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요통: 요부 긴장 혹은 염좌(strain)
개요
- 동의어: 허리 통증(low back pain), 허리 삠(lumbar sprain), 허리 염좌(strain), 허리 당김(pulled low back)
허리 염좌(strain) | vs. | 허리 삠(sprain) |
|
|
|
허리 연부조직의 위치가 대부분 깊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 근육인지, 인대 손상인지 감별은 어렵습니다. 둘 간 치료원칙은 비슷합니다.
진단
병력
- 과거력: 무거운 물건을 반복하여 들거나 허리 비틀기, 진동이 심한 장비 다루기 등
무거운 물건을 들고 난 후에 잘 발생합니다.
하지만 떨어진 종이를 집기 위해 몸을 기울이는 사소한 행동만으로도 생길 수 있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에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 운동부족, 잘못된 운동, 직장 불만족, 흡연,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
- 요통/방사통: 엉덩이와 허벅지 뒷면으로 방사통 가능
바로 서기가 힘들거나 불편해서 자꾸 자세를 바꾸는 경향을 보입니다.
진찰
- 압통: 하부 허리, 천장관절 주위
- 관절운동: 허리 운동성 제한
특히 굴곡운동에 있어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신경학적 검사: 정상
검사
- 단순 X선: 유용성이 떨어짐
30대 이상에서 디스크 사이가 좁아지거나 골극이 관찰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렇지만 이런 소견은 요부 염좌와 연관된 병적 소견인 경우는 드물고 연령에 따른 생리적 노화현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타당합니다.
치료
1단계: 증상호전을 위한 치료 |
환자들에게 급성통증이 수일 내 좋아지기 시작할 것이라고 격려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
▼ 심한 통증이 완화되는 경우 |
|
2단계: 일상생활 복귀를 위한 재활치료 |
▼ 통증이 줄어들고 신체활동 정도가 증가된다면
|
퇴행 척추질환(degenerative spine disease): 추간판, 후관절
개요
퇴행성(degenerative)이란?
- 연령의 증가에 따라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이 점차 소실되는 상태
- 척추에서의 퇴행성 상태는 척추의 골관절염 or 척추증으로 명명
척추에서 퇴행성 과정이 가장 심한 2 부분
- 추간판
- 척추후관절
노화: 대부분 40세 이상에서 발생
| |
▼ | |
척추의 퇴행성 변화 | |
추간판의 변화 | 척추후관절의 변화 |
섬유륜 콜라겐 구조 노화에 의한 변형 → 콜라겐의 변화된 교차결합에 의해 판구조의 부분적인 파열 → 섬유륜 수분 감소(m/i), proteoglycan 성분 감소 → 추간판의 압박에 대한 탄력성↓ | 연골 소실, 골증식체 형성, 낭종(cyst) 형성 관절 비대
|
진단
증상/병력
- 주된 호소는 통증. 항상 신체활동과 연관
- 악화/완화인자: 장시간 앉아 있는 자세 시 악화 → 활동을 조금 하면 증상 완화
- 특히 아침에 강직 호소
신체검사
- 특이 사항(-)
영상검사
- 단순 X선
- 주요 소견:
- 요추 척추증(Lumbar spondylosis): 추간판 공간감소, 골증식체(osteophyte), 인대골극 형성, 척추후관절의 비대, 척추후관절의 연골공간 감소
- 퇴행성 과정 진행에 따라 종판이 인접한 곳에 반응성 골 형성 발생(드물게 경화성 반응이 뚜렷하여 특발 척추 과골화증 초래)
- 주요 소견:
- CT
- 척추후관절의 퇴행 변화 관찰에 효과적
- 주요 소견: ① 관절 비대: ‘숫양의 뿔(ram's horn)’ 모양 ② 추간판 높이 붕괴에 의해 팽만해진 섬유륜 → 팽윤(bulging)
- MRI
- 주요 소견
- black disc disease: 디스크의 최초 퇴행변화인 수분 손실에 따른 소견. 수분의 손실은 T2 강조 영상에서 신호강도의 감소로 쉽게 확인 가능
- 척추 후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 축상(axial) 영상에서 확인 가능
- 황색인대의 휘어짐(buckling), 과잉여분(redundancy), 비후(hypertrophy)
- 주요 소견
치료
- 비수술 치료
- 자세교정
- 운동: 척추 주위와 복부 근육 강화
- 약물요법: 소염제, 진통제는 급성기에 단기간 사용
- 요천추 보조기: 분절 불안정이나 척추전위증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
- 수술 치료
- 적응증 : 젊고, 단일 부위의 질환이며, 수술 후에 중노동이나 고난도 스포츠를 할 계획이 없는 사람
- 수술방법: 유합술 - 후측방 유합술, 전방 추체간 유합술 등
요추 추간판탈출증(lumbar HIVD)
[참고] 요추추간판탈출증(Lumbar HIVD)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참조] 요추 척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 척추분리증(Spondylolysis)
개요
개념
퇴행 척추전방전위증이란?
