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 개요 및 진단
개요
정의
- “소화불량증”: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는 용어. 상복부 통증이나 팽만감, 포만감, 구역, 구토, 트림 등 다양한 상복부 증상들을 포함하며, 여러 가지 병태생리가 관여하는 이질적인 질환들의 집합체
-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 FD)"
- 내시경검사, 복부 초음파검사 혹은 전산화단층촬영, 병리 조직검사 등에서 기질적인 원인을 찾을 수 없으면서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소화불량증(뚜렷한 인과관계를 가지는 기질적 질환이 없으면서 증상이 만성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만성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 | + | 뚜렷한 인과관계를 가지는 기질적 질환이 없을 것 |
|
|
|
병태생리: 여러 기전이 복합적으로 작용
- 장관의 운동 이상, 내장감각 과민성, 중추신경계 조절 이상, 장관 감염과 염증 등
- 정신적 요인이나 스트레스도 복합 요소로 작용
임상양상
- 2가지 아형
- 식후불쾌감증후군(Postprandial distress syndrome, PDS)
- 상복부통증증후군(Epigastric pain syndrome, EPS)
※ PDS/EPS 중복군: 한 증상에 치우치지 않고 두 증상의 정도가 서로 비슷하여 어느 한쪽 아형으로 분류될 수 없는 경우
기능성 소화불량의 아형 | |
PDS | EPS |
6개월 전에 시작되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식후 포만감 또는 조기 만복감이 1주일에 3일 이상 있는 경우 | 6개월 전에 시작되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복부 통증 또는 상복부 속쓰림 증상이 1주일에 1일 이상 있는 경우 |
진단
국내 가이드라인 권고안(2020년)
항목 | 권고안 | 권고 등급 | 증거 수준 |
상부위장관 내시경 | 40세 이상의 만성 소화불량 환자에서는 기질적 원인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조기에 시행할 것을 권고한다. | 강함 | 낮음 |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 검사 | 산분비억제제나 위장관 운동촉진제에 반응하지 않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 검사를 권고한다. | 약함 | 매우 낮음 |
추가 검사(기질적 질환 감별) | 만성 소화불량 환자가 40세 이상이거나 삼킴곤란, 지속적 구토, 비정상적 체중감소, 출혈 징후, 위암 가족력이 있거나 최근 진통소염제/항혈전제를 복용한 경우 기질적 질환을 감별하기 위하여 추가 검사를 권고한다. | 강함 | 낮음 |
배제진단 vs 절대진단
배제진단 | vs | 절대진단 |
|
|
|
기능성 소화불량증(FD)의 배제진단
-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구조적 혹은 생화학적 이상과 같은 기질적 질환이 없으면서 만성적 상복부 증상을 유발할 때로 정의
- 기능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혹은 생화학적 이상을 배제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를 실시하게 됨
진단방법에 따른 진단적 유용성
진단 방법 | 기능성 소화불량증 진단에 있어서의 유용성 |
경고증상 |
|
혈액검사 |
|
H. pylori 검사 |
|
경험적 약물처방 |
|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
|
우선 기질적 질환을 배제해야 하며 이를 위한 내시경의 역할이 중요하다. 위암 발생률이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은 초기 전략으로 헬리코박터균 검사 및 제균치료를 적용하는 것은 위험 부담이 크다.
