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항문증상: 개요
해부학
- 항문은 직장에서 10-15 cm 떨어져있음
- 항문은 항문괄약근과 항문쿠션(anal cushion)에 의해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으며, 전후 종축방향의 슬릿 모양을 하고 있음
- Houston valve는 실제 valve가 아니고 도드라진 점막 주름임
항문관(Anal canal)
- 문헌상 두 가지 정의가 있음
“외과적” 또는 “기능적” 항문관 | “해부학적” 또는 태생학적” 항문관 |
|
|
치상선(Dentate line)
- 태생학적으로 외배엽과 내배엽이 만나는 톱니모양의 선
- 4-8개의 항문선(anal gland)가 치상선(dentate line) 주변의 crypts of Morgagni 로 배액됨 → 대부분의 항문 농양(Abscess)과 샛길(Fistula)가 이 항문선에 발생
- 치상선을 경계로 혈관 및 림프 배액, 신경분포와 상피세포가 서로 다르게 됨
치상선 상부 | 치상선 하부 |
|
|
항문연(Anal verge)①
- 항문관의 마지막 말단부위를 말함
- 항문연을 경계로 그 이하 부위는 모낭과 아포크린선 등 정상피부의 특성을 갖게 됨
① 통상적으로 대장내시경이나 수술 시 병변의 위치를 표시할 때 항문연을 기준으로 삼지만 보다 객관적 위치 표시를 위해 치상선을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항문직장 신체검사
- 환자가 경한 증상을 호소할 경우 양성질환(예. 치핵)으로 속단하지 말고 암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반드시 세심한 진찰을 시행할 것
- 암이 배제될 경우 90%의 질환은 일차의료 현장에서 간단한 기술로 해결할 수 있음
시진
- 열창(Fissure), 샛길(Fistula), 항문주위 피부염, 종괴, 혈전치핵, 콘딜로마
촉진
- 직장손가락검사: 환자가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만 제외하고는 반드시 매번 시행
- 손가락을 360도 회전하여 만져지는 종괴가 없는지 확인
- 점막에 가려 항문경으로 보이지 않는 작은 종괴는 촉진으로 확인 가능
항문경(Anoscopy)
- 윤활제를 바른 후 조심해서 삽입
- 시술 전 관장은 필요 없지만 관장할 경우 시야가 좋아져 관찰이 용이해짐
주요 항문증상: 항문 통증(Anal pain)/항문덩어리(Lump)
원인
- 외치질
- 대변 통과 후 통증
- 혈전 외치질 (thrombosed ext. hemorrhoid): 만져지는 종괴가 있으면서 발생하는 급성 통증; 보통 2-3일 지속되고 저절로 없어지지만 그 이상도 지속될 수 있음
- 치열(Anal fissure): 대변 통과 후 칼에 베인 듯한 느낌의 통증
- 대변 통과 후 수 시간 동안 지속 가능
- 선홍색 출혈이 동반될 수 있음
- 내치질, 직장암: 치상선 상부에 있기 때문에 통증을 일으키기 힘듦
- 항문암(Anal cancer): 괄약근을 침범할 경우 통증을 일으킴
- 항문 감염: 통증이 서서히 진행될 경우 의심
- 항문 농양: 국소적 압통(Local tenderness)
- Proctalgia fugax: 경련성 항문 통증을 일으킴; 원인은 모름; 극렬한 통증과 함께 발한, 창백, 빈맥이 발생
진단
Anorectal pain | |||||
▼ | ▼ | ▼ | ▼ | ▼ | ▼ |
Pain만 있는 경우 | Pain + lump | Pain + lump + bleeding | Pain + bleeding | Lump만 있는 경우 | Lump + bleeding |
|
|
|
|
|
|
주요 항문증상: 항문 소양증(Pruritus Ani)
개요
특징
- 매우 흔한 증상; 다양한 원인
- 원인과 상관없이 가려움 때문에 긁으면서 항문에 변화가 발생하고 원인이 제거되어도 한번 생긴 변화는 계속 남게 됨
만성 항문 소양증에 의해 유발된 항문주위 피부염
원인
- 기생충 감염에 의한 가려움은 매우 드묾
- 항문 위생 불량; 과도한 항문위생 추구(솔이나, 비누 사용); 치핵 등
항문 소양증과 연관된 질환
분류 | 원인 |
항문의 피부질환 | 아토피 피부염, 접촉 피부염, 편평태선, 경화태선(lichen sclerosis), 건선, 지루 피부염 |
항문을 자극하는 식이 | 알코올(맥주, 와인), 카페인(차, 콜라), 우유, 토마토, 초콜릿, 땅콩, 포도, 매운 음식, 팝콘 |
항문을 더럽히는 상황 | 치열(anal fissure), 만성 변비, 치루, 변실금, 탈출치핵, 직장 탈출, skin tags |
항문의 악성질환 | 보웬병, 유방외 파제트병, 편평세포암종 |
