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목차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개요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OAB)이란?

  • 요로감염이 없고 다른 명백한 병인이 없는 조건하에서 절박 요실금(urgency incontinence)의 유무에 관계없이 요절박이 있는 경우로 흔히 주간 빈뇨와 야간 빈뇨를 동반 

증상

특징

요절박(urgency)

강하고 갑작스럽게 요배출 욕구가 일어나 늦출 수 없는 증상을 호소하는 것

절박 요실금(urgency incontinence)

요절박과 동반하여 또는 요절박이 선행된 직후에 불수의적인 요누출의 증상을 호소하는 것

주간빈뇨(frequency)

주간에 환자가 지나치게 자주 배뇨해야 하는 증상을 호소하는 것

야간빈뇨(nocturia)

야간에 환자가 배뇨를 위해 1회 이상 일어나는 증상을 호소하는 것

  • 요절박, 빈뇨, 절박 요실금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
    • Big 2: 요로감염, 과민성 방광
    • 젊은 여성의 경우 과민성 방광을 급성 방광염으로 오진하는 경우가 흔함

 

 

병태생리

  • 배뇨근 과활동성은 신경인성 및 근원성 요인으로부터 기인 

 

신경학적 변화(Neurogenic)

  • 뇌와 척수의 중추신경계 억제경로(inhibitory pathway)에 대한 직접적인 손상이나 방광에 존재하는 말초신경계의 구심성 말초(afferent pathway)의 감작(sensitization)에 의해 과민성 방광이 발생

 

무스카린 수용체(Muscarinic receptor)
  • 방광근의 수축은 신경말단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이 방광근육에 존재하는 무스카린 수용체에 작용할 때 일어남 
  • 항콜린 약물
    • 무스카린 수용체를 통해 일어나는 방광의 수축을 감소시킴
    • 과민성 방광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며, 현재 임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음

 

퓨린 수용체(Purinergic receptor)
  • 동물실험의 경우
    •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차단하는 아트로핀을 투여할 경우 방광의 수축이 대부분 감소
    • 일부분의 수축은 남아있는데 이는 아트로핀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ATP에 의한 수축
    • ATP에 의한 수축을 매개하는 수용체가 퓨린수용체
  • 사람의 경우
    • 방광수축의 대부분은 아트로핀에 반응하는 아세틸콜린에 의한 수축이며, ATP에 의한 수축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
    • 병적인 조건(예. 노화, 과민성 방광)에서는 ATP에 의한 수축이 일어남

이론적으로 ATP의 작용을 차단하는 약물을 투여하면 과민성 방광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아드레날린 수용체(Adrenoceptors)
  • 전립선비대증과 같은 방광출구폐색도 과민성 방광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알파차단제의 투여만으로도 과민성 방광의 증상호전을 기대할 수 있음

 

근육성 변화(Myogenic)

  • 배뇨근 세포의 변화로 인해 방광내압(intravesical pressure)의 불안정한 증가를 유발하는 불수의적인 배뇨근 수축이 발생
  • 과민성 방광의 증상은 방광암이나 방광염, 방광결석 또는 전립선암과 같은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감별이 중요 
  • 과민성 방광이 의심되는 환자의 경우 병력청취, 신체검사 외 일차적인 검사로 요검사 및 배뇨일지를 시행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진단

진단을 위한 검사로 병력청취와 신체검사를 비롯한 기본검사와 비뇨기과 전문의가 필요한 추가검사가 있다.

기본평가

±

추가평가

  • 병력청취
  • 신체검사
  • 요검사
  • 배뇨일지

 

  • 설문지
  • 요배양검사, 요세포검사

 

 

병력청취

배뇨증상의 양상

  • 하루 중 수분 섭취와 배뇨
  • 주간 및 야간 빈뇨: 유무, 횟수
  • 요절박: 유무, 발생 횟수, 강도, 참을 수 있는 시간
  • 배뇨 간격
  • 요실금 유무 및 요실금의 종류: 복압 요실금, 절박 요실금, 복합 요실금
  • 요실금의 정도: 속옷 교체여부, 패드 사용여부와 숫자
  • 요폐색 증상의 유무: 요줄기의 정도, 요폐의 과거력

 

기타 병력

  • 신경계 질환 동반 유무: 뇌졸중, 척수질환, 파킨슨병
  • 병력/수술력: 질 수술, 요실금 수술, 전립선 수술, 하복부 및 골반강내 수술 및 방사선치료
  • 약물 복용력: 이뇨제, 항우울제, 혈압약, 진통제 복용 여부

 

설문지 활용

  • 과민성 방광 설문지를 통해 환자의 진단 및 치료결과의 판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국내에서 사용되는 설문지: OAB-q 설문지, OABSS 설문지

 

 

배뇨일지

  • 환자의 배뇨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객관적 자료로 사용 가능
  • 하루 24시간 중 배뇨 시각과 배뇨한 양, 요절박 및 요실금 발생 시간과 횟수 기록
  • 3일간의 연속적인 배뇨일지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 필요시에는 24시간 배뇨일지 기록
  • 구체적으로 적을 수 있도록 환자를 제대로 교육하는 것이 매우 중요

 

 