기능성 소화불량(FD)의 절대진단
- 절대진단을 위해서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진단기준으로는 로마기준 존재
Rome IV(2016) |
|
▲ |
|
Rome III(2006) |
|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 치료
치료원칙
기질적 질환이 배제되면 일차적으로 식이, 생활습관 요인 교정 |
↓ 호전이 없는 경우 |
|
- 국내 가이드라인 권고안
| 2020년 | 2011년 |
위산분비억제제: 프로톤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 |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프로톤펌프억제제는 증상 호전에 효과적이어서 1차 치료로 권고한다.(권고 등급: 강함, 증거 수준: 높음) |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프로톤펌프억제제는 치료에 효과적이다.(Grade 1A, 권고수준: 높음, 증거수준: 높음) |
기능성 소화불량증 아형 중 명치통증증후군 환자에서 프로톤펌프억제제를 1차 치료 약제로 우선적으로 권고한다.(권고 등급: 강함, 증거 수준: 중등도) |
| |
위산분비억제제: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Histamine-2 receptor antagonists, H2RA) |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는 증상 호전에 효과적이므로 권고한다. 단,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는 장기 사용으로 약효가 감소될 수 있어 단기간 사용을 고려한다.(권고 등급: 약함, 증거 수준: 중등도) |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치료에 효과적이다.(Grade 1B, 권고수준: 높음, 증거수준: 중등도) |
제산제 |
| 제산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Grade 2C, 권고수준: 낮음, 증거수준: 낮음) |
점막 보호제 |
| 점막 보호제는 일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증상 호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Grade 2C, 권고수준: 낮음, 증거수준: 낮음) |
위장관 운동촉진제 |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위장관 운동촉진제는 증상 호전에 효과적이므로 권고한다.(권고 등급: 강함, 증거 수준: 중등도) | 위장관 운동촉진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치료에 효과적이다.(Grade 1B, 권고수준: 높음, 증거수준: 중등도) |
기능성 소화불량증 아형 중 식후 고통증후군 환자에서 위장관 운동촉진제를 1차 치료 약제로 우선적으로 권고한다.(권고 등급: 강함, 증거 수준: 낮음) |
| |
장기간 도파민수용체 길항제 복용은 비가역적인 약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단기간의 최소 사용을 고려한다.(권고 등급: 강함, 증거 수준: 낮음) |
| |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장기적인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권고한다.(권고 등급: 약함, 증거 수준: 높음) | 헬리코박터 양성인 기능성 소화불량증에서 제균치료는 일부 환자에서 도움을 준다.(Grade 2B, 권고수준: 낮음, 증거수준: 중등도) |
위 기저부 이완제 | 위 기저부 이완제는 전반적인 소화불량 증상, 식후 포만감과 조기 만복감의 호전에 도움이 되어 권고한다.(권고 등급: 약함, 증거 수준: 중등도) |
|
내장 과감각 억제제 |
| 내장 과감각 억제제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준다.(Grade 2B, 권고수준: 낮음, 증거수준: 중등도) |
항우울제 | 삼환계 항우울제는 산분비억제제, 위장관 운동촉진제 등 기존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어 권고한다.(권고 등급: 약함, 증거 수준: 중등도) | 항우울제는 일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준다.(Grade 2B, 권고수준: 낮음, 증거수준: 중등도) |
정신 치료 | 정신 치료는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증상 호전에 도움을 주므로 권고할 수 있다.(권고 등급: 약함, 증거 수준: 중등도) | 증상이 심하고,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정신 치료가 도움을 준다.(Grade 2B, 권고수준: 낮음, 증거수준: 중등도) |
식이 | 고지방식을 피하는 등 식이 조절은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증상 호전에 도움을 주므로 권고할 수 있다.(권고 등급: 약함, 증거 수준: 낮음) | 생활습관의 개선 및 식이요법은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증상호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Grade 2C, 권고수준: 낮음, 증거수준: 낮음) |
생활습관/식이요인 교정
- 섭취하였을 때 증상을 유발하는 음식을 피할 것
- 나쁜 식사습관(과식, 빨리 먹는 습관, 불규칙한 식사 등)을 피할 것
- 일반적으로 피해야할 음식
- 고지방 음식(기름진 음식)
- 콩, 양파, 커피, 탄산음료, 초콜릿 등
- 유제품(우유, 치즈, 요구르트 등): 일부 환자에서 소화불량 증상 악화 가능
- 밀가루 음식보다는 쌀로 만든 음식이 증상을 덜 유발
약물요법
위산억제제 및 기타 항궤양제
- 프로톤펌프억제제:
-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치료에 효과적
- 히스타민수용체길항제
-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치료에 효과적
- 제산제(antacid)
-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위산 중화 → 위십이지장 PH↑, 식도괄약근압↑
- 점막 보호제
- 일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증상 호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위장관운동촉진제(Prokinetics)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치료에 효과적
- 5HT4 receptor agonist
- Peristaltic reflex 자극, 장 분비기능 항진, Visceral hypersensitivity 감소
- Dopamine-2에 대한 영향: 하부 식도괄약근 압력↑, 위배출능↑, antro-pyloric motility↑
