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 소아: 가장 흔한 골절 ; 성인: 전체 골절의 5%
- 모든 어깨 손상의 50% 차지
- 가장 흔한 기전은 어깨로의 직접적인 가격!!
- 발생빈도: bimodal incidence - 30대 이하 젊은 남성, 70세 이상 노인
- 젊은 사람에서는 주로 간부의 골절을 보이며, 스포츠 활동 중 직접 손상을 받아 생기는 경우가 많고, 노인의 경우 여성이 약간 우세하며, 저에너지 손상으로 일상 생활 중 넘어지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골다공증과 연관
- 손상부위: Middle shaft(69~82%) > Distal(21~28%) > Medial(2~3%)
쇄골 골절의 분류
- 여러 가지 분류 체계 존재
- Allman 분류
- Neer 분류
- Craig 분류
- Nordqvist and Petersson 분류
- Robinson(Edinburgh classification)
외측 부분 골절의 불유합에 대해서는 Craig 분류가, 중간 부분 골절에 대해서는 Edinburgh classification이 가장 예후를 잘 반영한다.
치료
- 치료원칙
골절부위에 따른 치료 원칙 | ||
▼ | ▼ | ▼ |
내측 골절 | 중간 골절 | 외측 골절 |
sling 고정 치료 | 보존적 치료. 도수적 치료 가능 | sling 고정 치료 |
- Arm sling, 고정
- 경증, 전위되지 않은 중간 부위 골절
- 고정은 견관절의 ABduction을 유지하는 것
- 유지기간: 소아 약 2주(cf. 성인은 약 4-6주면 치유)
- Displaced distal Fx는 Coracoclavicular ligament의 rupture와 연관이 있고 nonunion 방지 위해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음
- Medial clavicle Fx는 Intrathoracic injury와 연관 및 관절염과 같은 후기 합병증 가능성 있음
합병증: 드문 편
- 부정유합: 가장 흔한 합병증
> Dr. 김지형의 코멘트 매우 중요한 몇 가지 것들을 기억합니다.
|
참고자료
- Sandstrom CK, Gross JA, Kennedy SA. Distal clavicle fracture radiography and treatment: a pictorial essay. Emerg Radiol 2018;25(3):311–9.
- Jeong WK. Conservative Treatment of Mid-Clavicle Fractures.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018;31(1):22–8.
- Oh JH, M.D, Ph.D, Choi HY, M.D. Recent Treatment Options for the Clavicle Fracture.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2012;15(1):43–51.
- O’Neill BJ, Hirpara KM, O’Briain D, McGarr C, Kaar TK. Clavicle fractures: a comparison of five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ir relationship to treatment outcomes. Int Orthop 2011;35(6):9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