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고내용 | 권고등급 | 근거수준 |
전신상태가 불량한 고혈당 환자에게서는 당뇨병케토산증(diabetic ketoacidosis, DKA) 또는 고혈당고삼투질 상태(hyperglycemic hyperosmolar state, HHS)를 먼저 의심해야 한다. | 전문가의견 | 일반적권고 |
DKA나 HHS로 진단된 경우에는 반드시 선행인자를 확인한다. | 전문가의견 | 일반적권고 |
DKA나 HHS가 진단되면 프로토콜에 따라 탈수, 고혈당 및 전해질불균형을 교정한다. | 전문가의견 | 일반적권고 |
DKA나 HHS의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저혈당, 저칼륨혈증 및 뇌부종 등 합병증 발생에 주의한다. | 전문가의견 | 일반적권고 |
DKA나 HHS를 예방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의심 증상이 있을 때 의료진과 상담하도록 환자를 교육한다. | 전문가의견 | 일반적권고 |
진단
전신상태에 문제가 있는 당뇨병환자는 항상 당뇨병성케톤산증(DKA, diabetic ketoacidosis)과 고삼투압성 고혈당상태(HHS, 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us)를 의심해야 한다.
DKA나 HHS는 응급상황에 해당하며, 비정상적인 대사상태를 교정하고 모니터링해야 하며 치료 도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발생에 주의한다.
탈수가 심하고 의식이 명확하지 않은 환자는 먼저 기도를 확보하고 생리식염수를 정주하며 가까운 응급실로 전원하는 것이 좋다.
증상/병력/신체검사
증상①
신체검사
|
① DKA에서는 오심, 구토, 복부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복통이 당뇨병성케톤산증의 결과인지 선행인자인지 감별해야 한다.)
- DKA나 HHS로 진단된 경우는 선행인자를 확인할 것
DKA의 선행인자 | HHS의 선행인자 |
▼ | ▼ |
|
|
진단 검사
DKA 진단 | HHS 진단 |
▼ | ▼ |
|
|
검사방법①
케톤체(serum ketone bodies)
고혈당
CBC
혈청 나트륨
혈청 칼륨
음이온간격(anion gap)
혈청 오스몰랄농도
amylase/lipase
| ||||||||||||||||||||||||||||||||||||||||||||||||
▼ | ||||||||||||||||||||||||||||||||||||||||||||||||
DKA/HHS 진단 및 중증도 평가
① SGLT2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 임신부, 알코올 남용이나 간기능 저하가 있는 환자는 정상혈당 DKA(euglycemic DKA) 발생 가능 ②
③ 유효혈청오스몰랄농도 (effective osmolarity: 2x [Na+ (mEq/L)] + glucose (mg/dL)/18). ④ 음이온차: (Na+)-[Cl- + HCO3-]. |
감별진단
- 케톤산증: 모두 DKA는 아님. 금식으로 인한 케톤증와 알코올성 DKA 감별
- 고음이온간격(high anion gap) 대사성산증: lactic acidosis, 약물(salicylate, methanol, ethylene glycol, paraldehyde, cocaine), 급성 혹은 만성 신부전증 등)
치료
치료 원칙
- 치료 목표
- 체액손실 보충을 통한 적절한 체내 조직 관류 회복
- 케톤생성의 중단
- 전해질 정상화
- 고혈당에서의 회복
- 치료 중 모니터링이 중요하며 중증도에 따라 중환자실이나 준중환자실에서 치료
치료 흐름도
성인 당뇨병케토산증과 고혈당고삼투질상태의 치료
수액
|
인슐린
포타슘
탄산수소염(HCO3-)
|
모니터링
처음 내원 시 |
|
▼ |
|
치료하는 동안 | 검사실 검사
정맥인슐린주입을 피하주입으로 전환
DKS/HHS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
참고자료
- 대한당뇨병학회. 2021 당뇨병 진료지침 제 7판
- 대한당뇨병학회. 2015 제 2 형 당뇨병 진료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