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사 혈당강하제에는 Incretin에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 촉진, 글루카곤 분비 억제하는 GLP-1 Receptor agonist 합성 아밀린 유사체인 Pramlintide Insulin이 있습니다.
합성 아밀린 유사체는 베타세포 호르몬 아밀린 유도체로 식전에 피하 주사하며 위장관 운동 증가와 글루카곤의 생성 억제하고 식후 증가하는 혈당을 잡아주는데 엑세나타이드와 마찬가지로 위장장애와 체중감소의 효과가 있으나 저혈당 현상과 오심 구토가 빈번하고 현재는 매우 부가적으로만 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당뇨병: 약물요법-주사제
주사제 선택
참조 당뇨병: 치료: 약물치료 전략
GLP-1 수용체작용제
주요 특징
GLP-1 유사제(GLP-1 agonist)의 주요 특징: 요약
- 종류: exenatide, lixisenatide, liraglutide, dulaglutide, semaglutide
작용기전 | 효능(efficacy) | A1C 감소(단독) | 심혈관 효과(CV effects) | 신장 효과(renal effect) | ||
ASCVD | CHF | CKD 진행 | 고려사항 | |||
포도당 의존 인슐린 분비. 식후 글루카곤 분비 억제. 식사 후 인슐린 반응을 개 선하여 식후 고혈당 개선. 위 배출 속도를 지연. 먹는 음식의 양을 줄이는데 도움. 1일 1-2회 피하주사 | 높음 | 0.8-1.5 | 중립: lixisenatide, exenatide ER 혜택: liraglutide
| 중립 | 혜택: liraglutide | exenatide: eGFR <30에서 금기 lixisenatide: eGFR<30에서 주의 renal impairment에서 부작용 발생↑ |
부작용 | 저혈당(단독) | 체중증가 | 위장관 증상 | 뼈 부작용 | ketoacidosis | 주의점 |
구역, 구토 | 없음 | 감소 | moderate | 중립 | 중립 | 급성 췌장염, 중증 신장애, 중증 위장관 질환, 갑상선수질암이나 MEN2 가족력/과거력 |
종류에 따라 약물역동학적 특징에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우수한 혈당강하 효과와 함께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저혈당의 발생이 적다.
장점 | vs. | 단점 |
|
|
|
글루카곤양 펩티드-1 유사체(GLP-1 analogues)란?
- GLP-1 수용체 작용제는 DPP4 작용에 잘 분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는 GLP-1 유사체
- Gila monster의 침샘에서 만들어지는 39개의 아미노산
- GLP-1과 53%의 아미노산이 일치하고 GLP-1보다 GLP-1수용체에 더 강하게 결합
- DPP-4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신장으로 배설
- 반감기가 3.3~4시간이며, 하루 2회 투여로 효과적인 혈당 조절이 가능
잠깐만! 글루카곤양 펩티드-1 (glucagon-like peptide 1, GLP-1)
|
분류
구조에 따른 분류
- exendin-4 또는 GLP-1 구조 중 어느 것을 기반으로 하느냐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분류
- exendin-4를 기반으로 한 제제: exenatide, lixisenatide, exenatide once-weekly
- 사람의 GLP-1을 기반으로 합성된 제제: liraglutide, albiglutide, dulaglutide
작용시간에 따른 분류
단기작용 GLP-1 수용체 작용제와 장기작용 GLP-1 수용체 작용제로 구분 가능
단기작용 GLP-1 수용체 작용제 | vs. | 장기작용 GLP-1 수용체 작용제 |
|
|
|
exenatide, lixisenatide |
| liraglutide, exenatide once-weekly, albiglutide, dulaglutide |
Cf. 두 작용제 모두 위 배출 지연과 관계없이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체중 감소에 대한 효과는 유지된다.
