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 모든 연령대, 여러 인종에서 발생하며 성별분포는 동일
- 병태생리는 아직 불분명
병태생리
- 모발의 성장주기는 생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나눌 수 있는데, 원형탈모증의 경우 일반적으로 생장기 모낭의 털망울 주위와 내부에 T 림프구가 몰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이와 같은 병리조직 소견에 근거하여 원형탈모증을 자가면역질환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탈모증의 병인은 아직 불분명
환경요인(e.g. 바이러스 감염, 세균 초항원)이 털망울(hair bulb)에서 IFN-γ, CXCL10 표현 유도 → 자가반응성 Th1 및 Tc1 세포(파란색 원)가 털망울 속 및 주변부에 증가 ("swarm of bees") → Anagen-associated hair follicle (HF) autoantigens (오렌지색 원)이 Th1, Tc1 세포에 의해 인식됨 → secondary autoimmune phenomenon → hair loss
|
임상양상
- 전형적인 특징
- 비반흔 탈모: 비대칭성으로 두피에 산재되어 주변과 잘 경계를 지어진 동전크기의 패치 형태
- 반(Patches): 약간 붉은빛을 띠거나 복숭아 색조를 띔
- 드물게 두피의 후방과 측면부에 띠 형태의 탈모(ophiasis pattern) 또는 전두부와 정수리에 걸쳐 탈모(sisaipho pattern) 발생
- 심한 경우에는 전체두피(alopecia totalis), 몸 전체(alopecia universalis) 침범 가능
- 동반 문제
- 손발톱변화(nail changes): AA의 66%에서 동반
- 자가면역질환: 갑상샘염(thyroiditis)(m/i)
- 다른 동반된 이상: 정신적 문제, 무증상 눈 이상
진단
- 진단은 비교적 수월. 비전형적인 형태인 경우 조직검사를 통하여 확진 가능
- 2차매독과 유사한 형태: 의심스러운 경우 VDRL검사나 RPR검사 시행
- 감별진단: ① 소아: Trichotillomania, tinea capitis; ② Diffuse AA: telogen effluvium
치료
국소 치료
| 개요 | 부작용 | |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 |
|
| |
국소 스테로이드 도포 |
|
| |
minoxidil 도포 |
|
| |
표재성 냉동치료 |
|
| |
접촉감작 용법 |
|
| |
광선치료 |
|
|
전신치료
스테로이드
- 스테로이드 전신투여요법: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법, 고용량 주기요법, 미니펄스요법(mini-pulse therapy) 등
-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종류, 용량, 기간, 치료효과, 재발률도 보고마다 차이가 있음
- 치료성적은 좋으나 약물투여 중단 시 재발률이 높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약물을 장기간 투여해야 함
- 일반적으로 급격히 진행되는 원형탈모증에 사용
- 장기간 사용시 스테로이드에 의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cyclosporine과 병합 투여 고려
cyclosporin
- 아토피 피부염, 건선, 원형탈모증, 베체트병, 괴저 농피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 이용되고 있는 약제
-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병변의 범위가 넓은 원형탈모증에서 스테로이드제와의 병합치료로 사용
- 부작용(혈압상승, 신장독성, 면역억제 등), 중단 시 높은 재발율
생물학적 제제
- 현재 원형탈모증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연구 중
참고자료
- Alkhalifah A, Alsantali A, Wang E, McElwee KJ, Shapiro J. Alopecia areata update: part I. Clinical picture, histopathology, and pathogenesis. J Am Acad Dermatol 2010;62(2):177–188, quiz 189–190.
- Lee Y.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J Korean Med Assoc 2016 November; 59(11):866-871
- Ito T. Recent advances in the pathogenesis of autoimmune hair loss disease alopecia areata. Clin Dev Immunol 2013;2013:348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