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역/구토: 원인 및 감별진단
정의
- 구역, 구토 및 이와 유사한 증상의 정의는 다음과 같음
- 구토(vomiting): 복벽 및 흉벽 근육의 수축에 의해 위내용물을 입으로 강하게 배출하는 것을 말함
- 구역(nausea): 구토가 곧 발생할 것 같은 불쾌한 감각을 의미하며 대개 인두 혹은 명치부위로 전해짐. 구역은 결국 구토로 이어질 수도 있고 아닐 수 있음
- 역류(regurgitation): 구토에 특징적인 복부 및 횡격막 근육의 작용없이 음식물이 입으로 다시 올라오는 것
- 식욕부진(anorexia): 먹고자 하는 욕구의 상실(식욕의 진정한 상실)
- 거식증(sitophobia): 먹은 후에 일어나는 복부불쾌감 때문에 먹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
- 조기포만감(early satiety): 음식을 조금만 섭취해도 비정상적으로 포만감을 느끼는 것
- 구역질(retching): 복부근육의 수축과 함께 닫힌 성문을 향하여 위내용물이 분출없이 연축호흡운동이 일어나는 것, 헛구역질(dry heaves)이라고도 함
- 되새김(rumination): 한 번 삼킨 음식물을 식사 후 수 분내 또는 식사 도중 복압상승을 통해 다시 구강으로 되올려 다시 씹고 삼기는 것
원인 및 감별진단
소화기 원인 | 신경계 원인 |
|
|
감염성 원인 | 약물 |
|
|
대사/내분비 원인 | 기타 원인 |
|
|
구역/구토: 진단적 접근
|
- 구역/구토의 가능한 원인이 워낙 다양하므로 단계적인 접근이 필수적
- 대부분의 급성 구역/구토의 원인은 병력청취와 신체검사에 의해 밝혀낼 수 있음
- 진단적 검사는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원인질환에 따라 실시되어야 함
병력 및 신체검사
임상양상 |
| 가능한 진단 |
증상의 시작(Onset of symptoms) | 급격하게 발생(Abrupt) | 담낭염, 식중독, 위장염, 불법약물(illicit drugs) 복용, 약물, 췌장염 |
서서히 발생(Insidious) | 위식도역류질환(GERD), 위마비(gastroparesis), 약물, 대사질환, 임신 | |
증상발현 타이밍(Time of symptoms)
| 식사 전 발생 | 알코올섭취, 두개내압상승, 임신, 요독증 |
식후 중이나 식사 후 발생 | 정신적 원인, 드문 원인: 소화성궤양, 유문협착(pyloric stenosis) | |
식사 1-4시간 후 발생 | 위출구폐쇄(Gastric outlet obstructions), 위마비(gastroparesis) | |
지속적인 발생 | 전환장애, 우울증 | |
불규칙적인 발생 | 주요 우울증 | |
구토 내용물의 특성(Nature of vomited matter)
|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 이완불능증(Achalasia), 게실(Zenker's diverticulum), 식도 협착 |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물 | 위출구폐쇄(Gastric outlet obstructions), 위마비(gastroparesis) | |
담즙이 섞인 구토 | 근위부 소장폐쇄 cf. 담즙이 섞이지 않은 구토: 병변 부위가 ampulla of Vater 상부 | |
토혈(hematemesis) | ulcer, malignancy, Mallory-Weiss tear | |
대변냄새 등의 독한냄새 | 누공, 장내용물의 세균분해를 동반한 폐쇄 | |
구토량이 많음(하루 1,500 mL 이상) | 정신적 원인보다는 기질적 원인 시사 | |
복통(Abdominal pain) | 우상복부 | 담도질환, 담낭염 |
명치부 | 췌장질환, 소화성궤양 | |
심한 통증 | 담도질환, 췌장질환, 복막자극, 소장폐쇄 | |
심한 통증 후 구토발생 | 소장폐쇄 | |
동반 증상 및 소견(Associated symptoms/Findings)
| 체중감소 | 암(유의한 체중감소는 또한 위출구폐쇄/소화성궤양에서 sitophobia 현상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가능) |
설사, 근육통, 으스스한 느낌, 두통, 환자와의 접촉력 | 바이러스 질환 | |
두통, 경부 강직, 현훈, 국소 신경학적 이상 | 중추신경계 질환(뇌염/뇌수막염, 두부손상, 두개내 종괴 및 두개내압상승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원인, 편두통) | |
조기 포만감, 식후 팽만감, 복부 불편감 | 위마비(gastroparesis) | |
반복적인 편두통 혹은 IBS증상 | 주기성구토증후군(cyclic vomiting syndrome) | |
식사 후 구토(담즙성), 다이어트 여성 | SMA (superior mesenteric artery) syndrome |
진단 검사
검사실 검사
주요 검사 | 유용한 상황/의심되는 질환 |
CBC |
|
전해질 검사 |
|
ESR |
|
췌장/간효소 검사 |
|
임신검사 |
|
단백질/알부민 |
|
특정 독성검사 |
|
TSH |
|
영상 검사 및 추가검사
검사 | 의심되는 질환 |
방사선 검사 | |
Abdomen S/E |
|
추가적인 검사 | |
EGD |
|
복부 초음파 |
|
상부위장조영술(바륨) |
|
고위관장법(Enteroclysis) |
|
CT(조영제) |
|
위배출섬광조영술(Gastric emptying scintigraphy) |
|
구역/구토의 접근 흐름도
구역/구토 접근의 3단계
- Step 1: 구역/구토로 인한 결과(consequence) 혹은 합병증(complications)을 파악하고 교정하라! (수분결핍, 저칼륨혈증, 대사성알칼리증)
- Step 2: 급성인지 만성인지를 고려하여 원인을 찾아라!
- Step 3
- 가능하다면 원인에 맞는 치료(Targeted therapy)를 시행하라! (예. 장폐쇄의 경우 수술시행)
- 원인에 맞는 치료가 가능하지 않다면 증상을 조절하는 치료를 하라!
참고자료
[구역/구토: 원인 및 감별진단]
- Quigley EM, Hasler WL, Parkman HP. AGA technical review on nausea and vomiting. Gastroenterology 2001;120(1):263–86.
- Goel R, Wilkinson M. Recommended assessment and treatment of nausea and vomiting. Prescriber 2013;24(3):23–7.
- Scorza K, Williams A, Phillips JD, Shaw J. Evaluation of nausea and vomiting. Am Fam Physician 2007;76(1):76–84.
[구역/구토: 진단적 접근]
- Quigley EM, Hasler WL, Parkman HP. AGA technical review on nausea and vomiting. Gastroenterology 2001;120(1):263–86.
- Goel R, Wilkinson M. Recommended assessment and treatment of nausea and vomiting. Prescriber 2013;24(3):23–7.
- Scorza K, Williams A, Phillips JD, Shaw J. Evaluation of nausea and vomiting. Am Fam Physician 2007;76(1):7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