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래끼: 개요
안검(Eyelid)의 해부학
눈꺼풀 발적/부종/호소하는 경우
다래끼: 다래끼(Hordeolum, Stye)
다래끼란?
임상양상
치료
치료옵션
비약물치료
온찜질
안검세척(Lid scrubs)
안검마사지(lid massage)
항생제
스테로이드
치료방법의 선택
다래끼: 콩다래끼
콩다래끼란?
임상양상
진단
병력 청취
신체검사
치료
비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
항생제
병소내 TA 국소주사(Intralesional triamcinolone)
수술적 치료: 절개/소파술(Incison/curettage)
재발방지
환자교육
다래끼: 개요
안검(Eyelid)의 해부학
- 안검 가장자리를 따라 여러 샘들이 분포하며 눈물막(tear film)의 지질성분을 제공
- 샘들에 염증이 흔히 발생
- 마이봄샘(meibomian glands): 안검 하나당 30개정도 분포하며 안검판(tarsus)내에 위치
- 짜이스샘(gland of Zeiss) 또는 속눈썹샘(몰선, Moll’s gland): 마이봄샘보다 앞쪽에 위치하며 원위부 안검 가장자리내에 분포
눈꺼풀 발적/부종/호소하는 경우
- “눈꺼풀이 붉게 부었어요.” 라고 호소하는 경우 다래끼를 생각해야 함
누르면 아파요 | ▶ | 맥립종(눈다래끼) |
아프진 않은데 작은 콩알 같은 것이 만져져요 | ▶ | 산립종(콩다래끼) |
눈꺼풀만 부은 게 아니라 주변부까지도 심하게 붓고 아파요 | ▶ | 연조직염 |
다래끼: 다래끼(Hordeolum, Stye)
다래끼란?
- 눈꺼풀 경계부위(eyelid margin)에 급성으로 발현하는 발적, 압통, 부종을 동반하는 종기(furuncle)로서 대개 포도알균 감염에 의해 발생
임상양상
| 바깥다래끼(external hordeolum) | 속다래끼(internal hordeolum) |
개요 | 속눈썹선(lash line)의 바로 앞에 위치한 짜이스샘(gland of Zeiss) 또는 속눈썹샘(몰선, Moll’s gland)의 감염 | 마이봄샘(meibomian gland)의 감염, 콩다래끼로 발전가능 |
양상 | 전형적으로 한쪽에 나타나며 눈꺼풀끝의 압통, 발적, 부분적 종창 발생 | 바깥다래끼와 비슷하지만 통증, 종창, 발적이 좀 더 광범위한 양상을 보임 |
- 재발성 다래끼는 대개 새로운 감염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기존감염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결과
- 속다래끼는 바깥다래끼보다 통증이 좀 더 심하고 좀 더 오래지속되는 경향을 보임
- 속다래끼와 흔히 연관되는 질환: Blepharitis, acne rosacea, trichiasis, cicatricial ectropion
치료
- 속다래끼를 기준으로 설명(바깥다래끼도 치료는 대동소이)
- 다래끼의 대부분은 스스로 좋아지기 때문에 다래끼를 가진 대부분의 사람은 병원을 찾지 않음
- 자가치료(home therapies)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고 있음
- 온찜질(heated compresses), 안검세척(lid scrubs), 일반의약품 사용
치료옵션
비약물치료
온찜질
- 방법: 5-10분정도 하루에 여러 번 시행, 다래끼가 사라질 때까지 시행
안검세척(Lid scrubs)
- 방법: 병변부위를 부드럽게 마사지하면서 순한 샴푸 혹은 생리식염수로 닦아냄
