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차단제
알파차단제란?
작용원리
- 아드레날린 수용체
- 방광에 존재하는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α1, α2, β1, β2, β3 수용체
- α 수용체: 방광삼각부, 요도에 풍부하게 존재, α1 수용체(주로 남자), α2 수용체(주로 여자)
- β2/β3 수용체: 자극 시 배뇨근 수축 억제, 전신 부작용의 가능성으로 이와 관련된 약제는 임상적으로 사용되지 않음
- 방광에 존재하는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α1, α2, β1, β2, β3 수용체
- α1 수용체
- 전립선에는 α1 수용체가 가장 풍부
- 아형: α1A, α1B, α1D
- α1 수용체 아형의 위치 및 작용에 대한 지식은 정확한 부위에 BPH 치료를 targeting하는 데 중요
- 이상적인 치료부위: α1A-adrenoreceptors
α1 수용체 아형 | 분포 | 수용체 차단 시 효과 |
α1A 수용체 | 방광삼각부 및 요도에 가장 많이 분포 | 전립선평활근 수축은 주로 α1A 수용체에 의해 매개됨. α1A 수용체의 차단 → prostatic tone의 감소, 배뇨의 역동적인 면 개선 |
α1B 수용체 | 전립선이나 방광배뇨근에 없거나 적게 발현 | α1B 수용체 차단 → 혈관벽 내 평활근 이완 → 정맥 및 동맥확장 일부 환자에서는 이런 작용에 의해 총말초저항의 감소로 인한 어지럼증, 저혈압이 발생됨 |
α1D 수용체 | 방광에 많이 분포 | α1D 수용체의 자극은 detrusor overactivity로 이어짐. α1D 수용체 차단 → 자극 배뇨증상 감소 |
- 교감신경 차단 → 증상호전 기대
- 평활근(전립선 피막, 전립선 선종, 방광경부) 수축 → 방광출구 압박 → 방광출구폐색(전체 요인의 40%에 해당)
- 전립선을 비롯한 하부요로(전립선평활근)에는 알파-아드레날린 수용체가 많이 분포
- 작용기전: 전립선평활근을 지배하는 교감신경 차단 → 평활근 이완 → 증상 호전
종류
- 6종류: terazosin, doxazosin, alfuzosin, tamsulosin, silodosin, naftopidil
Non-selective | Phenoxybenzamine, thymoxamine | |
Selective | Short-acting | Alfuzosin, prazosin |
Long-acting | Doxazosin, tamsulosin, terazosin | |
Subtype selective | Tamsulosin (α1A = α1D > α1B) | |
Silodosin (α1A > α1D > α1B) |
비선택적 α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의 경우, 신경계 말단의 α1수용체와 α2수용체를 모두 차단함으로써 반사성빈맥(reflex tachycardia), 기립저혈압(posturalhypotension)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선택적 α1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길항제(selective α1 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가 개발되었음
효과
- 전립선 평활근의 긴장↓, 방광삼각부 괄약근 이완 → 요속↑, 잔뇨↓
부작용
- 흔한 부작용: 무기력, 어지러움, 기립 저혈압 → 혈관확장효과❶에 기인
- 홍채이완증후군(intraoperative floppy iris syndrome)❷
- 비정상 사정(역행 사정): tamsulosin에서 더 빈번, α1A 수용체에 더욱 선택적인 약물(예. silodosin)에서 비정상 사정에 대한 위험이 더 큼
❶ 혈관확장효과는 doxazosin, terazosin에서 가장 두드러지며 alfuzosin, tamsulosin에서는 훨씬 적다. 따라서 doxazosin, terazosin은 치료를 시작할 때 용량적정(dose titration)이 필요하다. 심혈관계 질환을 갖고 있거나 혈관에 작용하는 약물(각종 항고혈압제제, 발기부전에 사용되는 PDE5 억제제)을 복용 중인 환자는 알파차단제에 의한 혈관확장에 더욱 민감할 수 있다.
❷ 백내장 수술 전 알파차단제를 처방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은 물론 알파차단제를 복용 중인 환자에서도 백내장 수술이 계획된 경우라면 약물을 중지해야 한다.
주요 알파차단제
| 개요 | 치료 용도 | |
Terazosin |
|
| |
Doxazosin |
|
| |
Tamsulosin |
|
| |
Alfuzosin |
<기전>
|
| |
Silodosin |
<기전>
|
| |
Naftopidil | <기전>
|
|
5-알파 환원요소 억제제
5-α 환원요소 억제제란?
