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요
정의
남성갱년기란?
- 남성에서 연령이 증가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발기력 감퇴, 성욕저하, 수동적 태도, 골다공증 등의 전형적인 증상들과 혈청 테스토스테론 결핍을 동반하는 임상적, 생화학적 증후군을 의미
남성 갱년기를 지칭하는 용어
- male climacteric
- 남성갱년기는 1939년 Werner가 50대 남성에서 쉬운 피로감, 성기능 소실, 안면 홍조, 우울증, 기억력 감퇴 등의 복합 증상을 ‘male climacteric’이라고 칭한 데서 유래하였음
- male menopause 혹은 andropause
- 1944년 Bauer가 ‘male menopause’ 혹은 ‘andropause’라는 용어를 사용
- partial androgen deficiency in aging male (PADAM)
- 1994년 Austrian Urology Society의 Andrology Workshop에서 'partial androgen deficiency in aging male'라는 용어를 사용
- late onset of hypogonadism,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TDS)
- 최근에 일컬어지고 있는 용어
병태생리
테스토스테론의 조절과 생리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축
- 인체에서 남성호르몬의 분비조절은 시상하부 이상의 중추신경계, 시상하부, 뇌하수체, 고환, 그리고 성선호르몬에 반응하는 말단 장기로 구성되는 큰 축을 통해 이루어짐
-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황체호르몬(luteinizing hormone)은 레이디히세포(Leydig cell)로부터 남성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하고 여포자극호르몬(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은 세정관에서 정자 생성을 촉진
Hypothalamic-pituitary-gonadal axis
CNS: central nervous system, GnR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LH: luteinizing hormone, FSH: follicular-stimulating hormone, T: testosterone
남성호르몬 생리
![]()
|
Testosterone의 연령에 따른 변화
- 성호르몬은 남녀 모두 사춘기에 최고조로 증가
- 여성: 50대 전후로 여성호르몬이 급격하게 감소
- 남성: 40세 이후에 점차적인 감소
Massachusetts Male Aging Study
- 남성 40-70세 1,15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1년 기준 변화)
- total testosterone 1.6% 저하
- free testosterone 2.8% 감소
- albumin binding testosterone 2.5% 감소
-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 1.3% 상승
- prolactin 5.3% 증가
- SHBG, prolactin 증가 → free testosterone 감소 → 남성호르몬 부족 악화
- 동일 연령에서도 비만하거나 과음, 고혈압 및 심장질환자는 건강한 사람보다 약 10-15% 더 남성호르몬이 감소
임상증상
- 남성갱년기 증상은 비특이적이고 정상적인 노화과정과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많음
- 대표적인 증상의 경우 크게 성적, 신체적, 정신적 증상의 세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late onset hypogonadism을 시사하는 증상 및 징후
성적 기능변화 | 신체 변화 | 정신 증상 |
|
|
|
남성갱년기 증후군: 진단
병력/신체검사
- TDS의 증상은 매우 광범하고 우울증 같은 타 질환 증상과 중복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증상만으로 진단을 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
설문지 조사
- 남성갱년기의 증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 사용 가능
-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설문지
- aging male’s symptoms 설문지
- androgen deficiency in aging male 설문지
- 민감도가 매우 낮아 진단적 도구로는 이용할 수 없고 증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얻는 정도로 사용가능
진단 검사