- 종류: mosapride, tegaserod
-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 아세틸콜린 작용↑ → 위 운동↑
- 종류: itopride
참고 Itopride: 도파민-2 수용체 길항제 +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
- Dopaminergic blockers
- Peripheral dopamine↓ → 하부식도괄약근 압력↓
- 위 배출능↑ → antropyloric motility↑
- 종류: itopride
- Motilin agonists
- Motilin receptor 작용 → 위배출능↑
- 종류: erythromycin, motilides
- Ghrelin agonist
- Ghrelin: 위운동↑, 위배출속도↑
위저부 이완제
- 일부에서 위저부 이완제가 치료에 도움을 줌
- 위저부 이완장애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중요한 병태생리 중 하나
-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40%에서 식후 위저부의 이완장애를 보이며 조기포만감, 체중감소 발현
- 종류: sumatriptan, buspirone, tandospirone, acotiamide, tegaserod
- sumatriptan: 5-HT 1A 수용체 작용제
- buspirone: 5-HT 1A 수용체 작용제
- tandospirone: 5-HT 1A 수용체 작용제
- acotiamide: 무스카린 수용체 M1/M2 길항작용, 콜린에스터라제 억제작용 → 아세틸콜린 분비 촉진 → 위장운동↑, 위저부 이완
내장 과감각 억제제
- 주요 약물
- 5-HT3 수용체길항제: granisetron
- κ-오피오이드 작용제: fedotozine, asimadoline
- 콜레시스토키닌 길항제
- 소마토스타틴 유사물질(somatostatin analog): octreotide
항우울제, 항불안제
- 적응증만 되면 치료 효과 상당히 우수(64-70%)
- 항우울제: 일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치료에 유용
- 항불안제: Activate on cholinergic nerve에 있는 5HT receptors 활성화 → proximal stomach 이완
- Selective K-opioid receptor agonist: K-opioid receptors 자극 → peripheral pain↓
헬리코박터 제균치료
- 헬리코박터 양성인 기능성 소화불량증에서 제균치료는 일부 환자에서 도움을 줌
참고자료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 개요 및 진단]
- Jung HK. Diagnostic approach for dyspepsia: Exclusive diagnosis vs. Rome criteria. Korean J Med 78:163-169, 2010.
- Jung HK et al. Diagnosis of Functional Dyspepsia: a Systematic Review.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296-307.
- Shin CM, Huh KC. Diagnosis and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J Korean Med Assoc 2016; 59(4):311-318
- Tack J, Talley NJ, Camilleri M, et al. Functional gastroduodenal disorders. Gastroenterology 2006;130:1466-1479.
- Kwon JHO and JG. Functional Dyspepsia.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9;73(2):77–83.
- Oh JH, Kwon JG, Jung H-K,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in Korea. Korean J Med 2021;96(2):116–38.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 치료]
- Oh JH, Kwon JG, Jung H-K,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in Korea. Korean J Med 2021;96(2):116–38.
- Kwon JHO and JG. Functional Dyspepsia.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9;73(2):77–83.
- Kim SE. Medical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Kosin Medical Journal 2015;30:1-11
- Oh JH. 2018년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Non-pharmacologic treatment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focusing on lifestyle modification and appropriate food intake
- Kwon JG. Functional Dyspepsia. 2018년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Introduction to the helpful latest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 Song KH. Functional Dyspepsia. 2015년 소화기연관학회 춘계학술대회(PG COURSE): Strategy to manag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 When and what to do?
- Shin CM, Huh KC. Diagnosis and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J Korean Med Assoc 2016; 59(4):311-318
- Jee SR, Jung H-K, Min BH, et 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67-81
- Park ET. Critical Review, Current Approach to Dyspepsia. The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2014;19(suppl 1):46–50.
- Park JK, Huh KC, Shin CM, et al. Current Issues in Functional Dyspepsia.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4;64(3):133.y 2011;57(2):67.
- Tack J, Janssen P. Emerging drugs for functional dyspepsia. Expert Opin Emerg Drugs 2011;16:283-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