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진단
신체검사
분류: Zone I-V
치료
심지굴근 파열(flexor digitorum profundus rupture, FDP rupture)= Jersey finger
개요
임상양상
진단
치료
개요
- 치료 후 합병증이 비교적 많은 손상
- 수지 굴곡건을 봉합 또는 재건한 경우 만족스러운 결과는 70-80% 정도 밖에 안됨
- 손상 기전: 열상(m/c)
진단
신체검사
- 손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손의 자세를 관찰하면 굴곡건 파열의 진단에 도움이 됨. 굴곡건이 파열된 수지는 다른 수지보다 더 신전된 위치에 있게 됨
| FDP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검사 | vs. | FDS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tendon 검사 |
파열 시 |
|
|
|
검사방법 |
|
|
|
건손상에 의한 견열골절
분류: Zone I-V
- Zone I: Distal to FDS insertion
- Zone II: A1 pulley to FDS insertion
- Zone III: Distal to carpal tunnel to A1 pulley
- Zone IV: Carpal tunnel
- Zone V: Proximal to carpal tunnel
Thumb의 경우 Zone I은 distal to IP joint이며, Zone II는 A1 pulley to IP joint, Zone III은 thenar eminence area입니다.
※ 심수지 굴건(flexor digitorum profundus) 파열: 운동선수의 수부 손상 중 세 번째로 많은 손상
치료
수술(봉합) 치료 |
Cf. Zone Ⅱ : 천수지 굴근과 심수지 굴근이 함께 지나는 수근관 부위 포함. 이 건들은 매우 근접해 있기 때문에 수술 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정확하게 복구하는 것이 중요 |
▼ |
|
수술 후 고정 |
|
심지굴근 파열(flexor digitorum profundus rupture, FDP rupture)= Jersey finger
개요
- 심지 굴근 건의 원위부 파열은 격렬한 쥐는 동작을 수행 시 발생 가능
- 예. 축구 선수가 상대편선수의 운동복(Jersey)을 잡고 태클을 하는 경우
이런 이유로 심지굴근 파열은 흔히 “jersey finger”라고 불리웁니다.
임상양상
- 대부분의 심지굴근 파열은 약지 포함(∵약지의 심지굴근의 건이 가장 약하기 때문)
- 격렬한 쥐기 동작후에 발생하는 갑작스럽고 심한 통증 호소
진단
- 신체검사
- 주먹을 쥐라고 했을 때, 손상받은 원위지간관절의 능동적인 굴곡 작용 수행 불가능
- 당겨진 건덩이가 손바닥에서 촉진 가능
- 영상검사
- distal phalanx의 proximal volar part에서 발생하는 견열골절(avulsion fx.) 확인
치료
- 수술적 치료(surgical repair)가 TOC
Retracted tendon(건이 장측으로 당겨져 있는 경우) | Not retracted tendon(건이 근위지간관절 밑으로 당겨져 있지 않는 경우) |
▼ | ▼ |
7-10일 안에 수술 시행할 것(유착 방지 목적) | 지연 회복술(Delayed repair) 시행 가능: 손상 후 6-8주 이내 |
참고자료
[심지굴근 파열(flexor digitorum profundus rupture, FDP rupture)= Jersey finger]
- Patrick N, Weinheimer K, Darowish M. A Novel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Jersey Fingers. Am J Orthop (Belle Mead NJ) 2018;47(5).
- Freilich AM. Evaluation and treatment of jersey finger and pulley injuries in athletes. Clin Sports Med 2015;34(1):151–66.
- Tempelaere C, Brun M, Doursounian L, Feron J-M. Traumatic avulsion of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Jersey finger, a 29 cases report. Hand Surg Rehabil 2017;36(5):368–72.
- Lapegue F, Andre A, Brun C, et al. Traumatic flexor tendon injuries. Diagn Interv Imaging 2015;96(12):127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