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입냄새(구취): 개요
정의
구취의 분류
병태생리
입냄새(구취): 원인 및 감별진단
구취의 원인별 빈도
구취와 연관된 미생물 및 원인물질
구강 내 원인
구강 외 원인
입냄새(구취): 진단적 접근
병력
신체검사
진단 검사
구취의 치료법
입냄새(구취): 개요
정의
구취관련 용어
용어 | 정의 |
구취(Halitosis) |
|
불쾌한 호흡(Bad breath) |
|
진성 구취(Genuine halitosis) |
|
가성 구취(Pseudo-halitosis) |
|
구취 공포증(Halitophobia) |
|
구취의 분류
병태생리
입냄새(구취): 원인 및 감별진단
구취의 원인별 빈도
- 구강(90%)
- 귀/코/인후/호흡기(8%)
- 소화기(1%)
- 기타(1%)
구취와 연관된 미생물 및 원인물질
- 실제 지속적인 구취가 있는 환자의 85%에서 미생물(특히 그람음성 혐기성균)이 원인
- 냄새가 심한 물질도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취 유발가능
구취와 연관된 주요 미생물 | 구취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 |
|
|
구강 내 원인
- 치석 관련 잇몸/치아주위 질환: Gingivitis, periodontitis, acute necrotizing ulcerative gingivitis, pericoronitis, abscesses
- 구강 궤양: 염증/감염 질환, 점막질환, 위장관/혈액질환, 악성질환, 아프타궤양, 약물에 의한 궤양
- 침분비저하증(Hyposalivation): 약물, 쇼그렌증후군, 방사선치료, 항암치료
- 설태(Tongue coating)
- 치아보철물
- 치아상태: 음식물이 끼어있는 경우
- 골질환: 골수염, 골괴사, 악성질환
구강 외 원인
전신 질환 | 약물(혈액을 통함) | ||
호흡기질환(미생물에 의함)
기타 전신질환
| 위장관 질환
대사질환(혈액을 통함)
|
|
|
입냄새(구취): 진단적 접근
병력
- 입냄새 자체에 대한 평가
- 언제부터 입냄새를 느끼게 되었는가?
- 본인이 느꼈는가, 아니면 다른 사람을 통해 알게 되었는가?
- 어떠한 냄새가 나는가?
- 동반 증상
- 입안의 건조감 또는 열감이 느껴지는가?
- 입맛의 변화가 동반되는가?
- 후비루나 목에 이물감이 있는가?
- 기타 병력
- 사회력: 흡연, 음주, 식사 습관
- 동반 질환: 당뇨, 간 질환, 고혈압 등
- 약물력
신체검사
- 시진(구강 내)
- 입냄새를 유발 할 수 있는 염증, 심한 치아 부식, 불량 보철물의 유무 확인
- 치주 질환, 치태, 치석 침착, 설태 등
- 내시경 검사
- 비강/구강 내 자세한 관찰 → 편도 결석, 편도 비대, 비부비동염과 연관된 후비루 등 감별
- 설태 평가: 윈켈 설태 지표(Winkel tongue coating index)
-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
- 혀를 전체적으로 6등분하여 설태가 없는 경우를 0점, 얇게 있는 경우 1점, 두껍게 있는 경우는 2점으로 평가
진단 검사
구취의 평가 방법 | |
▼ | ▼ |
주관적 평가 | 객관적 평가 |
|
|
구취를 유발하는 전신질환의 구취 양상
질환 | 구취의 특징 |
당뇨 | 아세톤 냄새, 과일냄새 |
간부전 | Fetor hepticus(시체 썩는 냄새) |
신기능저하 | 생선 냄새 |
요독증, 신부전 | 암모니아, 소변 냄새 |
Maple syrup urine disease | 설탕 타는 냄새 |
폐농양, 기관지확장증 | 썩은 고기 냄새 |
구취의 진단흐름도
구취의 치료법
- 입과 코에서 분출되는 공기 모두에서 구취가 느껴지는 경우 구강내 원인이 아닌 전신적 원인 가능성을 생각하고 이를 찾아내고 치료
- 구강위생 개선
- 혀가 상하지 않을 정도로 정기적인 혀청소 시행
- 항생제가 든 치약 및 가글액을 정기적으로 사용
- 예. Chlorhexidine gluconate, Cetylpyridinium, Oil-water rinse
- Triclosan/co-polymer/sodium fluoride toothpaste
- 정기적인 진료를 통해 구강위생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를 점검받을 것
- 입냄새공포증(halitophobia)을 보이는 경우 정신과 상담의뢰
참고자료
[입냄새(구취): 개요]
- Scully C, Greenman J. Halitosis (breath odor). Periodontol 2000 2008;48:66–75.
- Kapoor U, Sharma G, Juneja M, Nagpal A. Halitosis: Current concepts on et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Eur J Dent 2016;10(2):292–300.
- Madhushankari GS, Yamunadevi A, Selvamani M, Mohan Kumar KP, Basandi PS. Halitosis - An overview: Part-I - Classification,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halitosis. J Pharm Bioallied Sci 2015;7(Suppl 2):S339-343.
[입냄새(구취): 진단적 접근]
- Scully C, Greenman J. Halitosis (breath odor). Periodontol 2000 2008;48:66–75.
- Kapoor U, Sharma G, Juneja M, Nagpal A. Halitosis: Current concepts on et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Eur J Dent 2016;10(2):292–300.
- Madhushankari GS, Yamunadevi A, Selvamani M, Mohan Kumar KP, Basandi PS. Halitosis – An overview: Part-I – Classification,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halitosis. J Pharm Bioallied Sci 2015;7(Suppl 2):S339–43.
- Dal Rio ACC, Nicola EMD, Teixeira ARF. Halitosis--an assessment protocol proposal. Braz J Otorhinolaryngol 2007;73(6):835–42.
- Porter SR, Scully C. Oral malodour (halitosis). BMJ 2006;333(7569):6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