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 cortisol, aldosterone이 형성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결핍으로 인한 질환
차단된 과정 이전의 대사산물이 축적되고 부신에서 제대로 된 output(cortisol, aldosterone)이 나오지 않으므로 뇌하수체에서는 계속해서 ACTH로 부신을 자극하게 됩니다. 이러한 호르몬불균형은 색소침착과 태아 성기발달장애를 일으킵니다.
cortisol, aldosterone이 형성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결핍 : 21-hydroxylase 결핍(m/c 95%) | ||
▼ | ▼ | |
steroid hormone↓
| 차단된 과정 이전의 대사산물 축적 | |
▼ | ▼뇌하수체 ACTH↑(steroid hormone 합성 촉진위해 부신 자극) | ▼ |
|
|
|
CAH의 병태생리, 이로 인한 임상증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steroid hormone 합성경로를 우선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 pathyway에서 보듯이 21-hydroxylase 결핍이 되면 progesterone, 17-OHP (17-hydroxyprogesterone)에서 각각 aldosterone, cortisol로 전환되지가 않습니다.
- aldosterone 결핍 → 염분 소실, 저혈압 등
- cortisol 결핍 → adrenal insufficiency
한편 17-OHP는 축적되므로 이 수치 상승이 진단적 가치를 가지게 됩니다.
임상양상
- 남성화, ambiguous genitalia(모호한 외성기, 여아 출생 시)
- salt-losing crisis, 심한 탈수
- 고혈압
전형적인 유형 | vs. | 비정형적인 유형 |
효소 결핍으로 출생 시부터 성기 발달 이상이나 염분 소실 등이 나타나는 유형 | 효소의 결핍이 완전하지 못하거나 경미하여 임상 증상이 늦게 나타나는 유형 |
21-hydroxylase 결핍
- CAH 중 가장 흔한 효소 결핍(95%)
분류: ① 염분 소실형, ② 단순 남성형
염분 소실형(Salt-losing type) |
| ||||||
단순 남성형(Simple virilizing type) |
|
검사소견①
- 요중 17-ketosteroid (testosterone 대사물질)↑, progesterone↑, 17-OH progesterone↑
- ACTH 자극시험: 17-OHCS (hydroxycorticosteroid)의 반응이 없음
- X–ray상에서 골 연령이 빨라져 있음(androgen의 영향)
- DHEA↑, testosterone↑
- 중증인 경우 aldosterone 감소로 인한 Na loss
① Cortisol, aldosterone으로 가는 길이 막혀 그 전단계 대사물질이 증가하고, 성호르몬 합성이 촉진되어 나타나는 결과
진단 검사
- 비전형적 type이나 단순 남성형의 경우: ACTH 정맥 주사 → 17-OHP가 증가되는 것으로 확진 가능
기타
- 11ß- hydroxylase 결핍: 두번째로 흔한 CAH
- 17α-hydroxylase 결핍
- 3β-hydroxylase dehydrogenase 결핍
- 20, 22-cholesterol desmolase 결핍
CAH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①
결핍효소 | 고혈압 | Na loss | 남성화 | 반음양 | |
aldosterone↓ | aldosterone↑
| testosterone↑ | Testosterone↓ | ||
21-hydroxylase | 경증 |
|
| + |
|
21-hydroxylase | 중증 |
| + | + |
|
11-hydroxylase | + |
| + |
| |
17-hydroxylase | + |
|
| +(남아) |
① Steroid 호르몬 생성단계의 어느 부분이 막혔느냐(어떤 효소가 결핍되었는가)에 따라 축적되는 중간대사산물이 다르고, 과다생성되는 호르몬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이와 같이 다른 임상양상이 나타나게 된다.
치료
- cortisol (hydrocortisone) 투여
- 효소 결핍으로 합성되지 못하는 cortisol 투여 → ACTH 분비 감소 → 부신에서 분비되는 안드로젠 합성 증가 억제 → 촉진된 성장과 골연령을 역연령에 일치시킴 → 정상적인 사춘기 발현 도모
- 11β나 17α-hydroxylase가 결핍된 경우에는 cortisol 투여로 혈압 정상화 가능
- mineralocorticoid 보충: 알도스테론 분비가 안 되는 염분 소실형의 경우
- 심하게 외부 성기가 남성화된 여아: 6-12개월 사이에 교정 수술 시행
참고자료
- 홍창의 소아과학 12판(2020), 19장, P1137-1140
- El-Maouche D, Arlt W, Merke DP.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Lancet 2017;390(10108):2194–210.
- Deaton MA, Glorioso JE, McLean DB.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Not Really a Zebra. AFP 1999;59(5):1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