종류
- Finasteride: type II 5-alpha reductase enzyme만 억제
- Dutasteride: type I, type II 둘 다 억제
기전
- 5-α 환원효소: 2가지 아형(1형, 2형)
- 1형: 주로 피부와 간조직 등의 여러 장기에 존재
- 2형: 간과 전립선을 포함한 요로생식기에 주로 존재
- 전립선 상피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조장하여 전립선 크기가 줄어들면서 효과를 나타냄
- Finasteride: 2형 5-α 환원효소의 경쟁적 억제제로 혈중과 전립선 내 DHT 수치를 낮춤
- Dutasteride: 1형과 2형 모두를 억제하여 finasteride 보다 혈중 DHT 수치를 낮게 유지할 수 있음
5αR, 5α-reductase; AR, androgen receptor; DHEA, dehydroepiandrosterone; DHT, dihydrotestosterone
- 전립선은 남성호르몬에 의하여 성장이 조절됨
- Testosterone(전립선 조직 내) → (5-α 환원효소 억제제) → DHT
- DHT가 testosterone의 10배 이상의 활성도로 전립선 성장을 촉진
- 테스토스테론과 DHT 합성을 감소시키는 약물(5-α 환원요소 억제제) → 전립선 용적 감소 → 전립선비대증에서 방광출구폐색의 양적인 부분이 감소
용법
- 전립선 크기의 최대 감소는 투약 후 6개월 이후에 발현
- 최대의 치료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 6개월 이상 투약할 것
부작용
- 성기능장애(5% 내외): 발기부전, 성욕저하, 역행성 사정과 같은 사정장애, 사정실패, 정액량 감소 등)
- 전립선암 감별에 대한 영향(전립선특이항원 감소): 약물복용 6-12개월이 경과한 후에는 전립선특이항원 수치가 약 50% 감소하므로, 전립선특이항원 수치의 해석에 유의할 것
- 여성형 유방(1-2%)
주요 5-α 환원요소 억제제
| finasteride | Dutasteride | ||
개요 |
|
| ||
기전/효과 |
|
| ||
특징 |
| |||
치료용도 |
|
| ||
부작용 |
|
|
PDE-5 억제제(PDE-5i, PDE-5 inhibitor)
- 발기부전과 하부요로증상이 병태생리를 공유하는 부분이 있으므로 PDE-5i도 하부요로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추측됨
-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등으로 가속화 된 만성적인 pelvic hypoxia가 발기부전과 하부요로증상을 함께 악화 시킬 수 있음
- Autonomic hyperactivity, 특히 sympathetic tone의 증가는 하부요로증상을 악화 시킬 수 있음
- calcium-independent Rho-kinase activation pathway는 hypertension, vasospasm, arteriosclerosis의 병인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비정상적인 Rho-kinase activation 또는 upregulation이 urinary tract의 평활근 이완을 제한하며, 특히 RhoA/Rho-kinase는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Nictric oxide (NO)는 대표적인 평활근 활성의 조절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mediator 임. 전립선내의 평활근 활성에 NO가 관여함
- 지금까지 11개의 PDE가 알려져 있으며, PDE-4와 PDE-5가 전립선의 이행대, 방광 및 요도에 존재하는 주된 형태
- PDE5-i와 알파차단제의 병용 투여
- 배뇨증상과 성기능에 긍정적인 효과 발현
- 혈관 확장제 효과를 가지는 알파차단제, PDE5-i의 병용 투여는 일부 환자에서 증상을 동반하는 저혈압 유발 가능: doxazosin과 tadalafil(매일 5 mg 또는 간헐적 20 mg)의 병용 투여는 혈압을 더욱 많이 낮추며, 이들의 병용 투여는 일부 환자에서 위험할 수도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음
참고자료
- 대한비뇨기과학회/대한가정의학회/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전립선비대증 진료권고안. 2015
- 대한전립선학회. 전립선비대증 진료지침. 2010;
- 이승주, 이동섭, 최현섭, 신명식, 조용현.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베아자트Ⓡ엑스엘정 (alfuzosin 10 mg)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1차의료기관의 전향적 다기관 평가. 대한남성과학회지 2012;30(2):71–9.
-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Internet]. 2010;Available from: http://www.auanet.org
-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Mal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incl. Benign Prostatic Obstruction (BPO). 2012;
- Beduschi MC, Beduschi R, Oesterling JE. Alpha-blockade therapy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from a nonselective to a more selective alpha1A-adrenergic antagonist. Urology 1998;51(6):861–72.
- Malloy BJ, PRICE DT, Price R, et al. Alpha1-adrenergic receptor subtypes in human detrusor. The Journal of urology 1998;160(3):937–43.
- Han JY, Choo MS. Drug treatment for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J Korean Med Assoc 2011 June; 54(6): 637-645.
- Kim CS.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J Korean Med Assoc 2007; 50(7): 626-636
- Cha YJ et al. Pharmacokinetics and Tolerability of Naftopidil after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in Healthy Korean Volunteers. Kor J Clin Pharmacol Ther 2010;18(2):127-136
- Yoo KH, Lee SJ. Shape-up LUTS/BPH Guideline in Korea: Medical Treatment. J Korean Med Assoc 2008; 51(7): 672-674
- Kahokehr A, Gilling PJ. Landmarks in BPH--from aetiology to medical and surgical management. Nat Rev Urol 2014;11(2):1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