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식기 궤양(Genital ulcer): 원인 및 감별진단
생식기 궤양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연성하감(Chancroid)
개요
임상양상
진단
임상적 진단기준
배양검사
PCR
치료
추적관찰
성기단순포진(Genital Herpes)
개요
임상양상
진단
치료
상담/교육
생식기 궤양(Genital ulcer): 진단적 접근
병력/신체검사
진단 검사
생식기 궤양(Genital ulcer): 원인 및 감별진단
생식기 궤양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 Herpes simplex virus 2형(흔함), 1형
- Treponema pallidum(흔함) → 매독(syphilis)
- Haemophilus ducreyi → 연성하감(chancroid)
- Chlamydia trachomatis (LGV 혈청형 L1, L2 또는 L3)
- Klebsiella granulomatis
연성하감(Chancroid)
개요
- 병인: Haemophilus ducreyi
임상양상
- 증상 및 징후
여성 | 남성 |
|
|
- 잠복기는 5-14일
- 구진, 농포로 발전, 이것이 파열되면 육아종염증을 가진 얕은 궤양을 형성
- 남성에서는 음경의 포피, 귀두의 관상고랑, 음경몸체에 주로 궤양이 발생
- 여성에서는 외부 생식기에 넓게 궤양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다발성 궤양이 흔히 관찰됨
- 질이나 자궁경부에는 드문 편임
- 환자의 30%는 통증이 있는 서혜부림프절염이 발생되고, 자연적으로 파열될 수도 있음
- 연성하감은 다른 성기궤양질환 특히 1기매독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연성하감 병변은 통증이 있는 것에 반해 전형적인 1기매독의 병변은 통증이 없음
- 연성하감은 생식기로부터 거의 확대되지 않고 전신질환을 일으키지 않음
진단
임상적 진단기준
- 1개 이상의 통증성 성기궤양과 국소림프절종대가 있고,
- 궤양 삼출액의 암시야 현미경검사에서 T. pallidum 감염의 증거가 없거나,
- 궤양 발생 후 최소 7일 후에 시행한 매독 혈청검사에서 음성반응을 보이고,
- 단순포진바이러스감염이 배제될 때
배양검사
- 검체의 수집은 궤양의 기저부에서 감별을 위해 1기 매독의 T. pallidum에 대한 암시야현미경검사 또는 직접형광항체검사 등과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배양을 동시에 시행
PCR
- H. ducreyi의 DNA를 검출
치료
- 항생제 요법
- Azithromycin 1 g PO 단회
- Ceftriaxone 250 mg IM 단회
- Ciprofloxacin 500 mg 1회 2회 PO 3일 (임신부 금기)
- Erythromycin 500 mg 1일 3회 PO 7일
추적관찰
- 치료 후 3-7일에 추적관찰
- 치료 후 3일 이내에 주관적인 호전, 7일 이내에 객관적인 호전을 보임
- 궤양 크기가 크다면 회복은 2주 이상 걸릴 수 있음
- 포경수술을 시행 받지 않은 사람에서 포피에 궤양이 생긴 경우 회복이 느림
- 림프절병증은 궤양보다 회복이 느림
- 증상발현 이전 2주 동안의 모든 성파트너는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권장
- 연성하감 치료 후 호전이 없는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
- 진단이 정확했는가?
- 다른 성매개감염과의 동시감염은 없는가?
- HIV감염은 없는가?
- 환자가 치료에 제대로 순응하였는가?
- 항균제에 대한 H. ducreyi의 내성은 없는가?
성기단순포진(Genital Herpes)
개요
- 병인: Herpes simplex virus (HSV) 2형, 1형
임상양상
원발성(primary) | 비원발성(nonprimary) | 재발성(recurrent) |
|
|
|
- 재발성 만성 질환
- 평균 잠복기는 6일(1-26일)
- 혈청검사로 새로 진단된 HSV-2환자의 약 60%는 무증상이고 약 40%는 증상이 있음
- 특징적인 병변은 홍반성 병변위에 수포성 군집이며, 농포와 궤양 및 최종단계로 딱지의 형성까지 병변이 진행됨
- 감염된 환자에서 임상징후나 증상이 없이 바이러스가 만들어지는 경우로, 전염성이 있어 바이러스전파의 위험이 높은 시기를 무증상흘림(asymptomatic shedding)이라고 함
진단
검사방법 | 바이러스배양검사 | Tzanck 도말검사 | EIA | PCR |
검체 | 면봉(수포/궤양) | 도말/조직절편 | 면봉 | 면봉(수포/궤양) |
민감도 | 수포검체 94%, 궤양검체 70% | 낮음 | 80% | 가장 높음 |
특이도 | 높음 | 높음 | 높음 | 높음 |
장점 | 바이러스 아형확인 | 저렴 | 저렴하고 빠름 | 아형확인, 높은 민감도 |
단점 | 검체 불안정, 비쌈 | 낮은 민감도 | 낮은 민감도, 아형확인 안 됨 | 오염에 의한 위양성, 비쌈 |
치료
최초발현 성기단순포진
입원이 필요한 심한 원발성 성기단순포진
재발성 성기단순포진
재발성 성기단순포진의 항바이러스제 억제요법
|
- 항바이러스 억제요법은 1년까지 투여가능.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건강보험급여 혜택을 받을 수 없음
상담/교육
- 성파트너에게 성기단순포진에 대한 상담을 하고 HSV-1, HSV-2 항체검사를 시행
- 성기단순포진의 전파예방
- 전구증상이 나타날 때부터 병변이 재상피화되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성접촉을 피해야 함
- 콘돔의 사용
- 항바이러스제 억제요법은 병변의 재발 및 무증상흘림, 바이러스전파의 위험을 감소시킴
- 병변 또는 증상이 있는 기간 동안에는 파트너와 금욕하는 것이 권장됨
생식기 궤양(Genital ulcer): 진단적 접근
병력/신체검사
전형적인 임상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확진을 위해서는 검사가 필요합니다.
| 성기단순포진 | 1기매독 | 연성하감 |
잠복기 | 6일(1-26일) | 3주(3-90일) | 5-14일 |
궤양 | 상피에 국한; 얕고 가려움 | 경화(induration); 단단함 | 침식된 경계; 깊고 부드러움 |
개수 | 여러 개가 군집 | 대부분 1개(70%) | 2개 이상(50%) |
크기 | 평균 직경 ≤1 cm | 평균 직경 1.5 -2 cm | 평균 직경 2 cm |
압통 | 중간 정도 | 없음 | 심함 |
고름형성 | 심하지 않음 | 심하지 않음 | 심함 |
진단 검사
| 성기단순포진 | 1기매독 | 연성하감 |
검사방법 |
|
|
|
검체수집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