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


목차

개요

  • 모든 연령대, 여러 인종에서 발생하며 성별분포는 동일
  • 병태생리는 아직 불분명

 

 

병태생리

  • 모발의 성장주기는 생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나눌 수 있는데, 원형탈모증의 경우 일반적으로 생장기 모낭의 털망울 주위와 내부에 T 림프구가 몰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이와 같은 병리조직 소견에 근거하여 원형탈모증을 자가면역질환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탈모증의 병인은 아직 불분명

이미지

환경요인(e.g. 바이러스 감염, 세균 초항원)이 털망울(hair bulb)에서 IFN-γ, CXCL10 표현 유도

→ 자가반응성 Th1 및 Tc1 세포(파란색 원)가 털망울 속 및 주변부에 증가 ("swarm of bees")

→ Anagen-associated hair follicle (HF) autoantigens (오렌지색 원)이 Th1, Tc1 세포에 의해 인식됨 

→ secondary autoimmune phenomenon 

→ hair loss

 

  • 면역특권의 붕괴와 면역반응

정상 모낭

원형탈모증 모낭

  • 면역세포의 공격을 받지 않는 면역관용 존재
  • 정상 모낭의 경우 상피에 MHC class I, II의 발현이 없고, TGF-β, IGF-1, α-MSH 등 면역억제사이토카인이 존재하게 됨. 따라서, 정상모낭 하부 주변에는 자연살세포, CD4+ T 세포, CD8+ T 세포 등이 관찰되지 않음

 

  • 모낭의 면역관용 붕괴로 인한 염증세포의 모낭 공격으로 발생
  • 원형탈모증 병변 부위의 면역반응 조절 변화: MHC class I과 II의 발현 증가, 면역억제사이토카인 감소
  • 원형탈모증에서 관찰되는 염증세포: ① CD4+ T 세포: 모낭 주변에 존재; ② CD8+ T 세포: 주로 모낭 털망울 내부에 존재 
  • CD8+ T 세포: 세포독성(+), 털망울 내부에 존재하여 모발성장 방해, TNF, 세포사멸인자(granzyme, Fas ligand 등)을 분비하여 세포 자멸사 유도 및 정상 기능 마비
  • 유전적 소인: ① 가족력(+); ② HLA class I (A, B, C) 대립유전자: 원형탈모증 발병의 감수성에 관여 ③ HLA class II 대립유전자: 원형탈모증 발병에 크게 관여
  • 환경적 소인: 호르몬의 변화, 감염, 식습관, 백신접종, 스트레스 등

 

 

임상양상

  • 전형적인 특징
    • 비반흔 탈모: 비대칭성으로 두피에 산재되어 주변과 잘 경계를 지어진 동전크기의 패치 형태
    • 반(Patches): 약간 붉은빛을 띠거나 복숭아 색조를 띔
    • 드물게 두피의 후방과 측면부에 띠 형태의 탈모(ophiasis pattern) 또는 전두부와 정수리에 걸쳐 탈모(sisaipho pattern) 발생
    • 심한 경우에는 전체두피(alopecia totalis), 몸 전체(alopecia universalis) 침범 가능
  • 동반 문제
    • 손발톱변화(nail changes): AA의 66%에서 동반
    • 자가면역질환: 갑상샘염(thyroiditis)(m/i)
    • 다른 동반된 이상: 정신적 문제, 무증상 눈 이상

 

 

 

진단

  • 진단은 비교적 수월. 비전형적인 형태인 경우 조직검사를 통하여 확진 가능
  • 2차매독과 유사한 형태: 의심스러운 경우 VDRL검사나 RPR검사 시행
  • 감별진단: ① 소아: Trichotillomania, tinea capitis; ② Diffuse AA: telogen effluvium

 

 

 

치료

국소 치료

 