- 디스크와 후관절의 퇴행 변화로 인해 추체가 전방으로 미끄러져 나온 경우. 척추궁(lamina)과 관절간부(pars interarticularis)는 정상
- 퇴행 척추전방전위증의 동의어: 협부 결손 없는 가성 척추전방전위증(Pseudospondylolisthesis)
cf. 후방전위증(retrolisthesis): 아래 추체에 대하여 위의 추체가 후방으로 전위된 경우. 퇴행 변화가 주요 원인
- 호발부위: L5 > L4 > L3
Spondylolysis(척추분리증)
- 정의: 척추 관절간부(pars interarticularis)의 결함
- 관절 간부 : 척추의 상하 관절돌기 사이 영역(superior articular process, inferior articular process)
- 원인
- 외상성 골절, 스트레스 골절 등
- 반복적인 과신전과 회전이 요구되는 스포츠 운동: e.g. 체조, 축구, 트랙과 장대 높이 뛰기, 창던지기, 접영, 유도 등
- 역학: 발병률은 6~7%, 남성에게 더 빈번
양측 Spondylolysis(척추분리증)이 있을 때, 하나의 척추체가 다른 척추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Spondylolisthesis(척추전방전위증) 이라고 부릅니다.
분류
- Spondylolisthesis(척추전방전위증) 5가지 유형: 척추전방전위증의 앞으로 빠져나온 Meyerding 등급
- 제 1형 : 선천 척추전방전위증은 특징적으로 dysplastic sacral facet관절이 존재해 한 척추체가 다른 척추체의 전방으로 전위가 일어날 수 있음
- 제 2형 : 협부 척추전방전위증은 관절 간부의 스트레스 골절로 인하여 발생함
- 제 3형 : 퇴행 척추전방전위증은 후관절병증(facet arthropathy)으로부터 오는 분절간 불안정성에 의하여 발생함
- 제 4형 : 외상성 척추전방전위증은 후관절이나 관절간부의 급성 외상으로 인하여 발생함
- 제 5형 : 병적 척추전방전위증은 후관절을 불안정하게 할 수 있는 여러 골질환에 의하여 발생함
진단
증상/병력
- 40세 이상의 과체중인 여성에서 흔함
- 주로 요통 및 다양한 형태의 방사통(물건을 들거나 허리 구부리기, 비틀기 등의 동작 시 요통 악화)
- 간헐적 요통 외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
- 방사통 없이 만성적 요통을 호소하는 경우
- 신경학적 결함은 없으나 주로 방사통을 호소하는 경우
- 신경학적 결함과 더불어 방사통을 호소하는 경우
- 중심 척추관이 좁아져 간헐적 파행성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 수술 고려
- 신전시 악화, 굴곡시 완화
마미신경총 증후군 등의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은 드뭅니다.
신체검사
- 척추 곡선의 변화, 허리 전만 소실, 극돌기 위치의 급격한 전락(step-off)
- 신경학적 검사: L1~S4 신경뿌리에 대한 운동 및 감각기능 평가
영상검사
- AP, lateral X-ray view
- Lateral view
- 위 추체가 아래에 비해 수 mm 전방으로 미끄러져 있는 소견. 병변부위 디스크에서 퇴행 변화, 좁아진 공간
- Spondylolysis(척추분리증): scottie dog's collar 소견
강아지 목이 잘린듯하다 해서 scottie dog's collar(스코티 강아지의 목)라고 합니다.
치료
- 비수술 치료
- 체중감량
- 운동치료: 체간과 척추근육 근력강화 운동
- 복대: 증상완화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단단한 보조기는 피할 것
- 수술 치료
-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는 경우
- 심한 미끄러짐(50% 이상)이 진행되는 경우
- 신경학적 이상, 근력 약화 진행
골다공증에 의한 압박골절
개요
- 골다공증성 골절 중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골절
- 골다공증, 암, 감염, 장기간 스테로이드 사용 시에는 경미한 손상만으로도 골절 발생 가능
외래에 방문한 환자의 척추 골절력에 대한 한 연구에서 약 30%에서 외상을 경험하지 못했거나 자각하고 있지 못하는 무증상 척추 골절로 밝혀진 바 있습니다.
