 후유증, 건의 염증성 질환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 가장 흔한 건 손상 부위는 수부 배부의 신전 건

 

 

분류

  • Zone Ⅰ(DIP joint level) - Zone VIII(distal forearm level)으로 분류
    • I구역(Zone I): 원위 지절의 배측부
    • II구역(Zone II): 중위 지골의 배측부
    • III 구역(Zone III): 근위 지절의 배측부
    • IV구역(Zone IV): 근위 지골의 배측부
    • V구역(Zone V): 중수 수지 관절
    • VI구역Zone VI): 중수골 부위
    • VII구역Zone VII): 손목 배측의 신전 지대 부분
    • VIII구역(Zone VIII): 신전지대 근위부

 

Zone I injury

  • 망치 수지(mallet finger) 변형 초래
    (아래에서 따로 설명)

 

Zone II injury

  • 중위 지골 배측부는 해부학적 구조상 얇고 연부 조직에 의한 보호가 적어서 망치 수지 기형 초래 가능

 

Zone III, IV injury

  • 손상 부위: 근위 지절 부위
  • MP와 DIP joint의 신전을 일으키는 extensor hood의 수축으로 “boutonniere deformity" 유발
    (아래에서 따로 설명)

이미지

  • 중앙 건(central tendon)의 동반 손상 의심
  • 단추구멍 변형(button hole deformity): 근위 지절은 굴곡되고 원위 지절은 과신전된 양상
  • 비개방 손상 시에는 초기 진단이 매우 어려울 수 있음
  • 치료: 중앙 건 손상 의심시 근위 지절을 신전위로 5-6주간 고정하고 원위 지절은 자유롭게 운동시킴

 

Zone V, VI injury

  • 중수골의 두부 및 경부에서 외래 신전 건이 절단되면서 중수 수지 관절만의 신전이 불가능함
  • 중수골 경부의 근위 부위에서는 총 수지 신건이 보조건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상인에서도 다양한 해부학적 변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진단 및 치료에 유의할 것
  • 중수 수지 관절부에서 신전 건의 탈구도 비교적 흔한 질환

 

Zone VII, VIII 

  • 건 봉합 후 배측 수근 인대 내에서의 유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대를 절제하기도 함
  • 신전 지대 근위부 손상 시는 건 손상뿐 아니라 신경 손상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함

 

 

 

boutonniere deformity(단추구멍변형, Buttonhole Deformity)

개요

  1. 단추구멍변형(Boutonniere finger)이란?
    • Central slip extensor tendon injury
    • PIP joint를 펴고 있는 동안에 강하게 굽혀지게 되었을 때 발생. 농구 선수들에게서 흔한 손상
  2. 원인 및 손상기전
    • 손가락의 중절골의 바닥 부분에서 신전 건(extensor tendon)의 중앙건막의 파열이나 중앙건막이 중절골에 닿는 배측 근위부쪽에서 견열골절이 발생하여 발생
    • 직접적인 외상, 지간관절이 강하게 굽혀지거나, 혹은 근위지간관절의 손바닥쪽으로의 탈구로 인해서 발생 가능

이미지

 


임상양상

  • 근위지간 관절의 능동적인 신전 동작에 제한이 생기나, 수동적인 관절 운동은 유지됨
    1. 근위지간 관절: 굴곡상태, 폄동작시 근위지간관절의 외측띠가 바닥쪽으로 이동하여 관절에 굽히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
    2. 원위지간관절: 외측띠는 원위지간관절에서는 펴는 힘으로 작용
  • 환자들은 대부분 손가락 손상 호소

 

 

진단

  1. 신체검사
    • Boutonniere deformity
    • Tenderness over dorsum of the PIP joint
  2. 영상검사
    • 근위지간관절의 방사선학적 검사는 중절골의 배측 근위부에서 발생 가능한 견열 골절을 평가하기 위해서 반드시 시행되어야 함 
    • avulsion fx. of dorsal proximal of middle phalanx

이미지

 

 

치료

이미지

수술의 효과가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 시행전에 비수술적 치료가 시행되어야 합니다.

손가락 중절골의 견열골절을 동반한 Boutonniere 손상 환자에서는 수술이 최선입니다.

