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기준
- atlanta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s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음(2013 recent update)
- 아래 세 가지 중에 2가지 이상이면서 다른 췌장질환이나 급성복통을 일으키는 질환이 감별된다면 급성췌장염으로 진단 가능
|
급성췌장염의 정의(2012 Atlanta Classification of Acute Pancreatitis)
|
증상 및 징후
급성 복통/압통: 가장 중요!
- 급성췌장염을 의심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임상증상과 징후는 급성췌장염에 부합되는 상복부의 급성통증과 압통
P: Palliative/Provocative factors
Q: Quality
R: Radiation/Region
S: Severity
T: Temporal factors
|
기타 증상/징후
- 구역/구토, 복부 팽만, 장음 감소 또는 소실
- 발열, 빈맥, 저혈압, 쇼크
- 후복막강에 많은 exudate가 고이면서 hypovolemia가 생기기 때문
- 여러 소화 효소와 cytokine이 전신적인 작용을 일으키기 때문
- 자반:심한 괴사 췌장염에서 복강 내 출혈로 인해 생성되며 나쁜 예후를 의미
- Grey-Turner's sign: 옆구리의 청색, 홍색, 보라색 변화
- Cullen’s sign: 배꼽 주위 청색 변화. 적색부분은 염증을 의미하고, 푸르스름한 착색은 복강 내 출혈을 의미
Grey Turner’s sign | Cullen’s sign |
진단 검사
검사실 검사
- Amylase & lipase
- 췌장의 acinar cells에서 분비
- 가장 흔히 사용되는 실험실 표지자
- 혈청 아밀라아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혈청 리파아제검사가 더 급성췌장염의 진단에 유용(민감도는 비슷, 특이도는 더 우월)
Serum amylase 상승
- 통증 발생 후 12시간 이내 참고치의 3배 이상 상승하며, 2~3일 뒤 정상화됨
- 상승 정도는 중증도와 무관
- 1주 이상 계속 상승하면 합병증이나 다른 질환을 고려할 것 → 광범위한 괴사, 췌관의 불완전 폐색, pseudocyst, ascites
- 급성 췌장염 외에 serum amylase가 상승하는 경우(위양성)
췌장질환 | 췌장외질환 | 그외 복부질환 |
|
|
|
- 급성 췌장염이지만 serum amylase는 정상인 경우(위음성)
- 병원에 늦게 오거나 검체를 늦게 채취한 경우
- 만성췌장염의 급성 악화기
- 고중성지방혈증 (lipase도 낮다)
Serum lipase 상승
- 대개 serum amylase 농도와 비례하여 상승하나 췌장에 더 특이적
- amylase보다 늦게 상승을 시작하지만 더 오래 지속되어 발생 3~5일 후 진단에 유용
기타 췌장효소
- 아밀라아제 isoenzyme
- phospholipase A2
- elastase1
- anionic trypsinogen(trysinogen-2)
기타 검사소견
- Trypsin 상승 (췌장에 특이적이고 상승 정도는 췌장의 염증 정도에 비례)
- 백혈구 증가증
- 고혈당: 췌장 파괴에 의해 insulin↓, glucagon↑
- 저칼슘혈증
- 고빌리루빈혈증, AST/ALT↑, ALP↑
- 고중성지방혈증
- 저알부민혈증, 저산소증, BUN↑, LD↑
영상 검사
췌장 효소 검사의 민감도나 특이도가 급성 췌장염을 진단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지만 확진하는 검사가 아니므로 수치가 많이 상승하지 않는 경우는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럴 때 영상 검사, 특히 복부 CT (Computed tomography)가 진단을 확진하는데 도움을 준다.