신체검사

  • 복부촉진: 종괴, 탈장, 방광 과팽창 여부 
  • 신경학적 검사
  • 천수 신경분절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골반 및 직장검사(괄약근 긴장도, 항문주위 감각, 구해면체 반사) 시행
  • 직장수지검사(남성의 경우): 전립선의 크기, 경도, 모양, 결절 유무
  • 질검사(여성의 경우): 복압 요실금 유무, 골반장기탈출

 

 

검사실 검사

요검사

  • 혈뇨, 농뇨, 단백뇨, 당뇨 등 다른 이상 소견의 유무 파악
  • 요검사에서 이상이 있는 경우 추가 검사 시행
    • 농뇨, 아질산염 (nitrite) 양성 → 요침사 현미경 검사, 요배양 검사
    • 혈뇨 양성 → 요세포 검사 등
  • 의미 있는 당뇨나 단백뇨 → 내과적 추가검사

 

요배양검사/요세포검사

  • 요로감염이나 요로계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일차 검사로 시행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

  • 50세 이상 남자: 전립선암의 선별검사로 함께 시행
  • 하부요로증상을 동반하는 경우: 연령에 관계없이 시행

 

 

영상 검사

전립선영상 검사

  • 전립선영상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남성의 경우)
    1. 동반된 전립선 비대증에 대한 평가: 치료계획 수립에 필요
    2. 전립선암이 의심되는 경우: 전립선의 모양, 크기, 이상 음영 등

 

상부요로영상 검사

  • 상부요로영상 검사: 복부초음파, 배설성요로조영술 등
  • 다음과 같은 경우 상부요로영상 검사 시행
    1. 기본검사에서 상부요로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2. 육안적 또는 현미경적 혈뇨가 있는 경우 
    3. 요로결석의 병력이 있는 경우
    4. 신기능저하가 있는 경우

 

 

방광요도내시경

  • 과민성 방광 증상만으로 진료중인 환자에서는 일반적으로 시행 불필요
  • 진단 후 일차적인 치료 후에도 증상의 변화가 없거나,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시행

 

 

요류검사, 배뇨후 잔뇨검사

  • 주로 전립선 비대증을 동반하는 남성 환자에서 비교적 쉽게 시행할 수 있고 환자의 배뇨양상을 알 수 있는 검사
  • 환자의 초기진단과정 및 치료 중 안전지표로 유용하게 사용
  • 요류속도가 저하된 경우와 배뇨 후 잔뇨가 많은 경우에는 과민성 방광에 대한 치료만으로 해결 불가

 

 

요역동학검사(Urodynamic study)

  • 대부분 요역동학검사를 시행하지 않고 과민성 방광의 진단 가능
  • 배뇨근 과활동성에 의해 발생하는 과민성 방광의 경우에는 요역동학검사로 확진 가능
  • 요역동학검사가 필요한 경우
    1. 일반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2. 배뇨 후 잔뇨량이 많은 경우
    3. 요류검사에서 느린 요류나 비정상적 패턴을 보이는 경우
    4. 신경학적 질환이 있는 경우
    5. 복잡한 인자들이 있거나 진단이 어려운 경우 등
  • 검사 중 환자의 증상을 재현시키고, 증상 발현 시 방광의 기능적 변화 확인 가능 → 환자의 증상과 요역동학검사 결과의 연관성 확인을 통해 향후 치료방침을 세우며, 치료 반응에 대한 객관적 평가 가능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치료

치료원칙

치료 목표

  • 방광의 수축력을 감소시킴
  • 방광용량을 증가시킴 
  • 배뇨감각을 둔화시킴

▶︎

  • 요저장이 쉽게 되도록 함

 

치료방법

치료옵션

치료방법

일차 치료법

  • 행동치료, 약물치료
  • 단독요법보다는 병용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대부분 동시에 혹은 단계적으로 병용치료 시행

이차 치료법

  • 1차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치료결과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거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 신경조정술, 수술치료

 

치료전략

국내 가이드라인

이미지

 

 

행동치료

  • 과민성 방광의 1차 치료법: 비교적 저침습적. 다른 치료와 병용 가능
  • 하부요로 기능장애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요도괄약근이나 배뇨근 기능장애에 의한 요실금과 감각성 요절박증에 효과적
  • 단독치료보다는 약물치료와 병용할 것
  • 방법: 생활습관 교정, 방광훈련(bladder training), 이학적 요법(physical therapy), 배뇨환경 개선

 

 

약물치료

  • 일차의료기관에서 시행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

 

임상적으로 흔히 쓰이고 있는 약물

약물군

약물 종류

항무스카린제

tolterodine, trospium, solifenacin, fesoterodine

복합작용제

oxybutynin, propiverine

삼환계항우울제

imipramine, amitriptyline

  • 일차 치료제는 항무스카린제

 

참고자료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진단]

  •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과민성방광 지침서(2판). 2011년
  •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과민성방광 지침서(3판). 2016년
  • YT Kim. Overactive Bladder.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11; 30: 225 227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치료]

  •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과민성방광 지침서(2판). 2011년
  •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과민성방광 지침서(3판). 2016년
  • Gormley EA, Lightner DJ, Faraday M, Vasavada SP,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Society of Urodynamics, Female Pelvic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non-neurogenic) in adults: AUA/SUFU guideline amendment. J Urol 2015;193(5):1572–80.
  • YT Kim. Overactive Bladder.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11; 30: 225 227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