- 혈중 총 testosterone (total testosterone), 유리 testosterone (free testosterone), 생체이용 가능 testosterone (bioavailable testosterone)
- 유리 testosterone의 감소는 더 일찍 관찰되고 감소의 정도도 커서 매년 약 2-3%씩 감소[매년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이 1.2%씩 증가하기 때문. SHBG에 결합하는 testosterone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리형이 감소되는 것]
- 진단을 위해서는 TDS 관련 증상이 동반되면서 반드시 혈액검사에서 testosterone의 감소 상태가 동반되어야 진단이 가능. TDS는 증상만으로 진단을 할 경우 오진의 가능성이 높음
- 오진에 의해 불필요한 남성호르몬을 보충할 경우 내인성 남성호르몬 생성을 감소, 혹은 중단시킬 수 있음
- 혈액학적 진단에서 testosterone에 대한 시각이 학회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여기서는 가장 널리 알려진 International Society of Study for Aging Male의 TDS 기준에 대해 언급하기로 함
TDS가 의심되는 상황(→ Hypogonadism에 대한 평가를 추천하는 상황)
|
총 Testosterone의 측정
- 초기 진단 검사로 가장 신뢰도가 높은 검사: 아침에 총 testosterone 측정
- 총 남성 호르몬의 반복 측정 필요 → 적어도 두 번 측정(남성호르몬 결핍 진단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
- 초기 남성호르몬 수치가 경도의 저성선증 범주에 들었던 남성의 30%가 반복 측정에서 정상 남성호르몬 수치
- 중년 이상의 남성에서 일간 변동(day-to-day variation)이 충분히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남성호르몬 한 번의 측정만으로 개인의 수치를 특징짓기는 어려움
방법
- 혈중 농도가 가장 높은 오전 7-11시경 채혈
진단기준
총 testosterone 기준
8 nmol/L (230 ngm/dL) 이하인 경우 | 8-12 nmol/L인 경우 | 12 nmol/L (약 350 ng/dL) 이상인 경우 |
|
|
|
유리 testosterone/생체이용 가능한 testosterone 측정
Cf. SHBG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 총 testosterone의 수준이 정상 수치의 하한(231-346 ng/dL)에 있거나, SHBG 수치가 높을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유리형 혹은 생체이용 가능한 testosterone 농도검사 시행
유리 testosterone | 생체이용 가능한 testosterone |
|
|
기타 검사
- lutenizing hormone (LH): 이차성 성선기능부전증(secondary hypogonadism)이 의심되는 경우
- Prolactin: ① 총 testosterone ≤150 ng/dL; ② 이차성 성선기능부전증(secondary hypogonadism)이 의심되는 경우
Testosterone 결핍증후군의 진단흐름도
남성갱년기 증후군: 치료
치료원칙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치료방법
- 일반적 행동치료
- 약물치료
- Testosterone
- Non androgenic Hormone replacement
- TDS가 발생하면 남성호르몬을 보충하는 방법이 가장 최선의 방법
일반적 행동 치료
- 생활습관 개선
- 과다 음주자, 비만, 운동부족 등의 상황에서 TDS가 잘 발생
- 중금속에의 노출 회피
- 카드뮴, 납 등 중금속은 고환에 독성 효과를 나타내어 일차 성선부전증 초래 가능
- 부적절한 약제의 중단
- 약제에 의해서 성선부전증 발생 가능
- ketoconazole, corticosteroids: 항남성호르몬 효과를 보이거나 LH 분비를 줄여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감소시키므로 장기복용을 금함
- 약제에 의한 경우는 약제를 중단하면 다시 회복되는 것이 일반적
|
테스토스테론 보충요법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제제의 종류
- 경구용, 겔제제, 주사제
- 모두 안전하고 효과적이긴 하나 투여방식이나 각 약제별로 특성과 장단점이 있음
제형 | 장점 | 단점 | |
경구용제 |
|
| |
외용제 | 패치제 |
|
|
겔제제 |
|
| |
주사제 | 반감기 짧은 제제 |
|
|
반감기 긴 제제 |
|
|
경구용제
- 투여가 가장 간편하고 가격이 가장 저렴 → 많이 이용됨
- 단점: 매일 수 회 복용해야 함
약물군 | 특징 |
17α-methyl testosterone |
|
Mesterolone |
|
testosterone undecanoate 계열 |
|
외용제
- 비생리적 고혈중 농도를 보이는 주사제의 단점을 보완, 간편한 투여
| 패치제 | 겔제제 |
장점 |
