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통증: 주요 원인질환


목차

회전근개 질환(rotator cuff disease): 건증(tendinosis), 전층 혹은 부분층 파열, 석회화건염

개요

회전근개 질환의 범주

범주 예시 (1)

범주 예시 (2)

  • 회전근개 건증(rotator cuff tendinosis)
  • 회전근개 부분 파열(partial thickness tear)
  • 회전근개 전층 파열(full thickness tear)
  • 견봉하 충돌증후군(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 회전근개 부분 파열(partial thickness tear)
  • 회전근개 전층 파열(full thickness tear)
  •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 회전근개 파열 관절병증(cuff tear arthropathy)

회전근개 병변은 서로 별개의 질환이 아니고, 연장선상에 있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단지 점액낭(bursa)의 자극만 있는 충돌 증후군 ~ 회전근개 건의 병변 ~ 견관절의 관절병

 

충돌증후군을 어떻게 볼 것인가?

회전근개질환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

회전근개질환과는 별도로 구분

  • 회전근개질환의 명칭은 충돌증후군(shoulder impingement syndrome)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기도 함

 

  • 회전근개질환과 충돌증후군은 다른 것이며 충돌증후군과 회전근개질환을 별도의 질환으로 분류하기도 함
  • 최근에는 충돌증후군을 포함하는 회전근개질환 또는 회전근개건병증의 명칭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음

 

 

진단

병력

  • 충돌증후군: 머리 위 스포츠(overhead sports) 후 어깨 통증 발생: 수영, 배드민턴, 던지기, 배구 등

글씨를 쓰거나 컴퓨터 사용에는 무리가 없으나 팔을 들어 올리는 특정한 자세를 취하면 통증이 밀려옵니다.

  • 회전근개 파열: 통증 양상은 충돌 증후군과 비슷

능동적으로는 팔을 들어 올릴 수 없어도 수동적으로, 즉 다른 사람이 올려 주면 팔을 들고 있을 수는 있습니다.

 

신체검사

  • 검사 목표는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는 것
  • 신체검사 진행방식: 시진 → 촉진 → 동적인 검사 → 통증 유발검사

 

촉진
  • 압통 확인: 건이 상완골에 부착되는 부위; 극상근 건이 부착하는 대결절(greater tuberosity) 부위(m/c)

극상근(supraspinatus)

  • 환자의 손을 뒷짐 지게 한 후 전방외측 견봉의 직하부를 보도록 하며, 양측 비교

극하근(infraspinatus)

  • 환자의 팔을 전방으로 다소 굴곡시키고 내측 회전시킨 상태에서 촉진
  • 극상근의 부착부위 뒤쪽에서 후방외측 견봉의 아래쪽에서 촉진 가능

소원근(Teres minor)

  •  극하근 부착부위의 바로 뒤쪽

견갑하근(subscapularis)

  • 환자의 팔을 팔꿈치를 몸에 붙인 상태에서 외측회전시킨 자세를 취하게 한 후 오구돌기의 외측에서 촉진

 

관절가동범위검사
  • 능동범위 → 수동범위

능동범위 측정

수동범위 측정

  • 통증 여부 확인. 팔의 외전시 몸을 옆으로 눕힌다거나 하는 치환행위가 나타나는지 확인
  • 능동검사 이상소견 → 원인이 통증 때문인지, 위약(weakness) 때문인지를 감별
  • 견관절은 그 가동범위의 개인차가 심하기 때문에 양쪽을 비교할 것 
  • 우세 손의 경우 내회전이 다소 줄고 외회전 범위가 늘어나는 경우가 흔함(운동선수에게서 현저)
  • 수동범위 검사 도중 저항이 느껴지는 경우: 저항의 느낌이 뼈에 가까운지, 연부조직에 가까운지 평가
  • 수동적 운동범위는 초기에는 제한이 없음 


  • 통증궁(painful arch)
    • 외전의 능동적 운동범위 60도에서 120도사이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 drop arm 징후: 극상근건파열(tendon rupture)의 경우
  • 내회전 시 통증 유발로 운동범위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상지의 외전시 견관절과 견갑관절 간의 조화 관찰
    • 환자의 양쪽 견갑하각에 엄지손가락을 놓고 환자에게 양팔을 외전시키도록 함
    • 견갑흉부 움직임의 부조화: 회전근개 손상의 이차징후

능동적으로는 팔을 들어 올릴 수 없어도 수동적으로, 즉 다른 사람이 올려 주면 팔을 들고 있을 수는 있습니다. 수동적 관절 운동 범위가 정상인 것이 동결견과의 현저한 차이입니다. 

