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소판 증가증(Thrombocytosis): 원인 및 감별진단
원인
유전질환(Inherited)
- 유전성 가족질환(inherited familial disorder)은 매우 드묾
후천질환(acquired)
- 혈소판 증가증의 대부분은 후천적이고 이차성 혹은 일차성으로 발생
- 일차성 질환: clonal bone marrow (myeloproliferative) Disorder (→ 여기에 essential thrombocythemia가 포함)
- 이차성 질환: 반응성 질환(2차성 혈소판증가증)
혈소판 증가증의 분류
Clonal | Reactive | Spurious |
|
|
|
혈소판증가증의 분류: 분자학적 관점
반응성(이차성)혈소판 증가증[Reactive (secondary) thrombocytosis]
- 일반인구에서 혈소판 증가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반응성 혹은 이차성 혈소판 증가증임
- 내과 혹은 외과 환자 73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혈소판 수 ≥500,000/mm3)
- secondary thrombocytosis → 643 (88%)
- 가장 흔한 기저원인: tissue damage due to major surgery, infection, cancer, and chronic inflammation
- 280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혈소판수 ≥1,000,000/mm3): 231 (82%): reactive thrombocytosis; 11 (4%): thrombocytosis of uncertain cause; 38 (14%): myeloproliferative disorder
이차성(반응성) 혈소판 증가증의 원인
일시적인 상승 | 지속적인 상승 |
|
|
혈소판 증가증(Thrombocytosis): 본태(진성) 혈소판 증가증(Essential thrombocytosis, ET)
개요
본태혈소판증가증이란?
- 일차적으로 거대핵세포계가 증식하는 골수증식종양
- 말초혈액에서 지속적인 450 × 109/L 이상의 혈소판증가증과 함께 골수에서 크고 성숙한 거대핵세포의 증가 소견이 관찰됨
병태생리
- 거대핵세포 증식과 혈소판 생성은 일반적으로 트롬보포이에틴(TPO)과 이의 수용체인 Mpl과 연관되어 있음
- TPO는 거대핵세포 분화와 증식에 관여하는 중추적인 호르몬
- TPO이 없거나 부족하면 거대핵세포 증식과 혈소판 생성을 위한 세포질 발달이 저해됨
- 진성혈소판증가증: 혈소판과 거대핵세포에서의 TPO 수용체인 Mpl과 TPO의 결합이상 → TPO↑, 거대핵세포가 TPO 작용에 예민하게 반응 → 거대핵세포 증식, 혈소판 증가
혈소판이 높으면 왜 출혈이 잘 발생하나?
|
임상양상
- 진단 당시 약 50%는 무증상. 검진 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음
- 정맥혈전증보다는 동맥에 생기는 혈전증과 출혈이 주된 임상양상
혈관운동장애
혈전증
출혈
|
- 신체검사: 경한 비장비대
|
진단
- JAK2 V617F 돌연변이가 진단기준에 포함
- BCR-ABL1 음성 뿐만 아니라 PV와 PMF의 진단이 배제된 후에 진단할 수 있음
검사소견
말초혈액검사
골수생검
유전학적 검사
|
- 혈소판증가증은 초기 일차골수섬유증의 경우에도 동반될 수 있음
본태혈소판증가증 | 일차골수섬유증 |
|
|
진단기준
| WHO 진단기준(2008) | WHO 진단기준(2016년) |
Major |
|
|
Minor |
|
|
진단 |
|
|
치료
- 위험인자에 따라 위험군을 분류하고 그에 맞춰 치료방침을 달리함
예후 인자 및 위험군 분류
- 위험군 분류기준에 대해서는 가이드라인, 논문마다 약간씩 차이가 나지만 크게는 대동소이(연령: 60세 기준, 혈전증 병력 유무)
- 미국혈액학회(American College of Hematology, ACH)에서는 4가지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위험군별로 치료방침을 제시하고 있음
|
| 3개의 위험군(BCSH) | 2개의 위험군(ACH 등) |
고위험군 | 다음 중 1개 이상 존재
| 60세 이상이거나 혈전증 과거력 있는 환자
|
중등도 위험군 | 나이 40-60세. 고위험인자가 없음 |
|
저위험군 | 나이 <40세 그리고 고위험인자가 없음 | 60세 미만이고 혈전증 과거력 없는 환자① |
① 혈소판 수 <1,500 × 109/L 조건을 추가로 제시하는 논문도 있다.
