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6개월에서 3세 이전에 가장 많이 발생
- 원인 물질: 견과류(예. 땅콩) - m/c
증상
이물 부위에 따른 임상양상
후두 이물(laryngeal foreign body) |
|
기관 내 이물(tracheal foreign body) |
|
기관지 내 이물(bronchial foreign body) |
|
단계별 임상양상
- 기도 내에 이물이 흡인되면 대개 3단계의 임상양상으로 발현됨
제1단계 |
|
↓ | |
제2단계 |
|
↓ | |
제3단계 |
|
진단
병력
- 제1단계 증상(갑작스러운 기침, 호흡곤란, 천명 등) 병력
병력에서 특별한 점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 기관지 흡인의 흔한 원인에 대한 탐색: 예. 땅콩과 같은 견과류
진단 검사
- 가슴X선(흡기 및 호기 서로 비교) → 이물 자체 또는 이로 인한 2차적 변화 확인
치료
- 경직성 기관지경: 이물이 확인되면 곧바로 경직성 기관지경을 실시하여 제거
- 항생제: 2차 감염(+)
- 폐 절제: 예. 식물성 이물이 오랫동안 제거되지 않을 경우
- 상부 기도의 폐쇄로 인하여 질식(asphyxia) 소견을 보일 경우: 미국 소아과학회 사고 및 중독 위원회에서 추천하고 있는 ‘질식 소아에 대한 응급 처치’ 방법에 따라 처치
1세 이하 영아 | Five back blow and/or five chest thrust method |
1세 이상 소아 | Abdominal thrust, Heimlich maneuver |
Case study
9개월 남아가 기침으로 병원에 왔다. 2일 전에 갑자기 기침을 하였고 콧물은 없었다. 기침이 심해지면서 잘 먹으려 하지 않았다.
P/E |
|
혈액검사 |
|
가슴X선 |
Approatch to the patient
진단은?
> Key Clue
다른 호흡기 증상은 없이 기침만 발생하였다. 호흡기 감염 이외 다른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 자체는 비특이적인 양상이다.
빈호흡. 기침 뿐만 아니라 호흡도 불안정한 상태이다.
호흡음이 감소하는 경우는 공기가 들락날락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폐와 흉벽 사이에 뭔가가 차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기관지폐쇄, 기흉, 흉막삼출 등이 가능하다.
|
- 이상을 종합해보면 왼쪽 기관지 내 이물이 가장 의심되는 상황이다.
치료는?
- 기관지내 이물이 의심되는 경우 경직성 기관지경을 시행하여 이물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2차 감염이 의심된다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다
참고자료
- 홍창의 소아과학 12판(2020). 14장, P772-776
- Johnson K, Linnaus M, Notrica D. Airway foreign bodies in pediatric patients: anatomic location of foreign body affects complications and outcomes. Pediatr Surg Int 2017;33(1):59–64.
- Rodríguez H, Passali GC, Gregori D, et al. Management of foreign bodies in the airway and oesophagus.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2012;76 Suppl 1:S84-91.
- Berdan EA, Sato TT. Pediatric Airway and Esophageal Foreign Bodies. Surg Clin North Am 2017;97(1):8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