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생아 진찰
전신 모습
피부(skin)
두경부
호흡기/가슴
심장
복부/소화기
비뇨생식기
사지/근골격
신경계
모로(Moro) 반사
비대칭 긴장목 반사(A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파악 반사(Grasp reflex)
심부건반사(Deep tendon reflex)
바빈스키(Babinski) 반사
흡철 반사(Rooting reflex, Sucking reflex)
견인 반응(Traction reaction)
위치 반사(Placing reflex)
보행 반사(Stepping reflex)
양성 지지 반사(Positive support)
교차폄 반사(Crossed extension)
낙하산 반사((Parachute reflex)
신생아 진찰
초진 |
|
▼ | |
2번째 진찰 |
|
▼ | |
마지막 진찰 |
|
전신 모습
- 신체 움직임
- 능동적/수동적 근육 긴장도, 이상 자세 여부
- 발목 또는 턱의 간대 근경련(myoclonus): 다른 연령대보다 신생아기에 흔하게 발생. 별 의미 없는 소견. 아기가 활발히 움직일 때 더 잘 나타나는 경향(cf. 경련 연축(convulsive twitching)은 조용히 있을 때 잘 나타남)
- 부종
- 전신 부종: 조산아, 중증 태아 적혈모구증(erythroblastosis fetalis), 비면역 태아수종(nonimmune hydrops fetalis)에 의한 저단백혈증, 선천 신증, Hurler 증후군 등
- 국소 부종: 림프계 선천 기형
피부(skin)
뒤에 따로 설명
두경부
두개골 |
|
얼굴 |
|
눈 |
|
귀 |
|
코 |
|
입 |
엡스타인 진주나 정체낭은 모두 생후 수주 내에 저절로 없어집니다.
|
목 |
|
호흡기/가슴
- 신생아의 호흡 수는 변화가 빠르기 때문에 안정 시 1분 동안의 전체 호흡수 측정
정상 만삭아 | vs. | 조산아 |
|
|
- 호흡음: bronchovesicular(기관지폐포음)
- 호흡 양상
- Paradoxical movement(역행운동): 거의 전적으로 횡격막 호흡. 흡기 동안 가슴의 부드러운 앞쪽이 안으로 끌려들어가는 반면, 배는 튀어나오는 양상. 아기가 조용히 축 늘어져 있고, 피부 색깔이 좋다면 반드시 불충분한 환기 장애를 의미하지는 않음
- Labored breathing(힘들어하는 호흡): 호흡곤란 증후군, 폐렴, 기형, 폐의 기계적 장애 등의 중요한 증거
- 호기 동안 약하게 신음소리를 내거나 구슬픈 울음소리 또는 Grunting(그렁거리는 소리): 잠재적인 중증의 심폐질환 시사
- Alae nasi(콧망울) 벌렁거림, 늑간극/흉골 함몰: 폐병변의 흔한 징후
- 가슴 진찰
- 유방 비대가 흔하며, 젖이 나오기도 함
- 비대칭 홍반 경화나 압통이 있으면 유방농양 의심
- 가슴이 방패 모양이고 유두 사이가 떨어져 있으면 터너증후군 의심
심장
- 심장 위치: 우심증의 유무 진단
- 심잡음
- 일시적인 심잡음은 대개 동맥관의 닫힘 반영
- 선천 심질환에서는 처음에 안 들리던 심잡음이 후에 들리기도 함
- 맥박: 90회/분(수면 중)-180회/분(활동 중)
- 신생아실에 입원 및 퇴원 시 대동맥 죽착(coarctation of aorta)을 찾기 위하여 상지 및 하지 모두에서 촉진
- 혈압 측정: 청진기의 머리 부분이 충분히 작다면 청진법으로도 측정 가능
복부/소화기
- 생후 24시간까지 복부X-선 검사 상 정상적으로 직장에 공기 음영이 관찰되어야 하고, 태변이 배설되어야 함(→ 24시간 지나면 장폐색 의심해봐야 함), 비정상적인 복부 종괴는 초음파로 즉시 검사
- 암녹색의 끈적이는 태변(meconium)은 보통 생후 12시간 이내에 나옴
- 간: 늑골 밑 2 cm까지 정상적으로 만져질 수 있음(단, 비장은 15%의 신생아에서 만져지고, 신장은 깊숙이 촉진해야 알 수 있음)
