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내용 및 Reference
|
Core review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3판에서 개정방향
복통에 대해서 내용을 대폭 보강하려고 한다.
- 급성 복통과 만성 복통으로 나눈다.
- 복통의 발생부위가 중요한 만큼 발생부위별로 세분해서 접근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
- epigastric pain
- 상복부 통증(RUQ pain을 중심으로)
- lower abdominal pain
- 골반통/직장항문통
여기에서는 위 개정될 내용에 대해 맛보기 정도로만 'practical guide'에서 다뤄보았다.
원인 및 감별진단
[참조] Practical guide 참조
진단적 접근
- 병력/신체검사: 병력과 신체검사만으로 거의 80%에서 기질적 원인과 비기질적 원인의 정확한 감별 가능
복통 자체에 대한 상세한 평가 |
|
기타 병력 |
|
복통의 흔한 원인별 비교
원인 | Onset | 위치 | 특징 | 양상 | 연관통 | 강도 |
충수염 | 점진적 | Periumbilical early; RLQ late | Diffuse early, localized late | Ache | None | ++ |
담낭염 | 급성 | RUQ | Localized | Constricting | Scapula | ++ |
췌장염 | 급성 | Epigastric, back | Localized | Blunt | Back | ++ ~ +++ |
게실염 | Gradual | LLQ | Localized | Ache | None |
|
소화성 궤양 천공 | Sudden | Epigastric | Localized early, diffuse late | Burning sensation | None | +++ |
소장폐쇄 | Gradual | Periumbilical | Diffuse | Cramping | None | ++ |
복부대동맥류 파열 | Sudden | Abdominal, back, flank | Diffuse | Tearing | None | +++ |
장간막허혈/경색 | Sudden | Periumbilical | Diffuse | Sharp | None | +++ |
위장염 | Gradual | Periumbilical | Diffuse | Spasmodic | None | + ~ ++ |
골반염증 | Gradual | LQ, pelvic | Localized | Blunt | Upper thigh | ++ |
자궁외임신 파열 | Sudden | LQ, pelvic | Localized | Sharp | None | ++ |
+ = mild; ++ = moderate; +++ = severe; LLQ = left lower quadrant; RLQ = right lower quadrant; RUQ = right upper quadrant
|
급성 복통 위주로 다루고자 한다.
복통은 일차진료현장에서 가장 흔히 접하는 증상이지만 어지럼증 등의 증상과 함께 가장 접근하기 난해한 증상 중 하나이다.
아무래도 대부분의 경한 질환 속에 드물게 도사리고 있는 중증 질환에 대한 부담감때문일 것 같다.
복통의 양상이나 유발원인이 워낙 다양하고 복통의 severity와 원인질환의 중증도가 항상 비례하지는 않는 등 감별진단하기 쉽지 않을 때가 종종 있다.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핵심포인트: 병력청취와 신체검사를 통해 중증도가 높은 고위험 환자를 초기에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 급성 복통의 원인으로는 대증적 치료가 가능한 경증 질환부터 응급수술을 필요로 하는 중증 질환까지 다양하다. 대부분의 경한 질환 속에서도 도사리고 있을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중증 질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겠다.
- 최근에는 복통환자의 감별진단을 위해 CT가 많이 시행되고 있고, 그 외 초음파, 때로는 MRI까지 동원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런 영상검사를 이용하기 힘든 일차진료현장에서는 여전히 병력, 신체검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포인트: 생명을 위헙하는 복통의 원인 질환을 잘 알아두자!
- 복강 내의 여러 장기가 복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복부 근육이나 피부, 신체 다른 부위의 연관통 또는 전신질환의 한 증상으로도 복통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원인 감별이 쉽지 않다.
소화기 질환 | 비소화기 질환 |
|
|
포인트: 조금이라도 애매하면 지체하지 말고 상급병원으로 의뢰하는 게 좋을 것 같다.
급성 복통에서 다음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면 중증질환 가능성이 높다.
