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방비대/여성형 유방: 원인 및 감별진단
여성형 유방증의 원인
생리적/특발성 원인
신생아 여성형 유방증
사춘기 여성형 유방증
노인성 여성형 유방증
여성형 유방증과 관련된 약물
유방비대/여성형 유방: 진단적 접근
병력
신체검사
진단 검사
유방비대/여성형 유방: 원인 및 감별진단
대부분 원인을 정확히 찾을 수 없습니다.
여성형 유방증의 원인
생리적/특발성 원인 | vs. | 병적 원인 |
|
|
|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T, testosterone.
생리적/특발성 원인
신생아 여성형 유방증
- 영아의 60-90%에서 발생
- 모체-태반-태아단위로부터 에스트로겐 자극으로 인한 일시적인 유방팽대 → 에스트로겐이 신생아 혈류에서 소멸되면 유방성장이 멈추고 2-3주 안에 유방조직이 점차 퇴화
사춘기 여성형 유방증
- 사춘기 소년의 30-70%에서 발생, 13-14세에서 최대빈도, 양측성 또는 일측성
- 10세 이전에는 드묾 → 이 시기에 발생하는 경우 내분비 종양 고려
노인성 여성형 유방증
-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여 50-80세에서 최대빈도
- 보통 일측성
여성형 유방증과 관련된 약물
호르몬
항안드로겐/안드로겐 합성억제
항생제
항궤양제
항암제
심혈관약물
정신작용약물
기타
|
유방비대/여성형 유방: 진단적 접근
병력
- gynecomastia 관련 병력
- 발생/지속기간
- 부위: unilateral or bilateral location
- 압통유무
- 이전에도 발생한 적이 있는지 여부
- Previous or current cryptorchidism, fertility status
- 동반증상: testosterone deficiency, hyperthyroidism, systemic illnesses
- 약물력
신체검사
- 유방검사: location (Uni- or bilateral), size, tenderness
-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 Thyroid palpation
- General (signs of systemic illnesses)/genital (testicular size, consistency)
여성형유방증 | ↔ | 유방암 |
|
|
|
진단 검사
1차 검사 | ± | 추가검사 |
|
|
|
D4-A, D4-androstenedione; DHEA-S, dehydroepiandrosterone-sulfate; SHBG, sex hormone-binding globulin
참고자료
[유방비대/여성형 유방: 원인 및 감별진단]
- 대한외과학회. 외과학 1판(2011). P889-890
- Johnson RE, Murad MH. Gynecomastia: pathophysiology, evaluation, and management. Mayo Clin Proc 2009;84(11):1010–5.
- Braunstein GD. Gynecomastia. N Engl J Med. 2007;357(12):1229-1237.
- Dickson G. Gynecomastia. Am Fam Physician 2012;85(7):716–22.
- Narula HS, Carlson HE. Gynaecomastia--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Nat Rev Endocrinol 2014;10(11):684–98.
- Kanakis GA, Nordkap L, Bang AK, et al. EAA clinical practice guidelines-gynecomastia evaluation and management. Andrology 2019;7(6):778–93.
- Mieritz MG, Christiansen P, Jensen MB, Joensen UN, Nordkap L, Olesen IA, Bang AK, Juul A & Jørgensen N. (2017) Gynaecomastia in 786 adult men: clinical and biochemical findings. Eur J Endocrinol 176, 555–566.
- Park IS et al. A Case of Gynecomastia Induced by Use of Doxazosin. Korean J Med 2016;90:239-2
[유방비대/여성형 유방: 진단적 접근]
- Johnson RE, Murad MH. Gynecomastia: pathophysiology, evaluation, and management. Mayo Clin Proc 2009;84(11):1010–5.
- Braunstein GD. Gynecomastia. N Engl J Med. 2007;357(12):1229-1237.
- Dickson G. Gynecomastia. Am Fam Physician 2012;85(7):716–22.
- Narula HS, Carlson HE. Gynaecomastia--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Nat Rev Endocrinol 2014;10(11):684–98.
- Kanakis GA, Nordkap L, Bang AK, et al. EAA clinical practice guidelines-gynecomastia evaluation and management. Andrology 2019;7(6):778–93.
- Mieritz MG, Christiansen P, Jensen MB, Joensen UN, Nordkap L, Olesen IA, Bang AK, Juul A & Jørgensen N. (2017) Gynaecomastia in 786 adult men: clinical and biochemical findings. Eur J Endocrinol 176, 555–566.
- Park IS et al. A Case of Gynecomastia Induced by Use of Doxazosin. Korean J Med 2016;90:2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