개요

부작용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

  • 탈모 병변 위치와 범위, 치료반응에 따라 농도와 치료 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것
  • 치료 시작 4-8주 후 모발성장을 기대할 수 있으나 치료 6개월 후에도 모발성장이 관찰되지 않고 병변이 진행하면 다른 치료법으로 전환할 것 
  • triamcinolone acetonide를 사용하며 2.5-10 mg/mL 농도로 최소 2주 간격으로 병변 내 주사

cf. 원형탈모증에서의 스테로이드 투여: 국소 주사, 국소 도포, 전신적인 투여방법

  • 기전: 강력한 항염효과, 비선택적인 면역억제효과
  • 통증, 국소 피부 위축, 두피 혈관 확장 등

국소 스테로이드 도포

  • 탈모 범위가 넓지 않은 경우와 국소 주사치료가 어려운 소아에서 1차 치료방법으로 선택 가능
  • 밀폐요법을 시행하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온머리탈모증이나 전신탈모증에도 시도 가능 
  • 두피 모낭염, 두피 혈관확장, 피부위축 등

minoxidil

도포

  • 원형탈모증에서 사용 시 minoxidil 농도가 높을수록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사용상 간편하므로 소아 원형탈모증 치료에 쉽게 선택되고 있음
  • 온머리탈모증이나 전신탈모증에서는 효과가 낮아 일반적으로 다른 치료와 병용 투여
  • 접촉 피부염, 국소다모증 등

표재성 냉동치료

  • 표피 내 병변의 제거와 조직파괴를 통해 피부의 양성 및 악성 종양 치료를 위해 사용
  • 두피 표면에만 가볍게 적용할 경우 이차적인 혈관확장을 통한 미세혈액순환 증가로 모발의 재성장을 기대
  • 방법: 액화질소를 사용하여 병변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분사하는 방법, 면봉을 이용하여 두피에 가볍게 적용하는 방법
  • 경도의 원형탈모증과 부작용에 취약할 수 있는 소아 환자들에게서 시도 가능
  • 경미한 통증, 부종, 홍반 등

접촉감작 용법

  • 탈모부위에 국소적인 자극반응을 반복적으로 유도하여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방법
  • 방법: DPCP (m/c), squaric acid dibutyl ester 등
  • DPCP
    • 1-2% 용액으로 감작을 시도하고 이후 낮은 농도에서 시작하여 환자의 피부반응에 따라 매주 간격으로 농도를 서서히 올리며 치료 
    • 보통 6-8개월 정도 시도하여 모발성장이 관찰되지 않으면 치료방법을 바꾸는 것을 권유
    • 최근 치료 1년 이후에 모발성장이 관찰된다는 보고(+) → 병변이 심하거나 이환 기간이 긴 경우에는 꾸준한 도포 고려
  • 경부림프절 종창, 심한 자극 피부염, 색소 소실, 색소 침착, 전신 두드러기 등 → 치료 전 환자에게 치료방법에 대한 충분한 설명 필요

광선치료

  • 과거: PUVA (psoralen-UVA)
  • 최근: 308 nm의 단파장 자외선 또는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
  • 국한성 탈모반을 갖는 원형탈모증이나 소아 원형탈모증 환자에서 다른 치료와 병행하여 시행 가능

 

 

 

전신치료

스테로이드

  • 스테로이드 전신투여요법: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법, 고용량 주기요법, 미니펄스요법(mini-pulse therapy) 등
  •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종류, 용량, 기간, 치료효과, 재발률도 보고마다 차이가 있음
  • 치료성적은 좋으나 약물투여 중단 시 재발률이 높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약물을 장기간 투여해야 함
  • 일반적으로 급격히 진행되는 원형탈모증에 사용
  • 장기간 사용시 스테로이드에 의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cyclosporine과 병합 투여 고려

 

cyclosporin

  • 아토피 피부염, 건선, 원형탈모증, 베체트병, 괴저 농피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 이용되고 있는 약제
  •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병변의 범위가 넓은 원형탈모증에서 스테로이드제와의 병합치료로 사용
  • 부작용(혈압상승, 신장독성, 면역억제 등), 중단 시 높은 재발율

 

생물학적 제제

  • 현재 원형탈모증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연구 중


참고자료

  • Alkhalifah A, Alsantali A, Wang E, McElwee KJ, Shapiro J. Alopecia areata update: part I. Clinical picture, histopathology, and pathogenesis. J Am Acad Dermatol 2010;62(2):177–188, quiz 189–190.
  • Lee Y.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J Korean Med Assoc 2016 November; 59(11):866-871
  • Ito T. Recent advances in the pathogenesis of autoimmune hair loss disease alopecia areata. Clin Dev Immunol 2013;2013:348546.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