병력 | 통증 양상 | 신체검사 소견 |
▼ | ▼ | ▼ |
나이>65세 면역억제자(eg. HIV, 장기간 스테로이드 투여) 알코올의존증(간염, 간경변, 췌장염 risk) 심혈관질환 병력(예. CAD, PVD, hypertension, atrial fibrillation) Major comorbidities(예. 암, 게실증, 담석, 염증성장질환, 췌장염, 만성콩팥병) 이전 수술력 혹은 최근 위장관 시술(폐쇄, 천공 위험도 risk) 임신 초기(자궁외 임신 risk) |
|
|
핵심포인트: 소아, 노인, 가임기여성의 경우 비특이적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 따라서 특히 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병력청취와 신체검사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 가임기 여성은 일반적인 내∙외과 질환 외에도 산부인과 관련 질환이 복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성생활, 사회력 등을 포함한 자세한 병력 청취가 반드시 필요하다.
핵심포인트: 우선 복통의 위치가 감별진단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복통을 발생부위에 따라 접근하는 방식은 여전히 유효한 접근전략이다.
- 이는 복통의 발생부위에 따라 연관된 장기가 다르고 따라서 감별진단해야할 질환의 양상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포인트: 국소화된 epigastric pain, periumbilical pain, suprapubic pain은 발생학적 근원과 연관성이 크다.
- epigastric pain, periumbilical pain, suprapubic pain은 위장관 기관의 발생학적 근원에 잘 부합하는 양상을 보인다. 각각 foregut, midgut, hidgut에 속한 장기와의 연관성에 높은 특이도를 보인다.
epigastric pain | → | foregut structures: stomach, pancreas, liver, proximal duodenum |
periumbilical pain | → | midgut structures(99% 특이도): proximal duodenum을 제외한 나머지 소장, 대장의 근위부 1/3, 충수돌기 |
suprapubic pain | → | hindgut structures: 대장의 나머지 2/3, 방광, 요로생식기관 |
포인트: 나머지 복통 부위 또한 해당 복통부위에 인접한 구조물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RUQ pain | Epigastric pain | LUQ pain | |||
Biliary | 담낭염, 담석증, 담관염 | Gastric | 소화성궤양, 위염 | splenic | 비장경색, 비장열상 |
hepatic | 간염, 간농양 | Pancreatic | 췌장염 | cardiac | 심근경색증, 협심증 |
기타 | 폐렴, 폐색전증, 췌장염, 소화성궤양, 막창자뒤 충수염(retrocecal appendicitis) | biliary | 담낭염, 담석증, 담관염 | 기타 | 폐렴, 폐색전증, 췌장염, 소화성궤양, 횡격막 탈장 |
RLQ | periumbilical | LLQ | |||
Colonic | 급성충수염 , 막창자 게실염, 막창자 염전 | colonic | 충수염(초기) 소장폐쇄 위장염 장간막허혈 | Colonic | 구불창자 게실염(sigmoid diverticulitis) |
Genitourinary | 신결석, 난소염전, 골반염증질환, 자궁위임신, 고환염전, 서혜부탈장
| vascular | 복부대동맥파열 대동맥박리 | Genitourinary | 신결석, 난소염전, 골반염증질환, 자궁위임신, 고환염전, 서혜부탈장 |
기타 | 장간막림프절염(mesenteric adenitis) |
|
| 기타 | 복부대동맥류 |
suprapubic |
|
|
| ||
colonic | 염증성장질환, 직장결장염, 게실염 |
|
| ||
genitourinary | 난소종양, 난소염전, 자궁외 임신, 월경통, 방광염, 신결석, 전립선염 |
|
|
핵심포인트: 신체 검사 시 수기를 적절하게 활용할 것!
