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포인트 새로 추가된 항목 |
Core review
신질환의 증후군 분류
- 신염 증후군(Nephritic syndrome)
-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혈뇨, 부종, 고혈압, 신부전 등의 증상을 초래하는 질환군
- 급속 진행 사구체 신염(Rapidly progressive glomerulonephritis, RPGN)
- 급성 신손상(Acute kidney injury)
- 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3단계 이상
- 무증상 요이상(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y)
APSGN
원인
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us
- 인후염: 혈청형 M12 → 1-2주 APSGN 발병
- 피부 감염: 혈청형 M49 → 3-6주 후 APSGN 발병
임상양상
잠복기(Latent period) |
| |
▼ | ||
사구체 신염의 임상양상 | 부종(Edema) |
|
핍뇨 |
| |
고혈압 |
| |
현미경적 혈뇨 |
| |
기타 증상 |
|
진단
- 급성 사구체 신염의 임상증상 + 사슬알균의 최근 감염증거 + 혈청 C3 감소 → 신생검 없이 임상적 진단 가능
[참고] 신질환의 증후군 분류
신질환의 임상증상은 다양하나 몇 가지 증후군으로 구분하면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된다.
신염 증후군(Nephritic syndrome) |
|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
|
급속 진행 사구체 신염 (Rapidly progressive glomerulonephritis, RPGN) |
|
급성 신손상(Acute kidney injury) |
|
만성 콩팥병 (Chronic kidney disease) 3단계 이상 |
|
무증상 요이상(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y) |
|
개요
참고) 신염 증후군이란?
|
사슬알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PSGN)
개요
- 신염 증후군 중 대표적인 질환
이 질환을 이해하면 신염 증후군을 이해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원인: 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us
- 인후염: 혈청형 M12 → 1-2주 APSGN 발병
- 피부 감염: 혈청형 M49 → 3-6주 후 APSGN 발병
역학
- 5-12세에서 호발. 3세 이하에서는 드묾
발병기전
- 면역 복합체의 사구체 침착 → 염증반응 유발 → APSGN 발생
임상양상
잠복기(Latent period) |
잠복기가 1주일 이내인 경우에는 다른 질환(e.g. IgA 신병증) 혹은 이미 있던 사구체 신염의 갑작스런 악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
▼ | ||
사구체 신염의 임상양상 | 부종(Edema) |
|
핍뇨 |
| |
고혈압 |
| |
현미경적 혈뇨 |
| |
기타 증상 |
|
진단
- 급성 사구체 신염의 임상증상 + 사슬알균의 최근 감염증거 + 혈청 C3 감소 → 신생검 없이 임상적 진단 가능
- 신생검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 다른 사구체 질환과의 감별
- 급성 신손상 또는 신증후군이 발생할 때
- 사슬알균 감염의 증거가 없을 때
- 혈청 C3가 정상일 때
- 심한 혈뇨 또는 단백뇨가 지속될 때
- 신기능의 저하 및 혈청 C3의 감소가 3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검사실 검사
- 혈청검사
- C3↓, CH50↓
- 혈청 ASO (Anti-streptolysin O)
- 인후염 후 대부분에서 증가
- 조기에 항생제 치료(e.g. penicillin)를 시행한 경우나 피부 감염의 경우에는 ASO치의 상승은 별로 없음(피부 내에서 streptolysin O가 불활성화되기 때문)
- Anti-DNase B, antihyaluronidase
- Streptozyme test: ASO, antihyaluronidase, Anti-DNase B 등을 동시에 측정하는 검사
- 소변검사
신생검
- LM: diffuse 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 EM: subepithelial electron-dense deposit (hump)
- IF: 면역글로불린(주로 IgG) 및 C3가 GBM 및 mesangium에 침착
감별 진단
- 신염 증후군을 일으키는 기타 1차 신질환: IgA 신병증, Goodpasture 증후군, 특발성 급속 진행 사구체 신염 등은 육안 혈뇨, 부종, 고혈압, 감뇨 등
- 막증식 사구체 신염
- 유전 신염: 알포트 증후군으로 대표되는 신질환
- Henoch-Schönlein 자반병 신염, 전신 루푸스 신염: 특징적 전신 증상을 동반하므로 비교적 감별 용이
- 급성 출혈 방광염: 학령기 아동에서 주로 adenovirus 또는 대장균의 감염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선홍색 소변 발생
- 보체 저하 신질환
- 루푸스 신염(ANA, dsDNA-antibody 양성), 아급성 세균 심내막염, Shunt 신염(병력과 증상), 원발 혼합 한랭글로불린증(essential mixed cryoglobulinemia) (한랭글로불린,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장농양(혈액 배양 양성) 등
- 막증식 사구체 신염
- 보체 감소
전신 질환 | 신질환 |
|
|
- 보체 정상
전신 질환 | 신질환 |
|
|
- 사슬알균 증거(-), C3 지속 감소
전신 질환 | 신질환 |
|
|
치료
- 안정: 급성기를 제외하고는 활동 제한 불필요
- 식이요법: 감뇨, 부종, 고혈압 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수분 및 염분 제한
- 고혈압: 두통, 구역 등의 고혈압 증상이 있는 경우 응급 치료를 요함
- 염분제한, 이뇨제(Furosemide), CCB(Nifedipine), Vasodilator
- 경련: 대개 혈압을 낮추면 되지만, 드물게 항경련제 필요
- 항생제: 신염과 무관하지만 균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투여
경과 및 예후
- 급성기는 대개 1-4주 이내. 95% 이상에서 완전 회복
APSGN은 재발이 드물지만 IgAN은 재발이 흔합니다.
- 혈뇨는 일부에서 1년 이상 지속 가능
- 급성기 사망의 원인: 고혈압에 의한 심부전, 뇌증, 신부전 등
- 2% 미만에서 사구체 경화증, 만성 신장질환으로 이행
| APSGN | IgAN |
잠복기 | 1-2주 | 3일 이내 |
혈뇨 | 콜라색 | 선홍색 |
C3 수치 | 감소 | 대개 정상 |
재발 가능성 | 재발이 드묾 | APGN에 비해 재발이 흔함 |
Case study
17세 남자가 붉은색 소변이 나와서 왔다. 10일 전 목감기로 치료를 받았다고 하였다.
P/E |
|
혈액 |
|
소변 |
|
Approach to the patient
진단은?
- 혈뇨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10일 전 목감기를 앓았다는 병력이 특기할 만하다.
> Key Clue
|
- 10일 전 감염이 있었으며 혈뇨, 부종, 고혈압과 함께 ASO 증가, C3 감소는 사슬알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APSGN)의 소견이다.
치료는?
- 신부전, 고혈압 등에 대한 대증 필요가 핵심이다.
참고자료
[참고. 신질환의 증후군 분류]
- 홍창의 소아과학 12판(2020), 18장, P1034-1035
[사슬알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PSGN)]
- 홍창의 소아과학 12판(2020), 18장, P1035-1038
-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th ed(2018). P2132-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