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A 가이드라인
2020년 PACLS 알고리즘(흐름도)은 2015년과 비교할 때 큰 변화는 없다.
PALS 알고리듬의 개요: 소아 PALS 알고리듬의 순서는 성인과 동일(그림)
항목 | 2020년 | 2015년 | 2010년 |
전문기도유지술 | |||
인공호흡 |
|
|
|
기관내 삽관 | (2020)
| ||
제세동 | (2020)
| ||
약물 요법/수액투여 | |||
수액소생술 |
|
|
|
epinephrine 투여 |
|
|
|
atropine 투여 |
|
|
|
제세동 불응성 VF 또는 무맥성 VT용 항부정맥제 |
|
|
|
자발회복순환 | (2020) 자발순환회복 후 환자는 발작에 대해 평가되어야 하고 뇌전증중첩증과 일체의 경련성 발작을 치료해야 함 | ||
특수 상황 | |||
패혈 쇼크 | (2020) 수액관리에 대한 적정한 접근과 혈압상승제가 필요한 경우에 epinephrine 또는 norepinephrine 투여는 패혈 쇼크의 소생술에 적절 | ||
출혈 쇼크 | (2020) 성인 데이터의 대규모 분석을 토대로 균형 있는 혈액 성분 소생술은 출혈 쇼크가 있는 영아와 소아에서 바람직 | ||
아편 과량투여 | (2020) 아편 과량 투여의 치료에는 일반구조자 또는 훈련 받은 구조자에 의한 심폐소생술과 날록손의 시기적절한 투여 포함 | ||
심폐질환
| (2020)
|
- 2020년 AHA 가이드라인에서 권장하는 PALS 알고리즘은 아래 그림과 같음(그림)
2015년과 2010년 알고리즘은 동일했고 2020년에서도 9와 10 사이에 "가능한 한 빨리 에피네프린 투여" 이미지가 추가된 것 외에는 큰 변화가 없습니다.
소아 전문 심폐소생술 알고리즘(PALS pulseless arrest algorithm)
1. 심정지 환자가 병원으로 또는 응급실로 왔다면, CPR을 능숙하게 시행하면서 산소를 공급하고 모니터/제세동기를 부착한다. 심폐소생술을 하는 동안 소아의 심장 리듬을 심전도로 판단한다. 전기충격(제세동)이 가능한 리듬(Shockable rhythm)에 해당(심실세동, 무맥성 심실빈맥)되는지 해당되지 않는 리듬(무수축, 무맥성 전기활동)인지를 가려낸다.
2. 제세동이 가능한 리듬(Shockable rhythm)인 경우: 심실세동/무맥성 심실빈맥(VF/Pulseless VT) |
▼ |
3. 전기요법(Electrical therapy)을 시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다시 2분간의 CPR을 시행한다. 전문 기도유지 장비(Advanced airway)가 없다면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30:2의 비율로 시행한다. |
4. 전기충격 직후 리듬이나 맥박 확인 없이 바로 CPR을 재개한다. 수동 제세동기(Manual defibrillator)를 사용하는 경우 한 의료진이 CPR을 하는 동안 다른 의료진은 제세동기를 충전한다. 전기충격을 준 다음 맥박이나 리듬을 확인하지 않고 즉시 CPR을 시행한다. 리듬은 2분마다 확인하고 역시 이 때 흉부압박을 위해 의료진을 교대한다. 5. 정맥 내/뼈 내(Intravenous/intraosseous) 주사 경로를 확보하고 에피네프린(Epinephrine)나 바소프레신(Vasopressin)과 같은 혈압상승제(Vasopressor)를 사용할 수 있다. |
6. VF/무맥성 VT가 1회 전기충격과 2분 CPR 주기에도 불구하고 지속될 경우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같은 혈압상승제(Vasopressor)를 투여하여 CPR 동안 심근 혈류를 증가시켜 ROSC를 유도할 수 있다. |
8. 반복적인 CPR과 전기충격(Shock)에 반응이 없는 불응성 VF/무맥성 VT인 경우, 아미오다론(Amiodarone)과 같은 항부정맥제(Anti-dysrhythmic agent)를 사용할 수 있다. 아미오다론은 VF/VT가 CPR, 제세동, 혈압상승제 요법에 반응이 없는 즉, 불응성 VF/무맥성 VT (Refractory VF/pulseless VT)일 때 투여를 고려한다. 아미오다론을 사용할 수 없다면 리도케인(Lidocaine) 투여를 고려할 수 있다(2015년 가이드라인에서는 amidarone 혹은 lidocaine을 사용할 수 있다고 변경되었다.)