|
|
단점 |
|
|
투여의 실제 |
|
|
비고 |
주사제
- 테스토스테론 주사제는 가장 오랫동안 임상에서 이용되어온 방법
- 장점: 근육주사를 해야 함
- 단점: 매일 투여하지 않음
- 주사제는 반감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음
| 반감기가 짧은 제제 | 반감기가 긴 제제 |
반감기 |
|
|
장점 |
|
|
단점 |
|
|
- T. undecanoate
- European regimen: 1,000 mg IM, followed by 1,000 mg at 6wk, and 1,000 mg q 10-14wk
- Testosterone Lv.: not below the lower limit of normal
- DHT, E2: mostly within the normal range
다른 제제
피하 매몰(Pellets) | 설하(Buccal) |
|
|
남성호르몬 보충 요법의 금기증
금기 | 해당질환 |
절대적 금기증 | 전립선암, 유방암 |
상대적 금기증 | 적혈구증가증(polycythemia), 폐쇄성 전립선비대증, 치료되지 않은 무호흡증, 조절되지 않은 울혈심부전 |
치료 시작 전 평가
- 보충요법 시행 중에는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통해 합병증 발생 여부를 평가할 것
-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에 의한 영향: ① 가장 큰 영향: 전립선, 헤마토크릿(hematocrit) ② 그 외 영향: 수분의 체내 축적, 혈액량의 증가, 수면 중 무호흡 악화, 여성화 현상(여성형 유방)
전립선 특이항원(PSA)
- 남성호르몬 치료에 의해 전립선암, LUTS 악화 가능 → 치료 전 PSA 측정: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선별. 향후 f/u 검사수치와 비교
- PSA가 높으면 보충요법을 시행하면 안됨
- 치료 중 다음과 같은 소견이 보이면 남성호르몬 보충요법 중단
- 치료 도중 1.4 ng/mL/y 증가하거나 2년 동안에 0.4 ng/mL/y의 상승이 있는 경우
- 전립선 수지검사에서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 국제전립선증상지수(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수치가 19 이상인 경우
CBC
- 남성호르몬은 적혈구 줄기세포를 자극하고 erythropoietin 생성을 촉진하여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함
LFT
- 최근에는 투여제의 대부분이 간독성에 대해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치료 전 검사를 시행하여 f/u 검사치와 비교하는 것이 좋음
- 경구용제 사용 중 간독성 발견 시 비 경구용으로 전환/중단
- 근주/경피용: 간기능검사 필요하지 않음
호르몬 치료 중 모니터링
지표 | 치료 전 시행여부 | 처음 1년 | 그 이후 |
체중, 혈압 | + | 3, 6, 12개월 | 주기적 시행 |
DRE, PSA, IPSS | + | 3, 6, 12개월 | 매년 시행 |
LFT | + | 3, 6, 12개월 | 매년 시행 |
CBC | + | 3, 12개월 | 매년 시행 |
Lipid profile | + | 매년 시행 | 매년 시행 |
수면 문제 | + | 3, 6, 12개월 | 매년 시행 |
행동/정서평가 | + | 3, 6, 12개월 | 매년 시행 |
DRE, digital rectal examination; PSA, protate specific antigen; IPSS,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LFT, liver function test; CBC, complete bood count
비안드로겐(non androgenic) 호르몬 보충요법
Growth hormone
- 근육량은 증가, 근력은 controversial
- Ejection fraction, cardiac output 증가 등 심장기능 회복/전반적 활력의 증가/불면증이나 우울증의 개선/성욕의 증가/ 기억력 개선
- 장기간 투여 시 암 발생의 문제(특히 전립선암), 말초 부종, 근육통, 관절통, 수근터널 증후군 발생 가능
Melatonin
- 노화에 따른 수면 장애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아직 controversial
Thyroxine
- 노화에 따라 갑상샘 기능의 변화: TSH 감소, TSH 반응 감소, 혈청 갑상샘 호르몬 저하
- 남성 갱년기에서 갑상샘 호르몬을 투여한 결과는 보고되어 있지 않음
Leptin
- 남성 노화에 대한 결과는 없는 편
참고자료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요]
- 김문종, 이유미, 서주태, et al.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에 대한 2006 대한남성갱년기학회 호르몬치료 권고안. 대한남성과학회지 2008;26(1):8–10.