 

유발검사/근력측정

유발검사

  • 충돌검사(impingement test): Neer 검사, Hawkins-Kennedy 검사

근력측정

  • 극상근: 깡통비우기 검사(empty can test, Jobe’s test)
  • 견갑하근(subscapularis): lift-off 검사


  • 양성 소견은 통증이 유발되거나 건파열이 있을 경우 근력감소로 나타남
  •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음

① 메타분석: Neer 검사와 Hawkins-Kennedy 검사는 민감도가 높지만 특이도가 낮고 통증궁은 민감도가 낮고 특이도가 높으므로 여러 신체검사를 조합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Neer 포획 검사(Neer impingement test)

  • 환자의 통증이 재현된다면 극상근의 병변을 시사
  • 두 골 구조물 사이의 포획으로 인하여 증상 재현

Hawkins-Kennedy 포획검사(Hawkins-Kennedy impingement test)

  • 통증이 재현되는 경우 → 극상근 건염 시사

Yocum 검사

  • Hawkins 검사와 비슷한 효과
  •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 극상근 건염 시사

포획 주사 검사(Impingement injection test)

  • 검사 양성: 최소한 50% 이상의 통증이 없어지는 경우
  • 원인: 극상근 건염(m/i), 이두박근, 견봉하 윤활낭, 견봉쇄골 관절 등 

Cross body adduction

  •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 견봉쇄골관절 병변 시사

통증 아크 검사(Painful arc test)

  • 검사 양성: 60도에서 120도 범위에서 통증이나 위약이 있을 경우 → 회전근개 손상 시사
  • drop arm 징후: 120도 정도에서 환자의 팔이 뚝 떨어지는 현상(완전파열이 있을 경우)

Empty can test

  • 검사양성: 통증이 유발되거나 위약이 관찰되는 경우 → 극상근 병변 시사

충돌증후를 보는 Neer’s test (impingement sign I), Hawkin’s test (impingement sign II)는 책에서 흔히 보듯이 그냥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은 통증이 있어서 정확히 파악하기 힘듭니다. 환자들은 검사를 하려 하면 팔에 힘을 주는 경우가 많아 충분히 팔 힘을 빼라는 요구에 부응하지 못합니다. 팔 전체를 감싸 쥐듯이 안정감 있게 잡아 주어야 팔 힘을 뻘 수 있습니다.

 

영상검사

  • 종류: 단순 X선, 초음파검사, 자기공명영상검사(MRI), 자기공명관절조영술(MRA) 등

 

 단순 X선

초음파 

 MRI

MRA

개요

  • 다른 부위의 퇴행성 변화, 회전근 파열의 간접적인 소견 확인
  • 최근 어깨통증에 대하여 많이 시행되고 있는 검사
  • 장점: 시행 간편. 비침습적
  • 단점: 골조직에서 반사가 많이 되는 특성 → 관절내부(관절낭, 관절와순, 연골, 골 조직 등)의 이상여부는 확인하기 어려움
  • 회전근 및 상완골에 지속적으로 손상을 가할 수 있는 이상 파악에 유용
  • 장점: 초음파에 비하여 연골등 관절내부 조직 및 주변 근육의 위축과 지방침윤에 대한 평가 가능
  • 조영제를 관절강 내 주사함으로써 관절와순 등 관절강 내 구조물 평가에 적합

