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경추긴장/염좌
개요
정의
편타증(whiplash), 편타성 질환Whiplash-associated disorder (WAD)
진단
증상/병력
신체검사
영상검사
감별진단
치료
치료원칙
약물요법
물리치료
운동요법
테이핑요법
통증 주사
환자교육
편타성 질환(whiplash associated disorder, WAD)
개요
정의
원인
분류
진단
증상/병력
신체검사
치료
경추 신경병증(Cervical radiculopathy)
경추긴장/염좌
개요
정의
- 경부의 인대나 힘줄 등의 연부 조직 손상으로 통증이 발생한 경우
- 원인: 외상이나 자세 이상 등
- 임상에서 흔하며 시간이 지나면 대개 호전됨
- 용어를 세부적으로 정의하면①
|
① 전문가나 일반인들 모두 이 두 용어를 서로 혼용하여 사용
- 신체검사나 X선 검사로는 목의 심부 연부조직 손상이 근육에 있는지 인대에 있는지 구별할 수 없으므로 보통 경추 염좌에는 경추디스크나 후관절의 인대손상도 포함
- 어떤 연부조직이 손상되었는지에 상관없이 진단이나 치료방법은 유사
- 다만 진단 시에 목뼈관절의 불안정성과 신경학적 이상 유무에 대해서 신중하게 감별할 것
편타증(whiplash), 편타성 질환Whiplash-associated disorder (WAD)
- 가속 감속 기전에 의한 급격한 목의 굽힘 폄 손상
- 교통사고(특히 뒤에서 오는 차에 부딪힌 경우)에 의한 근육/인대 손상이며 특별한 병리적 소견은 나타나지 않으면서 목의 통증과 장애가 만성적으로 진행되기도 함
- 심한 경우는 경추 관절의 불안정성이나 경추 디스크 전위도 발생함
진단
증상/병력
- 임상증상: 목통증
|
- 질환의 부작용/합병증
- 대부분 4~6주 내에 증상 소실
- 편타증인 경우: 증상 소실에 더 오랜 시간 소요. 6~12개월이면 약간의 증상만 남기고는 대부분 소실
- 기존에 존재하던 퇴행성 이상에 미세한 디스크 손상이 겹친 경우에는 극심한 통증 가능
- 때로는 척추협착에 의한 척수증 증상, 신경근포착에 의한 신경근병증 발생가능
- 오랫동안 호전이 안 되는 경우 우울증, 만성 통증, 약물 의존성 발생 가능
신체검사
- 압통점: 척추 주위근, 등세모근, 목빗근, 가시돌기, 가시돌기사이 인대, 어깨뼈 내측
- 운동범위: 운동제한(목의 가쪽굽힘, 폄, 굽힘, 돌림 운동); 과다한 목 움직임 시 통증↑
- 신경학적 장애: 대개 없음
영상검사
- X 선 검사
- 검사방법
- 기본 검사: AP, lateral, open-mouth view
-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목뼈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X 선 검사 시행
추체가 3.5 mm 이상 제 위치에서 이동되었는지 또는 인접 추체에 비해 11° 이상 위치변화가 있는지 확인 - 과도한 목의 굽힘-폄 X 선 촬영: 신경학적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평가 전에는 시행하지 말 것
- 확인 사항
- 7개의 경추뼈
- 인두의 공기음영이 전방으로 전위된 경우: 척추골절, 디스크 손상, 목 전방 긴인대, 뒤통수뼈-목뼈(후두-경추) 연결부위 손상으로 인한 연부조직에 종창이 있음을 시사 → 전문의에게 자문을 구할 것
- 근육경직으로 인해 목뼈의 앞굽음 곡선이 일자가 되거나 반전되는 소견(정상인의 약 10% 정도에서도 나타나는 소견)
- 퇴행성 변화: 나이가 증가할 수록 흔함. 흔한 부위: C5~6, C6~7
- 검사방법
감별진단
- 경추 디스크 탈출(Cervical disk herniation): 신경학적 이상과 연관통
- 감염/종양(Cervical spine tumor or infection): 야간통증, 체중감소, 발열, 오한, 땀
- 탈구/아탈구(Dislocation or subluxation of the spine): X선 영상소견으로 나타남
-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conditions of the cervical spine): 류마티스 관절염
- 척추골절(Spinal fracture): X선 영상사진 이상
- 보상심리에 의한 증상악화( Symptom amplification/secondary gain): 일관적이지 않고 과장된 증상
치료
치료원칙
- 대개 별다른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치유되는 경향. 증상이 심할 때는 약물이나 물리치료, 운동치료 등 유용
- 근막통증증후군이 동반되는 경우 해당 근육의 유발점에 대한 부가적인 치료(예. TPI)가 도움이 될 수 있음
- 경추 베개는 수면에 도움을 줌
※ 위험신호 /의뢰
의뢰해야 하는 경우: ① 호전되지 않는 통증; ② 신경근 장애; ③ 척수증; ④ 진단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약물요법
- 처음 1~2주간의 급성기에는 목 보호대와 진통소염제를 단기간 사용하며, 근육경축이 있는 경우는 근이완제도 도움이 됨
- 초기에 약한 마약성 진통제 가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손상 후 1~2주 이상은 쓰지 않도록 함
- 항우울제 (doxepin 또는 amitriptyline)는 수면에 도움을 줌
물리치료
- 첫 4주 동안에는 마사지, 견인, 초음파 등 물리치료가 도움이 됨
운동요법
- 원칙
- 완만한 능동운동, 경부의 등척성 운동(isometric neck exercise): 통증이 없는 한 1일 3회 5분간 시행 → 통증호전시 시간을 줄임
- 2-3주후에는목에 collar를 떼어가면서 운동을 증가시킴
- 걷기 같은 유산소 운동은 가능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음
- 증상이 조금 호전되면 등척성 운동 을 추가하며 대개 2주 후부터 시행
- 잘 안 움직이거나 긴장된 근육으로 인한 경추 염좌는 스트레칭과 강화운동이 효과가 좋음
- 가정운동 프로그램에는 통증을 안 느끼는 범위 내 에서의 모든 목 운동(예. 목 돌리기)을 포함시키도록 함
- 추가로 등뼈 상부의 스트레칭은 목의 가동성을 높이고 이완을 시키는 데 도움을 줌
- 3~4주의 가정운동 프로그램으로도 좋아지지 않으면 도수견인치료, 특정 분절에 대한 관절가동술(joint mobilization) 등 전문적인 도수치료 시행
- 주의!