진단
증상/병력
- 중등도 이상의 척추통증
- 대개 움직일 때 통증 악화
- 저림증 같은 감각이상, 근력약화, 장이나 방광기능 장애 → 신경뿌리 혹은 척수손상 시사
신체검사
- 손상을 받은 부위의 압통
- 신경학적 검사
- 손상 원위부의 모든 신경뿌리의 운동과 감각기능 평가
- 광범위한 감각이상, 근력약화, 간대성 경련, 심부건반사 소실, 바빈스키 징후 양성 → 척수손상 시사
영상 검사
심한 요통이 동반되거나, 최근 신장 저하가 있는 경우 흉요추부 측면 단순 방사선 사진의 촬영이 정확한 진단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흉추/요추 AP, lateral X-ray 검사
- CT
치료
치료원칙
- 치료목표: 신경손상 예방, 안정성 회복, 정상기능 회복
비수술 치료
- 통증 조절: 단기간 마약성 진통제(경구, 경피전달), 일반 진통소염제(경구, 정맥주사, 근육주사), cyclo-oxygenase-2 길항제, 근육이완제, 항우울제 단독 혹은 병용 투여
- 부갑상선 호르몬(골 형성촉진제): 비특이적인 척추 통증 감소효과
- 스테로이드 주사: 척수손상 환자는 가능한 빨리 투여
- 침 시술: 척추를 이루고 있는 근육, 인대 등의 압통점에 시술
- 보조기 착용: 등허리 코르셋
- 골절 초기 단시간 착용 시 골절의 불안정성 통증 조절 및 이로 인해 조기 재활 가능
- 장기간의 보조기 착용은 권고되지 않음
- 20° 이하나 척추 후방조직에 손상이 없는 압박골절은 8~12주간 앉거나 선 자세에서는 보조기 착용
척추 보장구 착용 기간이 끝난 후에는 근력 강화운동(몸통 굴곡근, 신전근)을 개시해야 합니다.
- 일상생활
- 걷기는 권장할 수 있지만 구부리거나 몸통 비틀기, 20파운드 이상의 물건 들기는 피해야 함
- 가능한 조기에 직장에 복귀할 것
수술치료
- 적응증
- 통증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 골절의 진행으로 후만증이 발생하는 경우
- 수술 방법
- 척추성형술, 풍선 성형술
- 국소마취로 시행되며 골절부위에 시멘트를 주사하여 내부에서 응고시켜 골절부위를가 안정시키는 술식
- 추정기전: 시멘트가 응고되면서 골절부위의 기계적으로 안정되면서, 시멘트 응고 시 발열반응으로 인하여 통증을 느끼는 신경 말단이 손상되면서 진통효과 발생
- 고식적인 수술 시행: 나사못 삽입술 및 척추 유합술
- 골절의 진행 등으로 인하여 불안정성이 발생되는 경우
- 척추성형술, 풍선 성형술
> Dr. 김지형의 코멘트 다른 부위에서도 언급되었지만, 압박골절 중에서 어떤 경우는 암성 전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는데, 특히 다발성인 경우에 흔히 잘 발생하지 않는 흉추 등에 발생한 압박골절인 경우에는 더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참고자료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 척추분리증(Spondylolysis)]
- Alqarni AM, Schneiders AG, Cook CE, Hendrick PA. Clinical tests to diagnose lumbar spondylolysis and spondylolisthesis: A systematic review. Phys Ther Sport 2015;16(3):268–75.
- Dunn B. Lumbar spondylolysis and spondylolisthesis. JAAPA 2019;32(12):50–1.
- Lawrence KJ, Elser T, Stromberg R. Lumbar spondylolysis in the adolescent athlete. Phys Ther Sport 2016;20:56–60.
- Leone A, Cianfoni A, Cerase A, Magarelli N, Bonomo L. Lumbar spondylolysis: a review. Skeletal Radiol 2011;40(6):683–700.
- Haidar R, Saad S, Khoury NJ, Musharrafieh U. Practical approach to the child presenting with back pain. Eur J Pediatr 2011;170(2):149–56.
- Randall RM, Silverstein M, Goodwin R. Review of Pediatric Spondylolysis and Spondylolisthesis. Sports Med Arthrosc Rev 2016;24(4):184–7.
- Berger RG, Doyle SM. Spondylolysis 2019 update. Curr Opin Pediatr 2019;31(1):61–8.
[골다공증에 의한 압박골절]
- Shin HK, Park JH. The Epidemiology and Importance of Osteoporotic Spinal Compression Fracture in South Korea. J Korean Soc Spine Surg. 2015 Sep;22(3):99-103.
- Park SY, Lee SH, Jeong WK, Kang CH. Surgical or nonsurgical treatment of osteoporotic fracture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6;59(11):857–65.
- Yang SO, Kim S, Juhng SK. Imaging Diagnosis of Osteoporotic Fractur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3(1):67–75.
- Kim YM, Shim DM, Lim KH. Treatment Options of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J Korean Fract Soc 2018;31(3):114-121
- Ahn SJ et al. The Diagnosis of Osteoporotic Occult Vertebral Fracture and Vertebroplasty. J Korean Fract Soc 2012;25(3):208-214
- Hwang SH et al. The Influence of Initi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on the Compression Rate of Thoracolumba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J Korean Orthop Assoc 2018; 53: 341-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