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구 감별계수(WBC differential count)


목차

개요

백혈구 감별계산(WBC Differential Count) 이란?

  • 순환 백혈구는 여러 종류가 존재하는데, 이를 구분하는 것이 백혈구 감별계산
  • 분화과정과 크기 및 모양에 따라 호중구, 림프구, 단구, 호산구, 호염기구 등으로 분류

 

 

측정방법

자동법

vs.

수기법

  • 수기법 감별계산에 비해 훨씬 많은 세포들을 측정하는 방식 → 정상 혈액에서는 수기법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

 

  • 단구와 호염기구와 같은 특정한 세포를 평가하는 경우 자동혈액분석기보다 감별능력 우수
  • 정상 혈액에 나타나지 않는 세포가 출현한 경우 자동법의 경우 정확도나 민감도가 떨어짐 → 슬라이드를 만들어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하여 평가

① 비전형 림프구(atypical lymphocyte), 모구(blast), 골수구(myelocyte), 전골수구(promyelocyte), 유핵적혈구(nucleated red cell) 

 

  1. 현미경의 중배율(x 400)에서 관찰되는 백혈구 100개를 감별 계산
  2. 백혈구 수가 1,000/μL 이하일 때는 충분한 수를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50개만 관찰해서 백분율 보고. 이 경우 완충층(buffy coat) 도말을 만든다면 보다 많은 백혈구 관찰 가능
  3. 백혈수 감별계산에서 다음과 같은 세포형태의 비정상 소견은 따로 기록
    1. 호산구(eosinophil) >5%
    2. 호염구(basoplil) >1%
    3. 단구(monocyte) >10%
    4. 성인에서 림프구가 중성구보다 많은 경우
  4. 백혈구 감별계산에서 100개만 관찰한 백분율은 실제값과 달리 많은 오차 초래. 이론적으로 많은 수를 관찰하면 할수록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를 높일 수 있음
  5. 백혈구 감별계산으로 부터 여러 형태의 백혈구 실제값 계산 가능
    • 절대치(/μL) = 백혈구 아형(%) × 총백혈구수(/μL)
  6. 좌방이동(shift to the left)/우방이동(slift to the right)
    1. 좌방이동(shift to the left): 미성숙 과립구(immature granulocyte)가 증가하는 경우. 급만성백혈병이나 세균감염 의미
    2. 우방이동(slift to the right): 과분엽(hypersegmented) 중성구가 증가하는 경우
  7. 유핵적혈구(nucleated RBC)는 감별계산에 포함하지 않고, 100개 WBC당 NRBC로 표기

 

 

평가항목

  • 백혈구 감별계산(WBC Diff Count) 평가항목 및 참고치

Segmented neutrophils

47-77%

호중구 관련 전구세포에 해당. 뒤에서 알아보겠음

band neutrophils

0-3%

lymphocytes (lymp)

16-43%

lymphopenia, lymphocytosis에서 알아보았음

monocytes (mono)

0.5-10%

monocytosis에서 알아보았음

eosinophils (eos)

0.3-7%

eosinophilia에서 알아보았음

basophils (bas)

0.3-2%

basophilia에서 알아보았음

 

 

 

호중구 관련 감별계수: 호중구 관련 전구세포

  • Segmented neutrophils
  • band neutrophils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blast

promyelocyte

myelocyte

metamyelocyte

band neutrophil

segmented neutrophil


잠깐만!  말초혈액에 나타나면 이상이 있는 혈구세포

  1. 미성숙 호중구(골수모세포, 전골수구, 골수구, 후골수구), 형질세포 등: 원래 골수에만 있는 백혈구이므로, 말초혈액에 나타났다는 것은 이상 소견
  2. 적혈모세포, 거대핵세포
  3. 종양세포(백혈병세포, 림프종세포, 암세포 등), 비정형림프구


 

 

림프구 관련 감별계수: 비정형 림프구

비정형 림프구란?

  • 정상 림프구
  • 비정형 림프구
  • 반응성 림프구(CTL, NK세포)

이미지

이미지

정상 림프구

비정형 림프구

종양세포는 결코 아닙니다. 비정형 림프구를 보고. 환자에게 ‘백혈병이 의심된다’고 설명해서는 안되겠죠!

 

 

원인

  • 바이러스 감염: 특히 EBV나 CMV 감염에서 나타나는 빈도가 높음
  • 기타 원인: 중증 감염질환, 자가면역질환, 약물유발성

대부분은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입니다. 

