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간판탈출증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지식
추간판(intervertebral disc)에 대한 이해
추간판탈출증이란?
분류
중심핵의 탈출 정도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단계
팽륜(bulging) 추간판
돌출(protrusion) 추간판
탈출(extrusion) 추간판
분리(sequestration, 격리) 추간판
위치에 따른 분류
좌골신경통(sciatica)이란?
추간판탈출증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지식
추간판(intervertebral disc)에 대한 이해
- 구성: 상, 하의 연골종판(cartilage end plate), 젤라틴 모양의 중심핵(central nucleus), 바깥 섬유륜(annulus fibrosus)
- 기능: 척추 사이에 위치하여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배하고 척추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수행
- 구조
- 정상적으로는 추간판은 위, 아래로는 연골 종판, 전후좌우로는 윤상 골단의 외측 주변내에 국한되어 있고 후연은 약간 오목함
중심핵 | 섬유륜 |
|
|
추간판탈출증이란?
- 중심핵이 손상된 섬유륜을 뚫고 척추사이 공간 밖으로 탈출하는 질환
- 수분함량이 감소하고 섬유륜의 탄력이 떨어지게 되면 섬유륜이 추간판 정상 범위의 바깥쪽으로 밀려남
분류
중심핵의 탈출 정도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단계
팽륜(bulging) 추간판
- 섬유륜의 퇴행 변화로 인해 장력이 약해져 수핵으로부터 오는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정상 추간판이 차지하는 공간을 넘어서서 척추체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그 가장자리를 3mm이상 대칭적으로 넘어서서 볼록해지는 것
돌출(protrusion) 추간판
- 추간판의 퇴행 변화나 외상에 의해 제자리를 벗어난 수핵이 내측 섬유륜을 뚫고 외부로 탈출하려하나, 아직까지 외부 섬유륜의 일부가 파열되지 않아 수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
- 외부의 섬유륜은 수핵의 압력에 의해 국소적으로 팽윤되어 있음
탈출(extrusion) 추간판
- 추간판 섬유륜이 내측뿐만 아니라 외측까지 전층에 걸쳐 파열되어 수핵의 일부가 섬유륜의 균열을 통해 완전히 빠져 나온 상태
- 빠져나온 수핵은 아직 추간판 중심부의 수핵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 후방 종인대를 통과했는지에 따른 분류: 인대하 탈출(subligamentous extrusion), 경인대 탈출(transligamentous extrusion)
분리(sequestration, 격리) 추간판
- 탈출된 수핵이 모체와 완전히 단절되어 유리된 상태
- 유리된 추간판은 수핵, 섬유륜, 연골 등으로 구성
- 척추관내에서 상하 또는 외측으로 이동
팽륜(bulging) 추간판 | 돌출(protrusion) 추간판 |
탈출(extrusion) 추간판 | 분리(sequestration) 격리 추간판 |
불안전 탈출 vs. 완전 탈출 | ▶ |
|
돌출된 추간판이 섬유륜에 의해 싸여 있는지에 따른 분류 | ▶ |
|
경막이나 신경근의 압박을 초래하지 않는 탈출 | ▶ |
|
위치에 따른 분류
-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중심성(central), 후외측부(posterolateral), 추간공내(foraminal), 극외측(far lateral)으로 분류
A. 중심성 | B. 후외측부 | C. 추간공내 혹은 극외측 |
좌골신경통(sciatica)이란?
- 요추에서 기인하여 넓적다리의 뒤쪽이나 바깥쪽으로 방사되는 통증
- ‘Red flag’ 소견이 없다면 좌골신경통의 가장 흔한 원인은 요추 추간판탈출증임
- 증상이 있는 요추 추간판탈출 환자의 99%에서 좌골신경통을 호소하지만 좌골신경통을 동반한 급성 요통 환자에서는 4%에서만 영상검사를 통해 요추 추간판탈출을 발견할 수 있음
참고자료
- 석세일. 척추외과학(2011). P300-331
-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7판(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