치료방침
혈소판 증가증(Thrombocytosis): 진단적 접근
진단의 원칙
- 클론성(clonal) 혈소판증가증과 이차성(반응성) 혈소판증가증을 감별해내는 것이 키포인트
- 클론성(clonal) 혈소판증가증과 이차성(반응성) 혈소판증가증을 명확하게 감별할 수 있는 진단적 소견(diagnostic finding)은 현재로선 없음
- 임상소견 및 검사소견만으로 이 둘을 감별하기는 어려움
- 혈소판 수치 상승정도로는 이 둘을 명확하게 감별할 수 없음
- 이 둘 사이에는 원인, 병태생리, 임상양상이 기본적으로 다름
클론성(clonal) 및 이차성(반응성) 혈소판 증가증의 감별진단
소견 | 클론성 혈소판 증가증 | 이차성(반응성)혈소판 증가증 |
기저 질환 | 없음 | 임상적으로 명백한 경우가 흔함 |
뇌혈관 허혈 | 특징적으로 존재 | 존재하지 않음 |
대혈관(동맥/정맥) 혈전증 위험도 | 증가 | 증가하지 않음 |
출혈합병증 위험도 | 증가 | 증가하지 않음 |
비장비대증 | 존재(약 40%) | 없음 |
말초혈액펴바른표본 | 거대 혈소판 | 정상 |
혈소판 기능 | 비정상인 경우 존재 | 정상 |
진단기준
- 혈소판 증가증을 보일 수 있는 골수증식종양(myeloproliferative neoplasm)에 속하는 본태혈소판 증가증(Essential thrombocytosis, ET), 진성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 vera, PV), 일차골수섬유증(Primary myelofibrosis, PM)에는 각각 진단기준이 있음
진단기준(WHO 2016)
| Polycythemia vera | Primary myelofibrosis | Essential thrombocythemia |
Major |
|
|
|
Minor | Subnormal serum erythropoietin level
|
| Presence of a clonal marker or absence of evidence for reactive thrombocytosis |
진단 | Major criteria 3개를 다 충족시키거나, major criteria 첫 2개와 minor criteria를 충족시키는 경우 | Major criteria 3개와 minor criteria 1개 이상을 만족시키는 경우 | Major criteria 4개를 다 충족시키거나, major criteria 첫 3개와 minor criteria를 충족시키는 경우 |
지속적인 혈소판 증가증을 보이는 경우 진단흐름도
크게 가성 혈소판 증가증과 반응성 혈소판 증가증을 배제하는 과정과 clonal thrombocytosis에 대한 감별진단 과정(본태성 혈소판 증가증을 다른 골수증식질환 혹은 골수이형성질환과 감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일차진료에서 수행가능한 과정이지만 후자의 과정은 혈액 전문의(hematology)에 의뢰해야 할 듯 하다. |
참고자료
[혈소판 증가증(Thrombocytosis): 원인 및 감별진단]
- Vannucchi AM, Barbui T. Thrombocytosis and thrombosis. Hematology Am Soc Hematol Educ Program 2007;:363–70.
- Schafer AI. Thrombocytosis. N Engl J Med 2004;350(12):1211–9.
- Bleeker JS, Hogan WJ. Thrombocytosis: diagnostic evaluation, thrombotic risk stratification, and risk-based management strategies. Thrombosis 2011;2011:536062.
- Harrison CN, Bareford D, Butt N, et al. Guideline for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adults and children presenting with a thrombocytosis. Br J Haematol 2010;149(3):352–75.
- Tefferi A, Vardiman JW.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the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criteria and point-of-care diagnostic algorithms. Leukemia 2008;22:14-22.
- Barbui T, Thiele J, Gisslinger H, Finazzi G, Vannucchi AM, Tefferi A. The 2016 revision of WHO classification of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Clinical and molecular advances. Blood Rev 2016;30(6):453–9.
- Choi CW, Bang S-M, Jang S, et 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Korean J Intern Med 2015;30(6):771–88.
[혈소판 증가증(Thrombocytosis): 본태(진성) 혈소판 증가증(Essential thrombocytosis, ET)]
- Jang M-A, Choi CW. Advances in the Diagnosis of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6;90(4):281–7.
- Kim S-Y. Advances in Treatment for Polycythemia Vera and Essential Thrombocythemi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6;90(4):288–92.
- Swerdlow SH, Campo E, Harris NL, et al.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of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4th ed. Ly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08.
- Barbui T, Thiele J, Gisslinger H, Finazzi G, Vannucchi AM, Tefferi A. The 2016 revision of WHO classification of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Clinical and molecular advances. Blood Rev 2016;30(6):453–9.
- Tefferi A, Barbui T. Polycythemia vera and essential thrombocythemia: 2019 update on diagnosis, risk-stratification and management. Am J Hematol 2019;94(1):133–43.
[혈소판 증가증(Thrombocytosis): 진단적 접근]
- Vannucchi AM, Barbui T. Thrombocytosis and thrombosis. Hematology Am Soc Hematol Educ Program 2007;:363–70.
- Schafer AI. Thrombocytosis. N Engl J Med 2004;350(12):1211–9.
- Bleeker JS, Hogan WJ. Thrombocytosis: diagnostic evaluation, thrombotic risk stratification, and risk-based management strategies. Thrombosis 2011;2011:536062.
- Harrison CN, Bareford D, Butt N, et al. Guideline for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adults and children presenting with a thrombocytosis. Br J Haematol 2010;149(3):352–75.
- Tefferi A, Vardiman JW.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the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criteria and point-of-care diagnostic algorithms. Leukemia 2008;22:14-22.
- Barbui T, Thiele J, Gisslinger H, Finazzi G, Vannucchi AM, Tefferi A. The 2016 revision of WHO classification of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Clinical and molecular advances. Blood Rev 2016;30(6):453–9.
- Choi CW, Bang S-M, Jang S, et 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Korean J Intern Med 2015;30(6):77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