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복통/소화불량: 원인 및 감별진단
만성 복통이란?
만성 복통 | vs. | 아급성 복통 | vs. | 급성 복통 |
지속적 혹은 간헐적인 복통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
| 수일에서 6개월 이내로 지속된 복통 |
| 수일 이내 시작된 통증 |
위와 같은 구분은 인위적이기는 하지만 복통의 감별진단을 용이하게 합니다.
- 만성 복통은 주로 내장통(visceral pain)으로 발현
만성 복통의 원인
- 기능성 위장관 질환(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FGIDs)(m/c): 과민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 FD)
기질적 질환과 기능성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성 혹은 재발 복통의 감별진단
Structural (or Organic diseases)
| Inflammatory |
|
Vascular |
| |
Metabolic |
| |
Neuromuscular |
| |
Other |
| |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
|
만성 복통/소화불량: 진단적 접근
기질성 복통과 기능성 복통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질성 복통을 시사하는 "Red flag"에 주의해야 합니다.
병력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 재발성 경과를 보이며 체중감소가 없고, 야간에 통증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면 기능성 복통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경고증상(Red flag)
|
※ 진단기준(Rome IV, 2016)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 | 과민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 |
|
|
신체검사
(참조) "급성 복통"
기능성 복통에서도 응급실로 내원할 정도로 급작스런 강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진단 검사
기능성 복통이 의심되는 경우 반복적인 검사는 환자의 불안감을 증가시키고 의료 비용을 불필요하게 소모하게 되므로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검사실 검사
- 혈액검사: CBC, 생화학 검사
- 뇨 검사
- 임신반응 검사
병력 및 신체검사에서 의심되는 대사 질환 등에 대한 검사를 시행합니다.
영상 검사
- 추정되는 질환 및 장기에 따라 민감도와 특이도를 고려하여 시행
- 초음파, CT, MRI
내시경
- 기질성 복통의 진단 및 치료에 다양하게 활용 가능
- 확대 내시경, 내시경 초음파, 캡슐 내시경 등
기능성 복통의 진단을 위한 내시경 검사는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국내 실정에서는 내시경 검사를 통한 배제 진단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참고자료
[만성 복통/소화불량: 원인 및 감별진단]
- Pichetshote N, Pimentel M. An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Chronic Undiagnosed Abdominal Pain. Am J Gastroenterol 2019;114(5):726–32.
- Ryu HS, Choi SC. Clinical Approach to Abdominal Pain as Functional Origin. Korean J Gastroenterol Vol. 71 No. 2, 89-93
- Jung HK. Abdominal Pain. Korean J Gastroenterol 2011;58(5 Suppl):47-52
[만성 복통/소화불량: 진단적 접근]
- Pichetshote N, Pimentel M. An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Chronic Undiagnosed Abdominal Pain. Am J Gastroenterol 2019;114(5):726–32.
- Ryu HS, Choi SC. Clinical Approach to Abdominal Pain as Functional Origin. Korean J Gastroenterol Vol. 71 No. 2, 89-93
- Jung HK. Abdominal Pain. Korean J Gastroenterol 2011;58(5 Suppl):47-52
- Douglas A., Drossma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History, Pathophysiology, Clinical Features, and Rome IV. Gastroenterology 2016;150:1262–1279
- Max J Schmulson, Douglas A Drossman. What Is New in Rome IV.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7;23:151-163
- Han Seung Ryu, Suck Chei Choi. Understanding the Rome IV: Background to the Rome IV Revision. Korean J Med 2017;92:349-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