소견

  • 대결절의 골피질 불규칙(cortical irregularity)소견: 회전근개 파열에 대한 민감도 90%
  • 견봉쇄골 관절의 골극
  • 회전근개의 석회화 
  • 상완골두(humeral head)의 상방이동(superior migration): 심한 회전근개 파열 시사, 견봉과 상완골두 거리가 6 mm 이하인 경우 전층파열과 연관성이 높음
  • 회전근 개가 보이지 않음(novisualization of the cuff)
  • 건의 일부분이 보이지 않음 (localized absence of focal nonvisualization)
  • 건의 연속성이 끊어짐(discontinuity of the cuff)
  • 건내의 에코가 부부적으로 비정상임(focal abnormal echogenicity)
  • RC tear: Full-thickness, Partial-thickness 
  • Muscle fatty degeneration/atrophy

 

결손충전(filling defect) → 회전근개파열 진단가능

 

 

 

동결견(frozen shoulder),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개요

  • 정확한 개념 정립 부재
  • 통증 및 관절 운동제한이 있는 경우 다른 질환의 존재를 모두 감별하고도 특별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 내리는 진단



진단

증상/병력

  • 흔히 외상력 없거나 경미한 외상 후에 둔통이 시작되며 서서히 통증이 심해지면서 관절 운동의 제한 발생
  • 모든 방향에서 관절운동범위 제한

1-2년 경과 후 대부분 회복된다는 보고 있으나 일부 저자들은 이후에도 LOM이 지속됨을 보고하기도 합니다.

 

신체검사

  • 경추, 체부, 양측 견관절
  • 어깨 압통(-)
  • 운동범위검사
    • 운동범위감소: 수동적 외회전(m/c). 여러 방향에서 운동범위 감소 발생
    • 어깨 관절의 모든 방향에서의 수동적 및 능동적 운동범위를 측정하며 양측에서 시행하여 건측과 비교 
    • 능동적 운동범위 측정: 견갑상완리듬(scapulohumeral rhythm)의 감소에 대하여 견갑골 움직임이 보상을 해 주기 때문에 견갑골 고정이 중요

이미지

 

진단검사

  1. 단순 X선
    • 방법: 내회전/외회전, 액와, 출구 사진, 일상적인 전후면 사진
    • 일반적으로 정상 소견
    • 다른 질환의 감별에 유용: 퇴행성, 관절염, 골절 유무 확인 → 관절염, 석회성건염, 회전근개 질환, 골절 등 감별
  2. 초음파검사
    • 회전근개 등의 이상 유무 확인가능 → 유착관절낭염 진단에는 큰 도움이 안 됨
  3. MRI/MRA
    • 유착성 관절막염 진단에는 불필요. 다른 질환 감별에 유용
    • 견관절 경직과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회전근개의 부분 또는 완전파열을 인지하는데 유용
    • 주요 소견: 관절낭 비후, 부리위팔뼈인대(coracohumeral ligament), 하방관절상완인대(inferior glenohumeral ligament)와 관절낭을 포함하고 있는 회전근개 간격의 조영증가 및 반흔, 액와주름 감소 등



치료

  1. 치료원칙
    • 치료목표: 통증감소, 운동회복, 기능개선(관절가동역 증가)
      = 가장 중요한 치료는 수동적 관절 운동을 통한 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입니다.
  2. 치료 방법: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음
    1. 비수술적 치료
      • 운동: Stretching exercise
      • 물리치료(열ㆍ전기치료, 도수치료)
      • 약물치료: NSAIDs, Corticosteroid
      • 관절강내 주사치료(Intra-articular injection)
      • 신경주사치료(신경 차단술)
      • 관절낭 팽창술(Capsular distension, distension arthrography)
      • 마취 하 도수(Manipulation under anesthesia, MUA)
    2. 수술적 치료: 관절경 관절낭 유리(Arthroscopic capsular release), 개방 관절낭 유리

 

 

 

관절상완 골관절염(glenohumeral osteoarthritis)

개요

  • 상대적으로 흔하지 않은 관절염으로 주로 50세 이상에서 발생
  • 원인: 퇴행성, 류마티스성, 손상성 등 



진단

병력

  • 분산 또는 깊은 통증 호소. 대부분 어깨 뒤쪽 부위에 국소통증 호소
  • 초기: 심한 활동 시에 통증 악화 → 진행: 어떤 어깨 움직임에도 통증 발생. 야간 통증도 발생
  • 통증과 함께 가동운동 제한도 점점 악화