감염질환 | 항문농양, 간찰진(intertrigo), 홍색음선(erythrasma), 물사마귀(molluscum contagiosum); 기생충: 요충, 옴; 성매개병: 단순포진,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매독, S. aureus 감염 |
전신질환 | 재생불량빈혈, 당뇨, 염증성 장질환, 황달, 백혈병, 림프종, 갑상샘질환 |
약물 | 항암제, colchicine, neomycin, quinidine, 알코올 포함 연고 |
진단
- 신체검사: 항문주위 피부 태선화
- 원인 질환 확인: 탈출성 치핵, 항문 외번, 만성 치열, 치루, 첨규 콘딜로마 등
치료
- 원인을 제거하고 itch/scratch cycle을 끊어 주는 것이 중요
- 많은 경우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항문을 긁게 됨 → 항히스타민제(예. Hydroxyzine): 소양감 감소/수면 효과 → 취침 전 복용
- 스테로이드: 소양증 해결 목적; 단기간만 사용할 것(항문 피부 위축 방지)
- Topical 5% xylocaine ointment (Lidocaine)
- 적절한 치료 후에도 증상이 지속될 경우 생검 시행
참고자료
[주요 항문증상: 개요]
- Pfenninger JL, Zainea GG. Common anorectal conditions: Part I. Symptoms and complaints. Am Fam Physician 2001;63(12):2391–8.
- Pfenninger JL, Zainea GG. Common anorectal conditions: Part II. Lesions. Am Fam Physician 2001;64(1):77–88.
- Fargo MV, Latimer KM.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ommon anorectal conditions. Am Fam Physician 2012;85(6):624–30.
- Wald A, Bharucha AE, Cosman BC, Whitehead WE. ACG clinical guideline: management of benign anorectal disorders. Am J Gastroenterol 2014;109(8):1141–57; (Quiz) 1058.
- Barleben A, Mills S. Anorectal anatomy and physiology. Surg Clin North Am 2010;90(1):1–15, Table of Contents.
- Tupe CL, Pham TV. Anorectal Complai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merg Med Clin North Am 2016;34(2):251–70.
- Bharucha AE, Wald AM. Anorectal disorders. Am J Gastroenterol 2010;105(4):786–94.
- Lee SJ. Diagnosis and Treatment of Anal Disease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3;46(7):574.
[주요 항문증상: 항문 통증(Anal pain)/항문덩어리(Lump)]
- Pfenninger JL, Zainea GG. Common anorectal conditions: Part I. Symptoms and complaints. Am Fam Physician 2001;63(12):2391–8.
- Daniel WJ. Anorectal pain, bleeding and lumps. Aust Fam Physician 2010;39(6):376–81.
[주요 항문증상: 항문 소양증(Pruritus Ani)]
- Pfenninger JL, Zainea GG. Common anorectal conditions: Part I. Symptoms and complaints. Am Fam Physician 2001;63(12):2391–8.
- Fargo MV, Latimer KM.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ommon anorectal conditions. Am Fam Physician 2012;85(6):624–30.
- Song S-G, Kim S-H. Pruritus An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loproctology 2011;27(2):54.
- Lee SJ. Diagnosis and Treatment of Anal Disease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3;46(7):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