가슴 X선/복부 X선
- Colon cut-off sign: 췌장의 염증 부위에서 transverse colon의 음영이 끊어짐
- 담석
- Sentinel loop sign: 국소적인 ileus 때문에 나타남 (주로 LUQ)
복부 초음파
- 급성 췌장염의 진단보다는 담낭 담석, 총담관 담석에 의한 총담관 확장 확인
- 급성 췌장염 소견: 췌장 비대, 췌장 주변의 염증 변화, 복수
복부 CT
- 복부 CT는 급성 췌장염을 확진 하는데 있어 가장 유용한 검사
- 유용성: ① 급성 췌장염의 확진, ② 다른 복부 질환과의 감별, ③ 중증도/예후 평가, ④ 합병증 확인
- 급성 췌장염 소견: 췌장 비대, 췌장 실질의 불균질(heterogeneity), 췌장 주변의 stranding, 췌장 주변의 액체 저류
- 괴사 소견: low attenuation을 보이며 감염, 사망의 중요한 예측 인자
췌장이 부어서 커진 것을 볼 수 있다. | 저음영의 췌장 괴사를 볼 수 있다. |
복부 MRI
- CT만큼 정확한 검사, 합병증/췌장 괴사/중등도 평가
- 특히 담석성 췌장염이나 출혈성 췌장 괴사 진단에는 복부 CT보다 우월
- MRCP: 담췌관의 해부학 구조 파악, 작은 담관 담석 확인
ERCP
-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인해 급성 췌장염의 진단을 목적으로 시행하지 않음
- 담석성 췌장염에 한해서 내시경 치료 시행 고려
원인에 대한 평가
- 급성췌장염으로 진단되면 앞으로 치료계획의 수립과 재발방지를 위해 가능한 빨리 원인에 대한 평가 개시
- 일차적으로 환자의 과거력과 가족력을 확인하고 간기능검사, 칼슘, 중성지방 등의 혈액검사와 복부초음파 시행
감별 진단
- Perforated hollow viscus (특히 peptic ulcer)
- Acute cholecystitis, biliary colic
- 급성 장 폐색, 장간막 혈관 폐쇄
- Renal colic
- Myocardial infarction, aortic dissection
- 폐렴, DKA, connective tissue disorder
중등도 평가
중증도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여러 clinical scoring system이 개발되어 있다.
|
- 중증도 평가를 위해서는
- 임상 증상, 징후 및 임상 검사를 통한 중증도 평가: 중증도 판정 기준 활용(APACHE II scoring system, Ranson’s criteria, Glasgow severity scoring system)
- 영상검사를 통한 중증도 평가: 조영증강 복부 CT 시행(장기부전, 패혈증 및 임상 양상이 악화되는 경우 경과 관찰을 위해 추가 시행 고려). CT severity index 활용
Ranson’s criteria (non-gallstone pancreatitis) Glasgow system
입원 당시
입원 후 48시간 동안
|
Glasgow severity scoring system for acute Pancreatitis
|
급성 췌장염의 예후를 보기 위해서 많은 지표들이 개발되어 대충 어떠한 항목이 있는지 정도는 아는 게 중요하다. 일단 고령이거나 비만 또는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vital sign이 떨어지거나 장기 부전이 동반되면 위험할 것이다. Hemoconcentration의 경우 혈장이 그만큼 3rd space로 빠져나갔다는 것이므로 이 또한 위험한 sign이 된다.
참고자료
- Carroll JK, Herrick B, Gipson T, Lee SP. Acute pancreatitis: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Am Fam Physician 2007;75(10):1513–20.
- Banks PA, Bollen TL, Dervenis C, et al. Classification of acute pancreatitis— 2012: revision of the Atlanta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s by international consensus. Gut 2013;62:102-11.
- Tenner S, Baillie J, DeWitt J, Vege SS,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guideline: management of acute pancreatitis. Am J Gastroenterol 2013;108(9):1400–1415; 1416.
- Greenberg JA, Hsu J, Bawazeer M,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management of acute pancreatitis. Can J Surg 2016;59(2):128–40.
- Koh DH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Acute Pancreatitis: The Diagnosis of Acute Pancreatitis. The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2013;18(2):24-30
- 이홍식. 급성췌장염의 진단과 중증도 예측인자. 대한소화기학회지 2005;46:333–8.
- Whitcomb DC. Clinical practice. Acute pancreatitis. N Engl J Med 2006;354(20):2142–50.
- Stevens T, Parsi MA, Walsh RM. Acute pancreatitis: problems in adherence to guidelines. Cleve Clin J Med 2009;76(12):697–704.
- LEE SH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Acute Pancreatitis: The Assessment of the Severity of Acute Pancreatitis. The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2013;18(2):1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