체중부하 관절이 아니기 때문에 어깨통증이 심하게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관절 운동 범위는 줄었어도 통증이 별로 없기도 하고, 관절 운동범위의 가장 끝 부분에서만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체검사

  • 어깨의 회전 또는 굽힘시 뼈 마찰로 인한 잡음
  • 어깨 근육의 전반적인 위축

 

영상검사

  • Shoulder AP, axillary View
  • 주요 소견: 연골파괴로 인한 관절간격 좁아짐, 상완골두가 편평해짐, 아래쪽 골극(spur, osteophyte) 형성, 관절오목의 뒤쪽 침식, 연골하 경화(subchondral sclerosis)

초기 사진에서는 변화가 뚜렷하지 않습니다.



치료

  1. 비수술 치료
    • 통증이 심하지 않다면 보존적 치료 시행
    • Shoulder joint injection: Anterior approach, Posterior approach
  2. 수술 치료
    • 진행성인 경우 수술 고려
    • 인공관절치환술


 

 

관절상완 불안정성(glenohumeral instability)

개요

  • 신체 어느 관절보다도 운동범위가 크며, 운동성을 위하여 안전성이 손상되는 해부학적인 구조로서 불안정성이 잘 발생
  • 관절와(glenoid)에서 상완골두의 과도한 전이, 관절와순(labrum) 손상

 

어깨관절 불안정의 분류

  • 어깨관절의 불안정은 분류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음

방향

정도

기전

빈도

수의성 여부(voluntariness)

Anterior

Posterior

Inferior

Superior

Multidirectional

Dislocation

Subluxation

Traumatic

Atraumatic

Congenital

Neuromuscular

Acute

Chronic

Recurrent

Involuntary

voluntary


  • 대부분의 전방불안정은 외상성이며 불수의성인 반면 다방향 불안정은 아탈구로, 비외상성이며 수의성인 경우도 있음
  • 어깨관절의 불안정은 단순 이완성(laxity)과 구분 되어야 함
  • 이완(laxity): 관절의 느슨한 상태로 태어날 때부터 어깨 관절막이 느슨한 상태로 이 자체로는 병적이 아니나 이완이 심한 사람은 불안정이 발생학 가능성이 높음 
  • 불안정: 증상을 동반한 이완(symptomatic laxity), 한번의 큰 외상이나 반복된 작은 외상으로 발생가능 
  • 탈구: 상완골두가 관절와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전위되어 저절로 정복되지 않는 상태
  • 아탈구: 상완골두가 관절와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저절로 정복이 되는 상태

 

외상성 전방 불안정(traumatic anterior instability of shoulder)

  • 상완 골두가 관절와보다 전방으로 탈구가 일어나는 현상
  • 발생기전 
    • 어깨관절이 외전 및 외회전 상태에서 전방으로 힘이 가해져 발생 
    • 예: 농구 공을 던지는 자세에서 상대방에 팔이 걸려 뒤로 돌아갈 경우 주로 발생
  • 외상성 전방 불안정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병변 2가지

상완골두가 전방으로 탈구되는 순간 

전방의 관절와순 등이 파열

상완골두의 후외측에 골결손 발생

Bankart lesion

Hill-Sachs lesion

 


진단

병력

  • Anterior instability of shoulder
    • 가장 많은 유형, 20-30 대의 젊은 연령에서 호발
    • 상지의 외전, 외회전 및 신전 위치에서 탈구가 재발
    • 환자 스스로 어깨 탈구 인지 가능

하지만 아탈구의 경우 통증을 호소하고 탈구 사실을 환자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cf. Acute traumatic anterior dislocation의 증상: 환측 견관절의 내전 및 내회전 제한, 견봉 아래부분의 함몰, 둥근 형태의 삼각근 외관이 평평해짐

 

신체검사

  • 불안 검사(apprehension test)
  • 재위치 검사(relocation test)
  • 구 징후(sulcus sign)

 

영상검사

  • X-ray
    • Stryker notch view: Hill-Sach 병변
    • West point, apico-oblique view : glenoid rim 의 침식, 골 결손
  • MRI: 관절와 순, 관절낭의 병변, 회전근 개의 파열
  • CT: 관절와 골 결손 및 Hill-sach 병변의 크기



