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정의
- 편평족은 내측 종아치(longitudinal arch)가 감소 혹은 소실되어 족저부가 편평하게 되는 변형의 총칭
- 흔히 후족부의 외반과 전족부의 회외 변형이 동반되어 발생
종아치가 어느 정도로 감소되어야 편평족으로 정의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는 상태입니다.
- 종아치: 출생 당시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약 5세경까지 종아치 형성: 편평족 유병률: 3세경(54%) → 6세경(24%) → 성인(20%)
분류
- 3군으로 분류
- 유연 편평족: 족관절 및 거골하 관절의 운동범위 정상. 증상 유발(-)
- 아킬레스건 단축이 있는 편평족: 족관절 족배굴곡 제한
- 강직 편평족: 거골하 관절 운동제한. 대부분 족근골결합(tarsal coalition)과 연관되어 있었고 족부 통증 동반
진단
- 변형이 유연성인지 강직성인지를 감별. 유연 편평족은 거골하 관절의 운동성이 보존되어 있음을 의미
대부분 통증 때문에 방문하기 보다는 증상은 없지만 변형을 교정해야 하는지, 혹은 방치하였을 경우 변형이 진행하거나 성인이 되었을 때 통증이 발생하거나 기능장애를 초래하게 되는지에 대한 걱정으로 방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울러 보조기 착용이 필요한지, 이를 통해 진행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한지를 문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체검사
- 체중부하 검사
- 유연 편평족인 경우
체중 미부하
▶
체중부하
검사방법
- 발끝으로 서게 하거나 선 상태에서 엄지발가락을 배측 굴곡(Jack toe-raise test)
- 발끝으로 서게 함
검사결과
- 종아치 관찰
- windlass 효과: 족저 근막이 단축되면서 유연한 종아치가 상승하는 현상
- 종아치 소실
- 유연 편평족인 경우
- 전신적인 인대 이완성(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슬관절 외반, 경골 외염전 동반여부 확인 → 사지 관절의 과도한 수동 운동 여부, 하지의 정렬 및 회전 윤곽(rotational profile)
- 아킬레스건 단축 유무 확인
영상 검사
- 시행목적
- 족근 골 결합, 수직거골, 사형족과 같은 병적 편평족과의 감별 목적
- 변형의 교정 또는 지속 여부를 주기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목적
- 시행방법: 기립 전후방, 측면 영상 ± 사면상(oblique view), Harris상
- 판독지표
- 종골 경사각(calcaneal pitch): 종골의 하연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편평족에서는 종골 경사각 감소
- 전후면과 측면상에서의 거골-제1중족골 간 각(talo-first metatarsal angle, Meary angle)
- 주상골의 거골쪽 관절면을 이분하는 선과 거골의 관절면을 이분하는 선이 이루는 각도
- 거주상골 피복각(talonavicular coverage angle): 거골두에 대하여 주상골이 외측으로 전위된 정도 측정
- 사면상: 종주상 결합
- Harris상: 거종 결합 유무 확인
기타 검사
- 족저압 검사
치료
비수술 치료 | 수술 치료 |
|
|
비수술 치료
- 편한 신발(예. 운동화) 착용
- 보조기, 특수 맞춤 신발
- 근력강화 운동
- 아킬레스건 스트레칭
수술 치료
- 소아에서 수술을 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묾
- 적절한 수술 시기: 논란 중
10세 이하의 환아에서 변형이 매우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술적 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 수술 방법
- 연부 조직에 대한 수술법: 건 이전술(tendon transfer), 연부 조직 주름 성형술(plication), 아킬레스건 연장술 혹은 비복근 근막 절개술(gastrocnemius aponeurosis lengthening) 등
- 골에 대한 술식: 예. 절골술 등
- 관절 제동술(arthroereisis)
참고자료
- Diagnostic Availability of Pedobarography and Correlation of Radiographic and Pedobarographic Measurements in Pediatric Flexible Flatfoot. J Korean Orthop Assoc 2014;49(5):366–73.
- Joo SY, Kim JR. Management of Flexible Flatfoot in Chidren and Adolescent.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16;51(2):109–16.
- Evaluation of the Outcomes according to Etiology in the Pediatric Pes Planovalgus after Lateral Column Lengthening: By Radiologic and Pedobarographic Measurements. J Korean Orthop Assoc 2018;53(5):4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