비정형 림프구>10%를 보면, 전염단핵구증이나 CMV 감염을 의심하자!

 

 

감염 단핵구증(Infectious mononucleosis) 

비정형 림프구를 보이는 대표적인 질환이 전염단핵구증입니다.

 

개요

감염 단핵구증이란?

  • 잠복기가 30-50일인 급성 자율 질환(self limiting disease)
  • EB 바이러스의 초회 감염에 의한 림프구 증식 질환

잠깐만! 

감염 단핵구증 = 키스병(kissing disease)

EBV는 침 속에 존재하므로 키스나 음료수를 돌려마시는 경우 감염된다.


원인: Epstein-Barr virus (EBV)

Cf. EBV 관련 질환: 감염단핵구증, Burkitt 림프종, 비인두암(Nasopharyngeal cancer), 위 림프 상피종(Gastric lymphoepithelioma), 림프 증식 질환(Lymphoproliferative disorders) 등

 

임상양상

※ 감염 단핵구증의 triad: 발열, 림프절종대, 인두염

전신 림프절 비대

  • 림프절 비대 소견(90% 이상), 주로 경부 림프절

비장 비대 

  • 비장 비대(50-60%), 드물게는 비장이 파열되어 출혈, 쇼크 및 사망까지 이어짐

인두염

  • 발병 첫 주에 발생. 회백색의 막과 인두부 부종 및 편도 비대 동반
  • 첫 주에 입 천장에 점상 출혈 발현 가능

이미지

피부 발진

  • 3-15%에서 발생. 연한 유사 홍역 발진이 24-48시간 지속되다가 소멸
  • 발진은 ampicillin을 투여받은 환자의 80%에서 발생

비정상 간기능

  • 간 비대(10-15%), 간세포 손상으로 인하여 대개 간 효소치의 상승은 80% 이상에서 발병 
  • 2-3주경에 나타나 발병 5주경에 정상화
  • 이 중 약 5-25%에서는 빌리루빈치도 상승

 

진단

비정형 림프구(Atypical lymphocyte)


이종 항체 반응(Heterophilic antibody)

  • 환자 혈청 내 양(羊) 또는 말(馬)의 RBC를 응집시키는 Ab(+)
  • 위양성률 낮음: 전형적인 증상들이 있는 환자에서 검사 양성 시 전염 단핵구증을 강력히 시사


EBV 바이러스 항원에 대한 특이 항체 검사 

  1. Viral capsid antigen (VCA) 에 대한 IgM 
    • 발병 후 가장 빨리 나타나고 최소 4주에서 간혹 3개월까지 비교적 짧은 기간 유지
    • 매우 의미 있는 진단적 가치, 혈청 내의 RF에 의하여 거짓 양성 가능
  2. Viral capsid antigen (VCA)에 대한 IgG: 발병 초에 나타나며, 항체가는 평생 지속됨
  3. Early antigen (EA)에 대한 IgG: 바이러스 증식과 연관, 감염 초기부터 나타나 6개월 내지 수년 후에 사라짐
  4. EBV nuclear antigen (EBNA)에 대한 IgG: 가장 늦게 나타나(증상 시작 후 3-4개월) 영구히 지속, 초회 감염과의 감별 및 발생 시기를 알 수 있음

 

치료

  • 특이 치료(-) (대부분 양성 임상 경과를 보임) → 기본은 대증치료!
  • 격렬한 운동은 피할 것: ∵ 비장파열 가능성
  • 합병증이 있는 경우
    1. 기도폐쇄, 혈소판 감소, 용혈 빈혈, 경련, 발열 지속
    2. 스테로이드 투여: prednisone 1 mg/kg/일 x 7일 투여 → tapering


참고자료

  • 홍창의 소아과학 12판(2020). p505-507
  • Wang Q, Bi S, Sun M, Wang Y, Wang D, Yang S. Deep learning approach to peripheral leukocyte recognition. PLOS ONE 2019;14:e0218808.
  • MacQueen BC, Christensen RD, Yoder BA, et al. Comparing automated vs manual leukocyte differential counts for quantifying the ‘left shift’ in the blood of neonates. J Perinatol 2016;36(10):843–8.
  • Haynes RAH, Zimmerman B, Millward L, et al. Early spatial and temporal events of human T-lymphotropic virus type 1 spread following blood-borne transmission in a rabbit model of infection. J Virol 2010;84(10):5124–30.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