- 도수 조작 요법은 금함. 급성기에는 도수교정(manipulation)을 삼가하고 부드러운 도수 치료로 접근
- 1주일 이상 운동물리치료 후에도 통증이 심하면 X-ray 촬영을 하여 골절유무를 재확인
테이핑요법
- SCM m.의 운동치료는 중력을 이용한 후등척성 이완운동이 효과적
- Scalen m. 의 운동치료: 후등척성 이완운동
- Trapezius m. 의 후등척성 이완운동
- Levator scapulae m. 의 후등척성 이완운동
- 견갑근, 승모근, 중사각근, 흉쇄유돌근에 테이핑요법 시행
- 근육을 스트레칭 시킨 상태에서 해당근육의 origin과 insertion을 찾아 붙여줌
- 심부근육은 슬래킹건을 통한 근이완자극요법을 사용한 후 테이핑 해줌
통증 주사
- TPI: 견갑거근, 승모근, 중사각근, 흉쇄유돌근의 Trigger points
- 경부 염좌 치료에 주사 요법은 효과가 좋음
- 근막 통증 증후군 동반 시 유용
- 신경차단
- Dorsal scapular nerve block
- suprascapular nerve block(견갑상 신경차단)
-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표재성 경부신경총 차단술)
환자교육
- 대부분이 시간이 지나면 경과가 좋아진다고 이야기해 주도록 함
- 가급적 빨리 일상생활에 복귀하도록 권함
편타성 질환(whiplash associated disorder, WAD)
개요
정의
- 편타손상(채찍질 손상, whiplash injury)”이란? 교통사고와 같이 차가 후방에서 들이받는 경우(rear-end collision) 간접적인 충격에 의해 경부가 급작스럽게 과신전되어 받게 되는 손상
- 반드시 교통 사고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이에 준하는 외상을 받는 경우에도 발생가능
- 경부의 연부 조직에 해부학적 손상을 유발하여 통증을 야기, 운동기능/고유감각의 장애와 정신적인 고통까지 동반
※ 동의어
- 편타성 손상을 나타내는 말은 다음과 매우 다양함
|
원인
- 주로 추돌 사고 시에 발생, 정면 또는 측면 충돌(head on/side collision)시에도 발생가능
- 다이빙사고에서도 발생가능
발생 기전
|
▼ |
|
▼ |
|
분류
Quebec Classification of Whiplash-Associated Disorders
|
진단
- ‘WAD’를 진단내리기 위해서는 우선 골절, 부분탈구(subluxation), 척수손상을 완전히 배제해야 함
증상/병력
- 경부의 근육, 인대, 추간판, 추간관절 등 모든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 가능
- 대부분 경부의 통증과 목의 뻣뻣함을 호소, 두통, 어깨 통증
인대와 근육의 손상은 대부분 수상 후 수 개월 내 회복되지만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경추 후관절(facet joint)이나 추간판의 손상 가능성 여부를 고려해야 합니다.
신체검사
- 신경학적 이상은 드묾
치료
- 후두 신경통(occipital neuralgia)이 있는 경우: 제 2경추 후근신경절 차단술(C2 DRG block) 및 제3후두신경 차단술(TON bock) 모두 시행 필요
경추 신경병증(Cervical radiculopathy)
[참조] 경추신경병증(Cervical radiculopathy)
참고자료
[경추긴장/염좌]
- Choi KH. Neck Pain.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1):33–8.
- John F.Sarwark. AAOS 정형외과학(essentials of musculoskeletal care) 4판. 범문에듀케이션; 2013. p. 638–40.
[편타성 질환(whiplash associated disorder, WAD)]
- 대한통증학회. 통증의학 4판(2012). P222-223
- Paeng SW, Jung YT, Pyo SY, Kim MS, Jeong YG. Is the use of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 Useful in Whiplash Injury. Kor J Spine 2009;6(4):2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