|
| 단기작용 GLP-1 수용체 작용제 | 장기작용 GLP-1 수용체 작용제 |
종류 | exenatide, lixisenatide | liraglutide, exenatide once-weekly, albiglutide, dulaglutide | |
반감기 | 2-5시간 | 12시간~수일 | |
효과
| 공복혈당 | ↓ | ↓↓ |
식후혈당 | ↓↓ | ↓ | |
공복 인슐린 분비 | ↑ | ↑↑ | |
식후 인슐린 분비 | ↓ | ↑ | |
위배출속도 | ↓ | 영향 없음 | |
체중감소 | 1-5kg | 2-5kg | |
구역 발생 | 20-50% | 20-40% |
- GLP-1 유사제는 DPP-4 억제제와 달리 혈당강하 효과 이외에 포만감을 늘리고, 위장관 배출을 지연시켜서 식욕 섭취가 감소하고 체중이 줄어듦
GLP-1의 다양한 작용
효과
- GLP-1 RA : 심혈관에 대한 안전성 평가연구
- Lixisenatide : ELIXA study
- Liraglutide: LEADER study
- Semaglutide : SUSTAIN-6 study
- Exenatide : EXSCEL study
위의 4가지 연구를 메타분석 한 결과, GLP-1 수용체작용제는 약제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MACE,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을 감소시키는 경향은 보였으며 유의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심혈관질환을 이미 동반했거나 심혈관질환 발생의 위험도가 높은 당뇨병환자에게는 GLP-1 수용체작용제가 임상적으로 유익할 것으로 평가된다.
- 장기간 사용시 체중 감소 (Liraglutide, SCALE study) + 혈압 감소 (대사적 이익)
- 보통 저혈당을 일으키지 않음
부작용
- 주로 위장관 증상(메스꺼움, 구토, 설사)
- 10 ~ 50 %의 환자에서 일관되게 발생, 메스꺼움은 치료기간이나 용량 적정화에 따라 감소 가능성
금기 및 주의
금기 | 주의 |
갑상선수질암의 과거력 또는 가족력, MEN2 | 췌장염, 과민반응, 급성신장손상, 중증 간장애, 신장장애, 중증 위마비를 포함한 중증위장관질환(권장되지 않음) |
인슐린
인슐린 개발 역사
- 1922년
- Banting 등에 의해 개의 췌장으로부터 추출되어 Leonard Thompson이라는 소년에게 처음 투여
- 1923년
- 인슐린이 상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
- 1950년대
- Lente, NPH 등 중간형인슐린이 개발되면서부터 지속성을 지닌 기저인슐린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슐린 사용 가능
- 1990년대
- 초속효성인슐린이 개발되면서 식후 혈당강하와 야간저혈당 발생에 있어 개선효과를 보임
- 2000년대
- glargine, detemir 같은 지속형인슐린(long acting insulin)이 개발 → 야간저혈당 발생 감소와 함께 중간형인슐린에 비해 안정적인 혈당유지 효과 발휘
인슐린 투여의 적응증
- 1형당뇨
- 2형 당뇨에서 인슐린을 사용하는 경우①
- 최대 용량의 경구혈당강하제나 적절한 경구혈당강하제 병용투여에도 불구하고 3개월 이내에 혈당조절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면 인슐린 사용 고려
- 대사이상을 동반하고 고혈당이 심할 경우 진단 초기에도 인슐린 사용 가능
- 심근경색증, 뇌졸중, 급성질환 발병 시, 수술 시에는 인슐린사용 고려
- 임신을 준비 중인 환자나 임신한 경우 경구혈당강하제를 중단하고 인슐린 사용 고려
- 당화혈색소 8.5% 미만에서도 고혈당 증상의 개선 및 신속한 혈당감소를 위해 인슐린 투여 고려
- 체중감소가 심하거나 마른 경우
- 신장질환 혹은 간 질환이 있어 경구혈당강하제 사용이 불가능한 환자
- 입원해 있거나 급성기 질환이 있는 환자의 초기 치료
① 제2형 당뇨병을 지닌 상당수 환자에게서는 최종적으로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다. 일시적으로라도 포도당 독성(glucose toxicity)을 해결하기 위해서, 혹은 급성 질환 이환이 발생했을 경우 인슐린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금기가 되는 신질환이나 간질환을 지닌 환자, 또는 입원 환자 및 급성 질환자에서 초기치료로 고려되어야 한다.
