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분만실에서의 관리
호흡 확보
- 처음 호흡 시작 전 즉시 Suction: 구강 → 비강
출생 직후 머리를 약간 낮춘 자세로 눕힘 | ||
▼ |
| ▼ |
점액, 혈액, 양수 조직 파편 등이 구강, 후두, 코로부터 중력에 의해 흘러나오도록 함 | ± | 질식을 막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망울주입기(bulb syringe)나 부드러운 고무 카테터(rubber catheter)로 코인두강으로부터 분비물을 부드럽게 흡인 |
- 머리를 약간 낮춘 자세로 뉘어 놓아 점액, 혈액, 양수조직 파편 등이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게 함(뇌출혈, 호흡곤란이 심한 경우는 금기)
- 발뒤꿈치를 가볍게 치거나 비강 Catheter를 넣어 가볍게 자극하면 심호흡 하면서 울기 시작
- 구개나 후두를 거즈로 닦아내지 말 것(목 속에 상처나 아구창이 생기게 할 수 있기 때문) (cf. 거즈는 이가 났을 때 치아만 닦는 데 사용)
-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이의 위에는 더 많은 양수가 있으므로 "gastric tube"를 꽂아 비워줄 것
- Asphyxia(가사)로 생각되면 즉시 소생술 시행할 것
보온
신생아 체온 |
| 출생 직후 추위 노출된 경우
|
▼ | ||
조치 |
|
|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 발견
- 피부 색깔(신생아의 심폐기능을 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표) → 청색증, 창백한 정도 등으로 심폐기능 확인, 황달의 심한 정도 확인
- 머리와 등을 시진, 촉진: 중추신경계 질환 확인 - Anencephaly(무뇌증), Encephalocele(뇌류), Myelocele(척수류), Myelomeningoceles(척수 수막류)
- 카테터 삽입: Choanal atresia(후비공 폐쇄), Esophageal atresia(식도 폐쇄), Tracheoesophageal fistula(기관식도루), Imperforate anus(항문막힘증) 확인
- Diaphragmatic hernia(선천 횡격막 탈장), Gastroschisis(선천 배벽 갈림증), Omphalocele(배꼽탈출): 응급수술을 요하는 질환 → 조기 진단을 위해서 세심한 관찰 필요
Apgar score
- 출생 직후에 신생아를 계통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
- 생후 1분과 5분에 평가
- Apgar 점수를 활용하여 소생술의 필요 유무를 판단하거나 소생술의 단계를 정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음
- 낮은 Apgar 점수가 반드시 태아 저산소증-산혈증을 의미하지는 않음
- 다른 요인들이 Apgar 점수를 낮출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함
- 20분 Apgar score가 0-3점이면 높은 사망률과 이환율이 예견됨
- Apgar 점수로 신생아 사망이나 뇌성 마비를 예견할 수는 없음
| 0 | 1 | 2 |
심박수(m/i) | 없음 | <100 | ≥100 |
호흡 | 없음 | 느리거나 불규칙 | 양호, 잘 움 |
피부 색깔 | 청색 또는 백색 | 동체는 홍색 손발은 청색 | 전신이 분홍색 |
근력 | 늘어져 있음 | 사지가 약간 굴곡되어 있음 | 활발히 움직임 |
자극에 대한 반응(카테터를 코 속에 집어 넣어봄) | 반응 없음 | 얼굴을 찡그림 | 기침, 재채기 |
신생아실 관리
신생아실 환경
- 온도: 22-26℃ (72-78℉)
- 습도: 50-60%
- 밝기: 60 foot candle
- 조용한 분위기: 80 dB 이하
- 감염방지: Aseptic technique(무균법)
신체 계측
- 활력 징후(V/S), 체온(겨드랑이), 체중(출생 직후에 재고, 그 후에는 매일 체크), 키, 두위, 흉위, 복위 등
눈 관리
- 임균 감염 예방: 1% silver nitrate
- Chlamydia 결막염 예방: 0.5% erythromycin, 1% tetracycline 점안
→ 생리적 식염수로 닦을 경우에는 염산은염의 침착이 생기므로 씻어내서는 안 됨
탯줄 관리
- 배꼽동맥이 1개인 경우: 선천 기형(특히 비뇨기계) 또는 염색체 이상(18 trisomy)의 빈도가 높음(배꼽 혈관은 큰 정맥 1개와 작은 동맥 2개)
- 배꼽염(omphalitis)이 심하지 않은 탯줄 관리: 소독제 사용 없이 공기 중에 노출, 오염되면 비누와 물로 씻어 주는 dry cord care(마른 배꼽 관리) 시행
피부 관리
신생아 | 의료인 & 방문객 |
|
|
비타민
- 신생아는 간에서 응고 인자들의 생성이 미숙함 → 신생아 출혈질환 방지위해 비타민 K1 (phytonadione) 1 mg 근육주사
신생아 선별검사
- 여러 유전, 대사, 혈액질환, 내분비 질환에 대한 신생아 선별 검사 시행
발뒤꿈치 혈액 채혈 |
▼ |
|
참고자료
- 홍창의 소아과학 12판(2020), 11장, P264-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