복막 자극징후 | Cough test: 기침을 유발할 때 통증이 유발되면 (+) Inspiration test: 배를 볼록 내밀면서 숨을 있는 힘껏 내쉴 때 통증이 유발되면 (+) |
RUQ pain | Murphy sign([참조] 담낭염 편 참조) |
하복부 통증(RLQ pain) | Psoas sign, Obturator sign, Rovsing sign([참조] 급성 충수염 편 참조) |
Practical guide: 치료
trimebutine
mebevirine
|
핵심포인트: 복통의 가장 흔한 원인 급성위장관염이나 비특이적 복통은 진경제 단독 또는 진경제와 진통제의 복합 투여와 같은 보존적 치료로 대부분이 증상이 호전된다.
핵심포인트: 복통에 진통제를 투여할 것인가?
- 급성 복통 환자에서 opioid와 같은 강력한 진통제를 투여할 경우 진단에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게 사실이다.
- 본 주제와 관련해서 가장 최근에 발표된 cochrane review에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내리고 있다.
"The use of opioid analgesics in the therapeutic diagnosis of patients with AAP does not increase the risk of diagnosis error or the risk of error in making decisions regarding treatment"
- 진경제와 더불어 진통제 투여를 주저하지 말고 환자의 복통을 조절해주도록 하자!
핵심포인트: 핫팻이 통증의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국내 연구자료에 의하면 응급실로 내원하는 비특이적 복통 혹은 급성 위장관염 환자에서 기존 치료와 핫팩을 병행하는 경우에 기존의 약물치료만 했을 때에 비해 초기 통증의 감소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 국소적인 온열 치료는 생리통, 골반 통증, 관절염과 같은 질병에서 국소적으로 혈류를 증가시켜 통증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복통에서도 핫팩을 활용하면서도 심리적 안정과 함께 복부 안 장기에 국소적인 혈류를 증가시켜 추가적인 진통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실전 처방 예시
- 기전이 다른 진경제를 2-3종 처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3가지 그룹 중에서 1+2, 1+3, 2+3 등으로 병합투여를 하면 될 듯하다.
- musculotropic: mebeverine
- Calcium channel blocker: octylonium, pinaverium, cimetropium, Tiropramide, Phloroglucinol
- 말초아편길항제: Trimebutine
처방예시: 급성 위장염에서 보이는 복통의 경우 다음과 같은 약물 중에 2종을 병합처방하면 될 것 같다.
|
급여기준
위장관 조절제(GI regulator)의 보험기준
- 현재 무조건 1종만 보험인종을 해주고 있다. 2종 처방 시 예외없이 삭감을 당하고 있다.
- 반면에 진경제는 여러 종을 써도 삭감이 되지 않는다.
상병명
코드 | 상병명 |
R10 | 복부 및 골반 통증 Abdominal and pelvic pain |
R10.0 | 급성 복증 Acute abdomen, 중증 복통(전반적)(국소적)(복부경직 동반) Severe abdominal pain (generalized)(localized) (with abdominal rigidity) |
R10.1 | 상복부에 국한된 통증 Pain localized to upper abdomen |
R10.10 | 우상복부통증 Right upper quadrant abdominal pain |
R10.11 | 좌상복부통증 Left upper quadrant abdominal pain |
R10.12 | 명치통증 Epigastric pain |
R10.19 | 상세불명의 상복부통증 Upper abdominal pain, unspecified, 소화불량 NOS Dyspepsia NOS |
R10.2 | 골반 및 회음부 통증 Pelvic and perineal pain |
R10.3 | 기타 하복부에 국한된 통증 Pain localized to other parts of lower abdomen |
R10.30 | 우하복부통증 Right lower quadrant abdominal pain |
R10.31 | 좌하복부통증 Left lower quadrant abdominal pain |
R10.32 | 배꼽주위통증 Periumbilical pain |
R10.39 | 상세불명의 하복부통증 Lower abdominal pain, unspecified |
R10.4 | 기타 및 상세불명의 복통 Other and unspecified abdominal pain |
R10.40 | 복부압통 Abdominal tenderness |
R10.400 | 우상복부압통 Right upper quadrant abdominal tenderness |
R10.401 | 좌상복부압통 Left upper quadrant abdominal tenderness |
R10.402 | 우하복부압통 Right lower quadrant abdominal tenderness |
R10.403 | 좌하복부압통 Left lower quadrant abdominal tenderness |