치료 

  • 치료 목표: 재발 방지, 정상적 관절 기능의 회복
  • 치료방법: 
    1. Bankart 복원술: 관절경적
    2. 관절낭 이동술
    3. 골이식: 크기가 큰 골성 Bankart 병변

cf. Anterior instability of shoulder의 치료: 가능한 빨리 정복(reduction)

정복방법: Hippocrates 방법, Kocher 방법, Milch 방법, Stimson 방법(가장 안전하고 널리 쓰이는 방법)

 

 

 

견봉쇄골관절 병변(acromioclavicular joint pathology): 견봉쇄골관절염(견쇄관절염, Acromio-clavicular arthritis)

개요

  • 견봉쇄골관절(acromio-clavicular joint)에 생긴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 약 40%에서 회전근개 질환, 견봉하 점액낭염(subacromial bursitis) 동반



진단

증상/병력

  • 병력: 외상, 웨이트 트레이닝, 무거운 것을 반복적으로 드는 일 
  • 어깨 전상방 부위의 국소적인 통증이 서서히 발생(insidious onset)

 

신체검사

  1. 견쇄관절에 국한된 압통
  2. cross body test
    • 검사 양성: 통증(+)
  3. 리도카인 주사(lidocaine injection)
    • 견봉쇄골 관절 질환이 의심되면 국소마취제 관절내 주사를 통해 진단 가능
    • 검사방법
      • 환자를 앉힌 자세에서 팔을 내려 관절이 약간 열리게 한 후 견봉의 제일 윗부분에서 1 cm 내측에서 관절 확인
      • 위에서 아래로 약간 앞쪽에서 바늘을 자입시켜 국소마취제와 스테로이드를 주입

견봉쇄골 관절에 lidocaine을 주사함으로써 통증이 줄어든다면 이 부위만의 통증임을 알수도 있습니다.

 

영상검사

  1. 단순 X선: 견쇄관절의 퇴행성 변화 - 골극, 관절면 불규칙화, 경화 등
    = 어깨 관절(shoulder joint, glenohumeral joint) 자체는 깨끗한 편입니다.
  2. MRI



치료

  1. 비수술 치료
    • Crossover 자세 피하기
    • 약물: 소염진통제
    • 스테로이드 주사: 견쇄관절
  2. 수술 치료: 지속적인 통증 또는 진행성 기능장애가 있는 아주 심한 경우 → 관절성형술 고려

참고자료

[회전근개 질환(rotator cuff disease): 건증(tendinosis), 전층 혹은 부분층 파열, 석회화건염]

  • Jang SH. Physical Examination of Rotator Cuff Disease. J Korean Assoc Pain Med 2007;6(2):66–70.
  • Lee HJ. Differential diagnosis of common shoulder pai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4;57(8):653.
  • Kim KC, Rhee KJ, Shin HD, Byun KY. Physical Examinations of Rotator Cuff Tear. J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2008;11(1):13–8.
  • Hegedus EJ, Goode AP, Cook CE, Michener L, Myer CA, Myer DM, Wright AA. Which physical examination tests provide clinicians with the most value when examining the shoul-der? Update of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of indi-vidual tests. Br J Sports Med 2012;46:964-978.
  • Lee SH, Chun KA, Lee SJ, et al. Relationships between Rotator Cuff Tear Types and Radiographic Abnormalities. J Korean Soc Radiol 2014;71(5):258.
  • Hermans J, Luime JJ, Meuffels DE, Reijman M, Simel DL, Bierma-Zeinstra SMA. Does this patient with shoulder pain have rotator cuff disease?: The Rational Clinical Examination systematic review. JAMA 2013;310(8):837–47.
  • Nazarian LN, Jacobson JA, Benson CB, et al. Imaging algorithms for evaluating suspected rotator cuff disease: Society of Radiologists in Ultrasound consensus conference statement. Radiology 2013;267(2):589–95.
  • Whittle S, Buchbinder R. In the clinic. Rotator cuff disease. Ann Intern Med 2015;162(1):ITC1-15.
  • Verry C, Fernando S. Rotator Cuff Disease: Diagnostic Tests. Am Fam Physician 2016;94(11):925–6.