의료진은 심정지의 원인이 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6H와 5T(가역적 병인)를 기억해야 한다. |
9. 제세동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무맥성 전기활성/무수축성(PEA/Asystole) |
▼ |
10. AED가 비전기충격 리듬을 보이는 경우 2분 주기의 CPR을 바로 시행한다. 수동 제세동기가 조직화된 리듬(Organized rhythm)을 보이는 경우 맥박을 확인한다. 맥박이 있다면 심정지 후 처치를 즉시 시행한다. 리듬이 무수축성이거나 PEA처럼 맥박이 없는 경우 CPR을 다시 재개한다. 혈압상승제는 CPR동안 심근이나 뇌혈류(Myocardial and cerebral blood flow)를 증가시켜 OSC를 유도할 수 있게 해준다. |
11. 성인과 마찬가지로 가역적 병인(Reversible causes)이 있는 경우 이를 교정해주는 것이 ROSC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는데 특히, 무수축성/무맥성 전기활성(Asystole/PEA)의 경우 이들 원인을 교정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
국내 가이드라인(2020)
소아 심장정지 전문소생술 순서(병원 전문소생술 팀용)
소아 심장정지 전문소생술 순서(현장 전문소생술 팀용)
충격필요리듬(심실세동/무맥성 심실빈맥) | 충격불필요리듬(무수축/무맥성 전기활동) | ||
▼ | ▼ | ||
4. 맥박이 확인되어 자발순환회복이 되었다면, 소생술 후 치료 계속 5. 제세동 된 후 다시 심실세동이 재발하면 심폐소생술 재개. 재발 직전에 제세동이 성공한 에너지 용량으로 제세동 재시도 6. 5H와 5T 등 다른 가역적인 원인이 있으면 찾아서 교정
| cf. 무맥성 전기활동: 조직화된 전기활동이 있지만, 흔히 느리고 넓은 QRS를 보이면서 맥박이 만져지지 않는 경우
|
치료 | 내용 | |
심전도 리듬 분석 |
| |
제세동 |
| |
가슴압박 |
| |
주사로 확보 |
| |
전문기도유지술/인공호흡 |
| |
약물투여 |
|
|
|
|
|
심정지 원인 조사 및 치료 |
|
전문기도유지술
산소
- 소생술 중에는 100% 산소 사용 가능
- 자발순환이 회복된 후: 동맥혈 산소포화도를 94% 이상 99% 이하로 유지되도록 산소투여량 조절
- PaO2가 80-500 mmHg 사이 어느 값이라도 산소포화도 수치는 100%로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산소포화도를 100%까지 높이는 것은 좋지 않음
- 산소포화도 측정: 자발순환이 회복된 후 저산소혈증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려면 맥박산소포화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산소포화도 측정
입인두기도기/코인두기도기
입인두기도기 | vs. | 코인두기도기 |
|
|
|
백-마스크 호흡
- 병원 도착 이전, 특히 짧은 이송 동안에는 환기와 산소화를 위해 백마스크 호흡법으로 호흡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
- 적절한 크기의 마스크를 선택하고 기도를 적절하게 연 후, 마스크와 얼굴이 완전히 밀착되게 함. 백마스크 호흡 중에는 환기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등 인공호흡과 연관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
- 과환기: 말초 기도의 폐색이 있는 환자에게는 공기 저류를 일으키고 폐에 압력손상 유발 가능
- 과도한 흡기압: 위 팽창을 일으켜 위 내용물의 역류와 폐 흡인 유발 가능
- 전문기도기가 삽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30회(2인 구조인 경우 15회) 압박 후 두 번 호흡. 호흡하는 동안에는 압박을 멈추며 호흡은 일 회당 약 1초에 걸쳐 실시
- 전문기도기가 삽관된 경우: 가슴압박을 중단하지 않고 6초에 한번(분당 10회) 호흡
- 자발순환이 유지되지만, 호흡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3-5초에 한 번씩(분당 12-20회) 호흡만 시행
- 환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호흡수를 더 빨리 시행
성문상 기도기
- 성문상 기도기는 성문 위에 위치시켜 환기를 도와주는 장비
- 적응증: 백마스크 호흡이 안 되거나, 기관내삽관이 안되는 경우
- 종류: 후두 마스크 기도기 - 끝부분에 마스크 모양의 관이 후두 위를 덮어 환기할 수 있도록 만든 관
- 사용 방법
- 삽관 시 하인두의 저항이 느껴질 때까지 넣은 후 커프 확장
- 기관내삽관보다 환자의 움직임에 훨씬 더 취약하므로, 특히 환자를 움직여야 하는 상황에서는 빠지지 않도록 고정 등에 특별히 주의할 것
- 소아 심장정지의 원인이 호흡기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입안 또는 기도에 이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이물 확인 없이 후두 마스크 기도기 삽관 → 여러 가지 합병증 발생 가능)
기관내삽관
- 성인과의 차이점: 혀가 상대적으로 더 크고 기도가 더 유순. 후두개 입구가 좀더 높으면서 목의 앞쪽에 위치. 성인에 비해 비율적으로도 기도가 더 작기 때문에 매우 숙련된 시술자에 의한 기관내삽관 필요
- 소아용 기관튜브의 크기/종류
- 커프의 종류: 영아나 소아에서의 기관내삽관에는 커프가 있는 튜브와 없는 튜브 모두 사용 가능