R10.404 | 배꼽주위압통 Periumbilic abdominal tenderness |
R10.405 | 명치압통 Epigastric abdominal tenderness |
R10.406 | 전반적 복부압통 Generalized abdominal tenderness |
R10.409 | 상세불명 부위의 복부압통 Abdominal tenderness, unspecified site |
R10.41 | 복부반동압통 Rebound abdominal tenderness |
R10.410 | 우상복부반동압통 Right upper quadrant rebound abdominal tenderness |
R10.411 | 좌상복부반동압통 Left upper quadrant rebound abdominal tenderness |
R10.412 | 우하복부반동압통 Right lower quadrant rebound abdominal tenderness |
R10.413 | 좌하복부반동압통 Left lower quadrant rebound abdominal tenderness |
R10.414 | 배꼽주위반동압통 Periumbilic rebound abdominal tenderness |
R10.415 | 명치반동압통 Epigastric rebound abdominal tenderness |
R10.416 | 전반적 복부반동압통 Generalized rebound abdominal tenderness |
R10.419 | 상세불명 부위의 복부반동압통 Rebound abdominal tenderness, unspecified site |
R10.42 | 급통증 Colic, 영아급통증 Infantile colic, 산병(疝病) Lower abdominal colic |
R10.43 | 전반적 복통 Generalized abdominal pain |
R10.49 | 상세불명의 복통 Unspecified abdominal pain, 장결(臟結) Visceral bind |
Case based approach
증례1: 가임기 여성: ectopic pregnancy
S | C.C: Low abdominal pain
과거력
|
O |
|
A |
|
P |
|
▼ | |
S/O |
urine hCG (+)로 복통의 원인이 임신관련 문제인 ectopic pregnancy일 가능성이 커졌다. |
A |
|
P |
|
|
|
| β-hCG |
ER | S/O |
IUD 확인되고 G-sac 보이지 않아 초음파 검사상 임신확정할 수 없으나 환자 urine hCG (+) 하여 추후 외래 f/u 하여 재확인 하기로 함 | 1532.49 |
P |
|
| |
2일 후 OPD | S/O |
| 1273.33 |
A |
ectopic pregancy로 확인되었고, 약물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다. |
| |
P |
|
|
β-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5 미만[mlU/mL]
증례2
S | C.C: diffuse abdominal pain
과거력
| ||
O |
| ||
A |
| ||
▼ | |||
S/O |
| ||
A |
| ||
P |
enterocolitis or acute appendicitis에 의한 small bowel obstruction 감별 어려움 입원하여 evaluation 및 iv anti, npo, L tube drainage 시행하기로 함 V/S이 unstable 해지거나 pain 양상이 acute pain으로 변화할 경우 응급수술을 고려해야 함 |
| S/O | A/P |
HD#2 | V/S: 140/90-78-16-38.4 → (close observation) → 발열(39) 지속되고 pulse 120회이상 상승하고 호흡수 또한 28 회 상승하는 등 V/S unstable해져 emergency op하기로 함 |
|
HD#2 수술 | Adhesiolysis and appendectomy → Acute suppurative appendicitis: proximal ileum이 appendix 근처에 adhesion 되어있었으며, appendix는 supprative 였음. 그러나 tip은 gangrenous 였음. |
|
HD#3 (POD#1) | 아직 가스 안 나왔는데 통증은 없어요. |
|
참고자료
- Manterola C, Vial M, Moraga J, Astudillo P. Analgesia in patients with acute abdominal pai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1;(1):CD005660.
- Moon JH, Cho GC, Cho CH, Ryu JY, Ahn JH. The Usefulness of the Hot Pack as a Complementary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Non-specific Abdominal Pain or Acute Gastroenteritis in an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4(6):702–8.
- Natesan S, Lee J, Volkamer H, Thoureen T. Evidence-Based Medicine Approach to Abdominal Pain. Emerg Med Clin North Am 2016;34(2):16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