 

[동결견(frozen shoulde),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 Kim JS. Conservative Management for Capsular Disease Focusing on Intervention. Clinical Pain 2012;11:5-9
  • Park GY. Diagnosis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in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4;47(11):1099.
  • Tamai K, Akutsu M, Yano Y. Primary frozen shoulder: brief review of pathology and imaging abnormalities. J Orthop Sci 2014;19(1):1–5.
  • Hand C, Clipsham K, Rees JL, Carr AJ. Long-term outcome of frozen shoulder. J Shoulder Elbow Surg 2008; 17: 231-236
  • Hsu JE, Anakwenze OA, Warrender WJ, Abboud JA. Current review of adhesive capsulitis. J Shoulder Elbow Surg 2011; 20: 502-514
  • Reeves B. The natural history of the frozen shoulder syndrome. Scand J Rheumatol 1975;4:193-196
  • Kelley, M. J., et al. (2009). "Frozen shoulder: evidence and a proposed model guiding rehabilitation." J Orthop Sports Phys Ther 39(2): 135-148.
  • Zuckerman JD, Rokito A. Frozen shoulder: a consensus definition. J Shoulder Elbow Surg 2011;20(2):322–5.

 

[관절상완 골관절염(glenohumeral osteoarthritis)]

  • Parsons IM, Weldon EJ, Titelman RM, Smith KL. Glenohumeral arthritis and its management. Phys Med Rehabil Clin N Am 2004;15(2):447–74.
  • Denard PJ, Wirth MA, Orfaly RM. Management of glenohumeral arthritis in the young adult. J Bone Joint Surg Am 2011;93(9):885–92.
  • Getz CL, Ricchetti ET, Verborgt O, Brolin TJ. Normal and Pathoanatomy of the Arthritic Shoulder: Considerations for Shoulder Arthroplasty. J Am Acad Orthop Surg 2019;27(24):e1068–76.
  • Brockmeier SF, Werner BC. Shoulder Arthritis in the Young and Active Patient. Clin Sports Med 2018;37(4):xiii–xiv.

 

[관절상완 불안정성(glenohumeral instability)]

  •  Kim SH. Orthopedic disease and sports medicine in shoulder joint. J Korean Med Assoc 2011; 54(7): 705-714
  • Park JY et al. Surgical Management for Shoulder Instability or Labral Problem. Clinical Pain 2012;11:20-25
  • Pickett A, Svoboda S. Anterior Glenohumeral Instability. Sports Med Arthrosc Rev 2017;25(3):156–62.
  • Warby SA, Watson L, Ford JJ, Hahne AJ, Pizzari T.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of the glenohumeral joint: Etiology, class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J Hand Ther 2017;30(2):175–81.
  • Wilk KE, Macrina LC. Nonoperative and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for glenohumeral instability. Clin Sports Med 2013;32(4):865–914.
  • Frank RM, Romeo AA, Provencher MT. Posterior Glenohumeral Instability: Evidence-based Treatment. J Am Acad Orthop Surg 2017;25(9):610–23.
  • Cameron KL, Mauntel TC, Owens BD. The Epidemiology of Glenohumeral Joint Instability: Incidence, Burden, and Long-term Consequences. Sports Med Arthrosc Rev 2017;25(3):144–9.

 

[견봉쇄골관절 병변(acromioclavicular joint pathology): 견봉쇄골관절염(견쇄관절염, Acromio-clavicular arthritis)]

  • 일차진료의를 위한 정형외과 진단과 치료 2판. 김지형. 2016
  • Mall NA, Foley E, Chalmers PN, Cole BJ, Romeo AA, Bach BR. Degenerative joint disease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a review. Am J Sports Med 2013;41(11):2684–92.
  • Buttaci CJ, Stitik TP, Yonclas PP, Foye PM. Osteoarthritis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a review of anatomy, biomechanics, diagnosis, and treatment. Am J Phys Med Rehabil 2004;83(10):791–7.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