인슐린 치료의 부작용
저혈당 (m/c)
- 원인: 인슐린 과다 투여, 당뇨병성 신병증으로 인한 인슐린 청소율 감소, 식사를 거르거나 운동 후
기타 부작용
- 인슐린 과민성, 부종, 체중증가
인슐린의 종류
인슐린 종류와 작용시간
인슐린 종류(제품명) | 작용시작시간 | 최고작용시간 | 작용지속시간 |
식사인슐린 | |||
초단기작용인슐린 | |||
인슐린 리스프로(LyumjevⓇ) | 2분 | 1-2시간 | ~4.6시간 |
인슐린 아스파트(FiaspⓇ) | 4분 | 1-3시간 | 3-5시간 |
인슐린 아스파트(NovoRapidⓇ) | 10-15분(3x1) | 1-3시간 | 3-5시간 |
인슐린 리스프로(HumalogⓇ) |
| 1-2시간 | 3-5시간 |
인슐린 글루리진(ApidraⓇ) |
| 1-2시간 | 2-4시간 |
단기작용인슐린 | |||
레귤러인슐린(Humulin RⓇ) | 30분 | 2-3시간 | 6.5시간 |
기저인슐린 | |||
중기작용인슐린 | |||
NPH인슐린(Humulin NⓇ) | 1-3시간 | 5-8시간 | 18시간 까지 |
장기작용인슐린(1x4) |
|
|
|
인슐린 디터머(LevemirⓇ) | 3-4시간 | 6-8시간 | 24시간 까지 |
인슐린 글라진(LantusⓇ) | 1.5시간 | 없음(1x3) | 24시간 까지 |
인슐린 데글루덱(TresivaⓇ) | 2분 |
| 42시간 이상 |
인슐린 글라-300(ToujeoⓇ) | 4분 |
| 24-36시간 |
Prandial insulin
분류 | 이름 | 상품명 | 용량 | 용법 |
Rapid-acting
| Aspart | 노보래피드 플렉스펜 주100 IU/mL (NovoRapid FlexPen Inj 100 IU/mL) | 300 IU/3 mL | 식사 직전 (15분 이내) 혹은 식사 직후 곧바로 |
노보래피드 주 100 IU/mL (NovoRapid Inj 100 IU/mL) | 1000 IU/10 mL | 식사 직전 (15분 이내) 혹은 식사 직후 곧바로 지속적 피하 인슐린 주입 펌프 또는 정맥 주사 가능 | ||
Glulisine | 애피드라 주 솔로스타 (Apidra Inj Solostar) | 300 IU/3 mL | 식사 직전 (15분 이내) 혹은 식사 직후 곧바로 | |
애피드라 주 바이알(Apidra Inj vial) | 1000 IU/10 mL | 식사 직전 (15분 이내) 혹은 식사 직후 곧바로 정맥 투여 가능 | ||
Lispro | 휴마로그 퀵 펜주 100 IU/mL (Humalog Kwik Pen Inj 100 IU/mL) | 300 IU/3 mL | 식사 직전 (15분 이내) 혹은 식사 직후 곧바로 | |
휴마로그 카트리지 주 100 IU/mL (Humalog Cartridge inj 100 IU/mL) | 300 IU/3 mL | |||
휴마로그 주 100 IU/mL (Humalog Inj 100 IU/mL) | 1000 IU/10 mL | 식사 직전 (15분 이내) 혹은 식사 직후 곧바로 지속적 피하 인슐린 주입 펌프 또는 정맥 주사 가능 | ||
Short-acting | Human regular | 휴물린 알 주 100 IU/mL (Humulin R Inj 100 IU/mL) | 1000 IU/10 mL | 식전 30분 이내에 피하, 근육내, 정맥내 주사 또는 지속 정맥내 주사 |
Basal insulin
분류 | 이름 | 상품명 | 용량 | 용법 |
Intermediate-acting | Human NPH | 휴물린 엔 퀵 펜주 100 IU/mL (Humulin N Kiwk Pen Inj 100 IU/mL) | 300 IU/3 mL | 식전 30분 이내에 피하주사 |
휴물린 엔 주 100 IU/mL (Humulin N Inj 100 IU/mL) | 1000 IU/10 mL | |||
Long-acting
| Glargine | 란투스 주 솔로스타 (Lantus Inj Solostar) | 300 IU/3 mL | 1일 1회 하루 중 어느 때라도 투여 가능 |
란투스 주 바이알 (Lantus Inj Vial) | 1000 IU/10 mL | |||
투제오 주 솔로스타 (Toujeo Inj Solostar) | 450 IU/1.5 mL | |||
Detemir | 레버미어 플렉스펜 주100 IU/mL (Levemir FlexPen Inj 100 IU/mL) | 300 IU/3 mL | 1일 1-2회 하루 중 어느 때라도 투여 가능 | |