- Mulhall JP, Trost LW, Brannigan RE, et al.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estosterone Deficiency: AUA Guideline. J Urol 2018;200(2):423–32. → 2018년 개정발표된 미국비뇨기과학회(AUA) 가이드라인
- Bhasin S, Brito JP, Cunningham GR, et al. Testosterone Therapy in Men With Hypogonadism: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18;103(5):1715–44. → 유럽내분비학회에서 개정발표한 가이드라인
- Bhasin S, Cunningham GR, Hayes FJ, et al. Testosterone therapy in men with androgen deficiency syndromes: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10;95(6):2536–59.
- Wang C, Nieschlag E, Swerdloff R, et al. Investigation, treatment and monitoring of late-onset hypogonadism in males: ISA, ISSAM, EAU, EAA and ASA recommendations. Eur J Endocrinol 2008;159(5):507–14.
- Min KS, Kang DI. Testosterone replacement therapy and monitoring for the male patients with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2):197.
- Kim KM. Late-Onset Hypogonadism. Korean J Fam Pract. 2013;3:245-254.
- Harman SM, Metter EJ, Tobin JD, Pearson J, Blackman MR, Baltimore Longitudinal Study of Aging. Longitudinal effects of aging on serum total and free testosterone levels in healthy men. Baltimore Longitudinal Study of Aging. J Clin Endocrinol Metab 2001;86(2):724–31.
- Feldman HA, Longcope C, Derby CA, et al. Age trends in the level of serum testosterone and other hormones in middle-aged men: longitudinal results from the Massachusetts male aging study. J Clin Endocrinol Metab 2002;87(2):589–98.
- Derby CA, Zilber S, Brambilla D, Morales KH, McKinlay JB.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 to hip ratio and change in sex steroid hormones: the Massachusetts Male Ageing Study. Clin Endocrinol (Oxf) 2006;65(1):125–31.
[남성갱년기 증후군: 진단]
- Min KS, Kang DI. Testosterone replacement therapy and monitoring for the male patients with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2):197.
- Bhasin S, Cunningham GR, Hayes FJ, et al. Testosterone therapy in men with androgen deficiency syndromes: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10;95(6):2536–59.
- Lunenfeld B, Mskhalaya G, Zitzmann M, et al. Recommendations on the diagnosis, treatment and monitoring of hypogonadism in men. Aging Male 2015;18(1):5–15.
-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Guidelines on Male Hypogonadism. 2015
- Wang C, Nieschlag E, Swerdloff R, et al. Investigation, treatment and monitoring of late-onset hypogonadism in males: ISA, ISSAM, EAU, EAA and ASA recommendations. Eur J Endocrinol 2008;159(5):507–14.
- Kim KM. Late-Onset Hypogonadism. Korean J Fam Pract. 2013;3:245-254
- Morales A, Bebb RA, Manjoo P,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in me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CMAJ 2015;187(18):1369–77.
- Buvat J, Maggi M, Guay A, Torres LO. Testosterone deficiency in men: systematic review an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J Sex Med 2013;10(1):245–84.
[남성갱년기 증후군: 치료]
- Min KS, Kang DI. Testosterone replacement therapy and monitoring for the male patients with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2):197.
- Kim KM. Late-Onset Hypogonadism. Korean J Fam Pract. 2013;3:245-254
- Fernandez-Balsells MM, Murad MH, Lane M, Lampropulos JF, Albuquerque F, Mullan RJ, et al. Clinical review 1: adverse effects of testosterone therapy in adult 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Clin Endocrinol Metab 2010;95:2560-75.
- Bhasin S, Cunningham GR, Hayes FJ, et al. Testosterone therapy in men with androgen deficiency syndromes: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10;95(6):253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