- 커프가 있는 튜브: ① 수술 중 합병증의 위험성 증가 없이 재삽관 빈도↓, 중환자실에서 흡인 위험성↓, ② 커프압력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제조회사의 권고수준(대개 20-25 cmH2O 이하)을 유지할 것, ③ 폐 유순도가 너무 낮거나 기도저항이 높거나 또는 성대문부위에서 공기가 많이 샐 경우에 유용(단, 튜브의 크기, 위치, 커프 압력 등을 고려해서 사용할 것)
- 커프의 크기
- ~체중 35 kg(특별히 키가 작은 경우): 연령에 기초한 공식보다 키에 기초한 기관튜브의 크기 결정이 더 정확(한국 소아소생술 테이프 등)
- 커프(cuff) 유무에 관계없이 삽관을 준비할 때는 반드시 계산된 튜브크기보다 0.5 mm 더 큰 튜브와 0.5 mm 더 작은 튜브를 함께 준비할 것
- 삽관 중 저항이 느껴지면 0.5 mm 더 작은 튜브 삽관
- 삽관 된 상태에서 산소화나 환기를 방해할 만큼 성대문 부위에서 많이 새면 0.5 mm 더 큰 튜브나 커프가 있는 튜브 삽관
- 커프의 종류: 영아나 소아에서의 기관내삽관에는 커프가 있는 튜브와 없는 튜브 모두 사용 가능
| 1세 미만 영아 | 1-2세 소아 | 2세 이후 |
커프 없는 튜브 | 3.5 mm 내경의 튜브 | 4.0 mm 내경의 튜브 | 커프 없는 튜브 내경(mm) = 4 + (나이/4) |
커프 있는 튜브 | 3.0 mm 내경의 튜브 | 3.5 mm 내경의 튜브 | 커프 있는 튜브 내경(mm) = 3.5 + (나이/4) |
- 기관내 삽관 과정
기관내삽관을 위한 준비물 |
| ||||||
▼ |
| ||||||
기관내삽관 전 산소 혹은 보조 환기 실시 |
| ||||||
▼ |
| ||||||
기관내삽관 시행 |
※ 2020 AHA 가이드라인
| ||||||
▼ |
| ||||||
삽관 후 |
|
전문기도유지술을 위해 필요한 조치
산소포화도 측정
- 맥박산소 측정기
- 말초 관류가 나쁘거나 일산화탄소 중독환자 또는 메트헤모글로빈혈증 환자에서는 맥박산소측정기에 의한 산소포화도 측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위 팽창에 대한 조치
- 위가 팽창되면 적절한 환기를 방해하게 되고 위 내용물의 역류와 흡인에 의해 추가의 호흡부전 유발 가능
- 위 팽창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 호흡을 천천히 하고 흉곽의 팽창이 보이는 정도까지만 호흡량을 주어 과도한 흡기압이 발생하지 않게 함
- 의식이 없는 환자는 윤상연골을 눌러 공기가 위로 들어가는 것을 줄임. 윤상연골누르기를 하려면 세 번째 구조자가 필요하며, 이때 기관이 과도하게 눌리지 않을 정도의 압력으로 누름
- 코위관 또는 입위관을 넣음. 위식도 괄약근이 약해져서 위 내용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위관/입위관은 기관내삽관 이후에 넣음. 만일 환자가 위루관을 가지고 있다면 마개를 열어 놓아 위팽창 방지
소아 전문소생술에 사용되는 약물
치료 | 내용 | 특이사항 |
Epinephrine |
|
|
Amiodarone |
|
|
Lidocaine |
|
|
Adenosine |
|
|
Atropine |
|
|
포도당 |
|
|
중탄산나트륨 |
|
|
염화칼슘(10%) |
|
|
황산마그네슘 |
|
|
가역적 병인 치료
가역적 병인(Reversible Causes)
5H | 5T |
|
|
참고자료
- Merchant RM, Topjian AA, Panchal AR, et al. Part 1: Executive Summary: 202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irculation 2020;142(16_suppl_2):S337–57.
- Topjian Alexis A., Raymond Tia T., Atkins Dianne, et al. Part 4: Pediatric Basic and Advanced Life Support: 202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irculation 2020;142(16_suppl_2):S469–523.
- Soar J, Callaway CW, Aibiki M, et al. Part 4: Advanced life support: 2015 International Consensus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Science with Treatment Recommendations. Resuscitation 2015;95:e71-120.
- Highlights of the 2010 AHA guidelines for CPR and ECC,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P.20-22
-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Part 14: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 A comprehensive study guide, 7th ED. Chapter 29. Pediatric airway management
- 질병관리청/대한심폐소생협회.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2020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대한심폐소생협회. 2015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2015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