Degludec | 트레시바 플렉스터치 주 100 IU/mL (Tresiba FlexTouch Inj 100 IU/mL) | 300 IU/3 mL | 1일 1회 하루 중 어느 때라도 투여 가능 |
Premixed insulin
분류 | 이름 | 상품명 | 용량 | 용법 |
Intermediate-acting
| Aspart 70/30 | 노보믹스 30 플렉스펜 주 100 IU/mL (Novomix 30 FlexPen Inj 100 IU/mL) | 300 IU/3 mL | 1일 1-3회 식사 직전 혹은 식사 직후 |
노보믹스 50 플렉스펜 주 100 IU/mL (Novomix 50 FlexPen Inj 100 IU/mL) | 300 IU/3 mL | |||
Degludec / Aspart 70/30 | 리조덱 플렉스터치 주 100 IU/mL (Ryzodec FlexTouch Inj 100 IU/mL) | 300 IU/3 mL | 1일 1-2회 주된 식사와 함께 | |
Lispro 75/25 | 휴마로그믹스 25 퀵펜 주 100 IU/mL (Humalog mix 25 Quick pen Inj 100 IU/mL) | 300 IU/3 mL | 1일 1-3회 식사 직전 혹은 식사 직후
| |
| 휴마로그믹스 25 카트리지 주 100 IU/mL (Humalog mix 25 Cartridge Inj 100 IU/mL) | 300 IU/3 mL | ||
Lispro 50/50 | 휴마로그믹스 50 퀵펜 주 100 IU/mL (Humalog mix 50 Quick pen Inj 100 IU/mL) | 300 IU/3 mL | ||
| 휴마로그믹스 50 카트리지 주 100 IU/mL (Humalog mix 50 Cartridge Inj 100 IU/mL) | 300 IU/3 mL | ||
NPH / Regular 70/30 | 휴물린 70/30 퀵펜 주 100 IU/mL (Humulin 70/30 Kwik Pen Inj 100 IU/mL) | 300 IU/3 mL | 1일 1-2회 식전 30분 전 |
참고자료
[GLP-1 수용체작용제]
- Min SH, Cho YM. Clinical Application of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J Korean Diabetes 2015;16:252-259
- Kim DM. New anti-diabetic agents. J Korean Med Assoc 2017 December; 60(12):992-997
- Eom YS, Kim B-J. Glucagon-Like Peptide-1 (GLP-1) Agonist.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4;87(1):9–13.
- Kim HJ.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 Position Statement of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J Korean Diabetes 2018;19:35-40
- 대한당뇨병학회. 2015 제 2 형 당뇨병 진료지침.
-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진료지침 제6판. 2019
-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위원회. 제2형 당뇨병 약제치료 지침. 2017
- 대한당뇨병학회. 2021 당뇨병 진료지침 제 7판
[인슐린]
-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진료지침(2015); 3. 당뇨병의 관리. P50-54
- 대한의학회/질병관리본부. 일차 의료용 당뇨병 권고활용 매뉴얼. 2015년
- Lim TS, Ko SH. Clinical Use of New Insulins and New Insulin Delivery Systems. J Korean Diabetes 2015;16:242-251
-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진료지침 제6판. 2019
-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위원회. 제2형 당뇨병 약제치료 지침. 2017
- 대한당뇨병학회. 2021 당뇨병 진료지침 제 7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