- 원리
- 안검위생 개선, 조직파편(debris)을 제거함으로써 농배출환경 조성
→ 통로를 깨끗하게 만들 때 농배출의 개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
(참고: 바깥다래끼 시에 눈썹을 제거하는 이치와 동일) - 살균효과: 샴푸성분이 세균막을 파괴하여 세균수 감소에 기여
- 안검위생 개선, 조직파편(debris)을 제거함으로써 농배출환경 조성
- 다른 안구의 세균감염(ocular bacterial infection)의 치료에도 흔히 추천되는 방법(예. blepharitis)
안검마사지(lid massage)
- 안검세척과 더불어 시행 시 감염샘(infected glands)으로터의 배농 촉진 가능
항생제
- 감염부위에 국소적으로 투여하거나 혹은 전신 항생제 투여
- 다래끼는 대부분 포도알균에 의해 발생하므로 이 균에 효과적인 항생제 선택
- 국소항생제
- 치료기간 단축가능(항균 및 염증 감소에 의해)
- 많은 국소약제는 통증을 감소시키는 성분 함유
- 전신항생제: 국소항생제에 효과가 없거나 감염이 국소적이지 않을 때 투여
스테로이드
- 연고나 점안액 형태로 투여가능
- 속다래끼는 짧은 경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테로이드 1회 투여로도 치유기간을 줄이고 염증관련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
Cochrane review (2017년): 속다래끼에서 비수술적 치료를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근거 부족. 치료방법의 결정은 임상의가 판단 하에 환자가 논의하여 결정
다래끼의 항생제 치료
일차 치료제(primary regimens) | 대체 치료제(alternative regimens) | ||||||||||
|
|
치료방법의 선택
- 초기치료
- 목표: 급성 속다래끼는 일반적으로 1-2주 정도 지속되는데 농양의 출현으로 시작하여 농양이 배출되면서 질병경과가 종료 → 따라서 초기치료의 목표는 농양으로부터 고름이 배출되는 것을 촉진하는 것
- 방법: 보존적 치료 → 온찜질 + lid scrub/massage ± topical antibiotics
- 다래끼는 대개 1주일 정도의 온찜질(하루 4번) 및 국소 항생제연고치료 후에 자연적으로 배출됨
- 상태가 좀더 중하고 국소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면 전신항생제 투여 및 수술적 절개배농이 시행됨
다래끼: 콩다래끼
콩다래끼란?
- 마이봄샘의 입구가 막히면서 배출되지 못하는 피지에 의해 생긴 눈꺼풀판 및 주위 연부조직의 자극이나 부적절하게 치료된 속다래끼에 의하여 발생한 만성육아종 염증
임상양상
- 자극감이나 압박감 등의 증상 유발
- 미용적 문제
- 각막난시에 의한 시력저하나 약시 유발
- 눈꺼풀 처짐
진단
병력 청취
- "덩어리(lump)가 서서히 커진다"
- 마이봄샘 이상(meibomian gland dysfunction)을 초래할 만한 피부질환이 있는가?
(예. acne rosacea, seborrhoeic dermatitis)
- 커다란 콩다래끼는 시각증상(visual symptoms)과 연관될 수 있음
(예. 눈꺼풀 처짐이나 각막난시, 약시)
- 통증에 관해 물어보라 → 다래끼와 달리 콩다래끼는 통증이 없음
- 눈에 모래가 든 것 같거나 불편하지 않은 지 혹은 눈이 쉽게 피곤해지는 않는지 물어보라!!