 

 

 

Mallet finger(추지 변형)

개요

  1. Mallet finger란?
    • 신근건의 부착부위인 손가락 말절골의 근위부 배측 부위에서 손상이 일어난 경우
  2. 손상기전
    • Hyperflexion force to extended DIP joint
    • Hypovascular zone within the tendon → predispose to injury
    • 손상 부위: 원위 지골과 원위 지절 부위
    • 신전 건의 끝부분 파열(Terminal Extensor Tendon Disruption)
    • 원위 지골 신전 건의 연속성이 손실되어 원위 지절의 굴곡 변형 발생
    • 손가락 말절골의 근위부 배측부위에서 건의 파열이나 견열골절에 의해 발생
    • 펴져있는 원위지간관절에 강력한 굽히는 힘이 작용을 했을 때 발생 
    • 신근건 원위부의 혈관분포 과소부위가 손상에 취약한 부분

이미지

 

 

 

진단

환자들은 원위지간관절의 통증과 원위 지간 관절의 신전 장애를 호소하게 됩니다.

  1. 신체검사
    • 원위지간관절이 굴곡되어 있는 상태. 신전 동작을 수행하지 못함
    • 원위지간관절의 배측부위 촉진시 압통 호소. 최근 손상의 경우 홍반, 반상출혈, 부종 동반
  2. 영상 검사
    • 단순X선: 손가락 말절골의 배측 근위부에서 발생하는 견열골절을 확인하기 위해 원위지간관절의 단순X선 검사는 반드시 시행

 

 

치료

 목표

건의 치유가 일어날 때까지 원위 지절의 신전을 유지하는 것

 비수술 치료 : 보통 비수술 치료 시행

수술

  •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을 사용해 원위 지간 관절이 약간 과신전이 된 상태로 6-8주간 고정
  • 환자교육: 원위지간관절의 굽히는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교육(치료기간동안 굽히는 동작을 시행 시 적절한 회복의 방해 및 치료의 지연 초래 가능)

망치 수지 변형에서 수술 적응증

  1. 골절과 동반된 원위 지절의 수장부 아탈구가 심한 경우 
  2. 골편의 크기가 관절면의 1/3 이상이면서 도수 정복에 실패한 경우
  3. 3 mm 이상의 골편 전위를 보이면서 도수 정복이 안 되는 경우

재활 치료: 반드시 시행

관절운동 범위 회복, 근력/유연성/전완과 손의 지구력 회복


참고자료

[boutonniere deformity]

  • Grau L, Baydoun H, Chen K, Sankary ST, Amirouche F, Gonzalez MH. Biomechanics of the Acute Boutonniere Deformity. J Hand Surg Am 2018;43(1):80.e1-80.e6.
  • To P, Watson JT. Boutonniere deformity. J Hand Surg Am 2011;36(1):139–42.
  • Elzinga K, Chung KC. Managing Swan Neck and Boutonniere Deformities. Clin Plast Surg 2019;46(3):329–37.
  • Traumatic Buttonhole Deformity of the Thumb. J Korean Orthop Assoc 2012; 47: 473-477

 

[Mallet finger(추지 변형)]

  • Bachoura A, Ferikes AJ, Lubahn JD. A review of mallet finger and jersey finger injuries in the athlete. Curr Rev Musculoskelet Med 2017;10(1):1–9.
  • Valdes K, Naughton N, Algar L. Conservative treatment of mallet finger: A systematic review. J Hand Ther 2015;28(3):237–45; quiz 246.
  • Alla SR, Deal ND, Dempsey IJ. Current concepts: mallet finger. Hand (N Y) 2014;9(2):138–44.
  • Bendre AA, Hartigan BJ, Kalainov DM. Mallet finger. J Am Acad Orthop Surg 2005;13(5):336–44.
  • Salazar Botero S, Hidalgo Diaz JJ, Benaïda A, Collon S, Facca S, Liverneaux PA. Review of Acute Traumatic Closed Mallet Finger Injuries in Adults. Arch Plast Surg 2016;43(2):134–44.
  • Cheung JPY, Fung B, Ip WY. Review on mallet finger treatment. Hand Surg 2012;17(3):439–47.
  • Lin JS, Samora JB. Surgical and Nonsurgical Management of Mallet Finger: A Systematic Review. J Hand Surg Am 2018;43(2):146-163.e2.
  • Lamaris GA, Matthew MK.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allet Finger Injuries. Hand (N Y) 2017;12(3):223–8.
  • Smit JM, Beets MR, Zeebregts CJ, Rood A, Welters CFM. Treatment options for mallet finger: a review. Plast Reconstr Surg 2010;126(5):1624–9.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