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도분비물(Urethral discharge): 원인 및 감별진단
요도분비물은 유발하는 원인은 성매개질환(요도염)과 성매개질환이 아닌 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성매개질환
요도분비물을 유발하는 성매개질환은 곧 요도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요도염은 크게 임균과 비임균으로 나눌 수 있음
임균 | vs. | 비임균 |
Neisseria gonorrhoeae (Gram (-) diplococci) |
| Chlamydia trachomatis (m/c), Mycoplasma genitalium, Ureaplasma urealyticum |
성매개질환이 아닌 원인
- 감염: 방광염(Cystitis), 전립선염(Prostatitis)
- 해부학적 이상: 요도협착(Urethral stricture), Phimosis
- 의인성 원인: 요로카테터(urethral catheterization) 거치
- 화학적 자극: 오일, 윤활제
- 종양
- 이물질
- 원인 불명: Non specific urethritis
요도염(Urethritis)
임상양상
- 임상증상 : 요도 분비물, 배뇨통, 요도 자극증상
| N. gonorrhoeae | C. trachomatis 또는 기타 원인균 |
잠복기 |
|
|
증상 |
|
|
요도분비물 |
|
|
진단
검사방법 | 그람염색 | 임균배양검사 | 핵산증폭검사 (PCR, SDA 등) |
검체수집 |
|
|
|
검사결과의 해석 |
|
|
|
치료
| 1차요법 | 대체요법 | ||
Neiserria gonorrhoeae① | Ceftriaxone + azithromycin | 500 mg 또는 1 g IV/IM 단회 + 1 g PO 단회 | Spectinomycin + azithromycin | 2 g IM 단회 + 1 g PO 단회 |
Chlamydia trachomatis | Azithromycin 주의: 환자의 낮은 복약 순응도가 예상되는 경우 azithromycin 선택 | 1 g PO 단회 |
|
|
Doxycycline | 100 mg 1일 2회 PO 7일 |
|
| |
Mycoplasma genitalium | Azithromycin | 500 mg PO 단회 (첫날) + 250 mg 1일 1회 PO 6일, 총 7일 | Azithromycin 요법에 실패한 경우 moxifloxacin 투여 | 400 mg 1일 1회 PO 10-14일 요법 |
Ureaplasma urealyticum② | Azithromycin | 1 g PO 단회 |
|
|
Doxycycline | 100 mg 1일 2회 PO 7일 |
|
| |
Trichomonas vaginalis | Metronidazole 또는 tinidazole 2 g PO 단회 |
|
|
|
① 클라미디아 동시감염에 관계없이 azithromycin 1 g PO 단회 요법을 함께 시행한다. 이는 동시감염 치료 뿐만 아니라 임균의 항생제 내성 발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항생제 내성균 출현에 주의하여 내성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② 일부는 성매개감염이 아닌 공생균일 수 있으므로 평가에 주의한다.
요도분비물(Urethral discharge): 진단적 접근
병력
- 요도분비물 양상: 색깔, 양, 빈도, 농도, 배뇨와의 연관성
- 성교력: 성행위 양상, 성파트너 수, 최근 성접촉력, 피임도구(예. 콘돔) 사용여부
요도염 | vs. | 요로감염 |
|
|
|
신체검사
생식기
- Penis: 색깔, 양, Consistency
- 요도 쥐어짜기(Milking of urethra)
- Meatal erythema and swelling
- Balanoposthitis
- Epididymitis
항문직장
- anorectal gonorrhea, chlamydia
복부
- Abdominal guarding and rebound tenderness → peritonitis, severe PID
- Inguinal lymphadenopathy → HSV urethritis, GU
구강(oral cavity)
- 성매개감염(STDs)과 연관된 소견
| 임질 요도염 | 비임질 요도염 |
Discharge | profuse, purulent, yellowish | Scanty, mucoid, mucopurulent |
Dysuria | Intense burning sensation | 'Smarting' (Sharp stinging pain) feeling in urethra on passing urine |
잠복기 | 2-5일 | 2-3주 |
전신증상 | 존재 | 존재하지 않음 |
진단 검사
주요 검체
- Urethral sample
- Urethral swab
- 검사 당시 discharge가 없는 경우 → 요도 쥐어짜기(milking of urethra)
- 그래도 discharge가 없다면 Intraurethral swab
- 기타 samples
- First void urine sample
- 인두/결막/직장(Pharyngeal/conjunctival/Rectal swab)
- 자궁경부내막(성인 여성)
- 질
주요 검사방법
| 검체 | 검사결과의 해석 | 비고 | ||||
요도(성인 남성) | 소변(남성, 여성) | 질 | 자궁경부내막(성인 여성) | 인두/결막/직장② | |||
<임균> | |||||||
그람염색 | O |
|
| O |
|
|
|
배양검사 | O |
| O | O | O |
|
|
핵산증폭검사(PCR, real-time PCR 등)① | O | O① | O | O |
|
|
|
<클라미디아> | |||||||
핵산증폭검사(PCR, real-time PCR 등) |
| O | O | O |
|
|
|
① 소변: 항균제감수성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배양검사를 시행해야 함
② 직장이나 인두에서 비배양검사는 FDA 인정이 되지 않음
요도분비물(남성)
지속/재발성 요도분비물(남성)
참고자료
[요도분비물(Urethral discharge): 원인 및 감별진단]
- 질병관리본부/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성매개감염 진료지침요약본(2016)
[요도분비물(Urethral discharge): 진단적 접근]
- 질병관리본부/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성매개감염 진료지침.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