- 이런 증상들은 콩다래끼를 잘 일으키는 안검염(blepharitis)을 의미
- 심한 안검염을 가진 환자의 경우 상기 증상과 더불어 눈이 끈적거린다고 호소(특히 잠에서 깨어날 때)
신체검사
- 얼굴피부: midface telangiectasia (rosacea), 기름기 혹은 건조한 피부양상은 드묾
- 안검주위
- 덩어리를 둘러싸고 있는 피부는 대개 정상이지만 대개 경화소견을 보일 수 있음
- 안검의 가장자리에 가피가 앉아있고 붉은 테두리 모양을 보인다면 → 안검염(blepharitis) 시사
- 안검의 궤양 및 파괴성 변화는 악성을 시사하는 위험징후
- 덩어리(lump)
- 압통이 없음
- 단단하거나(병변이 오래된 경우) 말랑말랑하거나 약간 파동이 느껴질 수 있음(초기병변인 경우)
- 하나 이상의 덩어리(lump)가 존재할 수 있음
- 압통 및 발적 존재 시 다래끼 시사
치료
- 대부분의 콩다래끼는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만 재발을 잘하며 만성화되는 경향으로 인해 치료가 만만치 않음
- 조기에 치료할 경우 병변이 더 빠르게 소실
비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
- 열찜질, 안검마사지, 안검위생(안검세척)
- 적어도 하루 2번 시행
항생제
- 국소항생제: 효과가 없으므로 사용을 피할 것
- 전신항생제
- 감염성 콩다래끼(Infected chalazions)가 의심되는 경우 경구항생제 투여
- 여드름 장미증(acne rosacea)의 경우 → tetracycline 경구투여
병소내 TA 국소주사(Intralesional triamcinolone)
- 장점: 외래에서 쉽게 시술 가능. 다발성 병소에서도 간편한 시행 가능
- 병소가 눈물배출기관 주위에 위치해 있을 때에도 접근이 용이한 치료법
수술적 치료: 절개/소파술(Incison/curettage)
- 특히 소아 환자에서 전신 마취의 필요성이 있고 국소마취하에 시행된다고 하더라도 협조가 부족할 경우 완전한 절제가 어려울 수 있음
- 병소 내 스테로이드 주사와는 달리 수술 후 눈가림의 필요성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약시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
재발방지
- 재발방지여부는 안검염의 관리에 달려있음
- 안검위생: 하루 두번 안검위생관리: 명백한 안검염을 가진 경우 열찜질 및 세척(heating and cleaning)을 장기간 시행
- 항생제투여: 심하거나 주사(rosacea)와 연관된 안검염의 경우 다음과 같은 항생제 투여를 고려하라!!
- tetracycline계: 예. doxycycline (50-100 mg qd, 최소 3개월)
- Erythromycin: 어린이나 임신부의 경우
- 피지샘 암종 등이 콩다래끼로 오진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이거나 재발성 등 비전형적인 콩다래끼는 조직병리학적 검사 필요
환자교육
- 덩어리는 지방이 많은 물질을 포함하는 안검샘(eyelid gland)의 폐쇄에 의해 발생한 것이며 열을 가하면 이런 물질이 부드러워지며 마사지를 하면 이런 물질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음을 설명할 것
- 치료 순응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병변이 소실되려면 종종 수 주가 걸릴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할 것
- 안검염은 재발을 잘하는 만성질환으로 규칙적인 안검위생관리를 통해서 관리될 수 있음을 설명할 것
참고자료
[다래끼: 개요]
- Carter SR. Eyelid disorders: diagnosis and management. Am Fam Physician 1998;57(11):2695–702.
- 김진형. 일차 의료에서 흔한 안질환. Korean J Fam Pract 2013;3(3 suppl):S40–44.
[다래끼: 다래끼(Hordeolum, Stye)]
- Lindsley K, Nichols JJ, Dickersin K. Interventions for acute internal hordeolum.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4:CD007742.
- Lindsley K, Nichols JJ, Dickersin K. Non-surgical interventions for acute internal hordeolum.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7;1:CD007742.
[다래끼: 콩다래끼]
- 이정욱, 김성진. 원발성 콩다래끼 환자에서 병소 내 트리암시놀론 주사요법과 절개배농술의 치료 효과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2013;54(10):1488–93.
- Arbabi EM, Kelly RJ, Carrim ZI. Chalazion. BMJ 2010;341:c4044.
- Unal M. Chalazion treatment. Orbit 2008;27(6):397–8.
- 박주홍, 손준혁. 소아 환자에서 콩다래끼 병소내에 시행한 스테로이드 국소주사의 유효성. 대한안과학회지 2009;50(9):1295–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