- 어린아이가 울 때에는 복부 진찰을 하기 어려우므로 울음을 그치게 하고 진찰(젖을 물리거나 설탕물을 거즈에 묻혀서 빨리든지 하면서 진찰하는 것이 편리)
- 항문: 태변은 대부분 생후 12시간 내에 배출. 만삭아의 99%와 조산아의 95%는 생후 48시간 내에 태변 배출
비뇨생식기
- 생식기/유방: 정상적으로 태반을 통하여 받은 임신부 호르몬 영향을 받음
- 유방: 남아, 여아 모두에서 유방이 커지거나 분비물이 나옴
- 일시적 현상: 남아 - 수종, 발기현상, 여아 - 많은 양의 비화농성 질 분비물
- 초뇨: 출생 시 또는 출생 직후. 조산아 및 만삭아의 95%가 24시간 내에 첫 소변을 봄
사지/근골격
- 분만과 관련된 골절이나 신경 손상: 자연스럽게 움직이거나 자극을 주어 움직일 때의 사지를 관찰하는 것이 가장 유용한 방법
- 비정상 피문(dermatographic pattern): 다지증, 합지증, 원선(simian line) 등
- 고관절 검사: 발달 고관절 이형성증(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신경계
모로(Moro) 반사
- 검사자 손으로 아기의 어깨를 받치고, 몸을 지탱하면서 갑자기 머리를 떨어뜨리면 아기는 등을 활짝 펼치고 팔을 쭉 펴며 외전하고 손바닥과 손가락을 활짝 편다. 동시에 팔을 포옹하려는 듯이 움직임
- symmetric하며 대개 3개월 소실, 5-6개월간 지속 가능
- 비대칭인 경우: 쇄골 골절, 상지 신경 손상(brachial plexus injury), 편마비 등 의심
- 반사 소실: 중추 신경계의 심각한 기능 장애(핵황달)나 패혈증 등 전신상태가 매우 불량함을 의미
비대칭 긴장목 반사(A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면 동측의 굴근의 긴장도가 사라져서 팔, 다리를 펴고 반대측의 사지는 굴곡함
- 생후 6-7개월까지 존재. 영아기 후기에도 지속 시 운동 장애 의심
- 머리를 한쪽으로 돌렸을 때의 자세에서 그대로 멈춰 반응이 없는 경우 비정상으로 중추신경계 이상을 의미
파악 반사(Grasp reflex)
- Palmar grasp(생후 2-3개월 소실): 검사자의 손가락으로 손바닥을 건드리면 꽉 잡고 놓지 않는 것
- Plantar grasp(생후 9개월 소실): 검사자의 손가락으로 아이의 엄지발가락 바로 아래 발바닥을 누르면 발가락과 발 앞쪽을 오므림
심부건반사(Deep tendon reflex)
- 존재하지만 곧 피로해짐
바빈스키(Babinski) 반사
- 발바닥의 가쪽에서 안쪽으로 긁을 때 발가락이 벌어지는 양상
- 생후 1-2년간은 정상적으로 나타남(ankle clonus는 10회까지 나타날 수 있음)
흡철 반사(Rooting reflex, Sucking reflex)
- 뺨이나 입술에 자극을 주면 그 쪽으로 고개를 돌려 빠는 반응(젖을 빠는 데 중요하며, 생후 3개월에 소실)
견인 반응(Traction reaction)
- 눕힌 자세에서 양손을 잡아 서서히 일으키면 처음에 머리가 뒤로 처지지만 → 상체를 바로 세워 주면 머리를 앞으로 수그렸다가 잠시 머리를 고정시킬 수 있음(경직 or 늘어져 있는지를 통해 뇌성마비, 근육병증 등 감별)
위치 반사(Placing reflex)
- 아기를 세운 자세로 쳐들고 아기 발등을 책상 모서리에 닿게 하면 다리를 구부려 발을 책상 위쪽으로 올려놓는 듯한 반응을 하는 것(생후 2개월 소실)
보행 반사(Stepping reflex)
- 아기를 바로 세워 발바닥을 닿게 하면, 체중을 약간 지탱하며 몇 걸음 걷는 양상을 보임(생후 2-4개월에 소실)
양성 지지 반사(Positive support)
- 아이의 겨드랑이를 붙잡아 세워 바닥에 발이 닿도록 하면 아이가 체중을 지탱하려고 다리를 펴는 반응을 보임(생후 1-2개월에 소실)
교차폄 반사(Crossed extension)
- 바로 누운 아이의 한쪽 다리를 펴서 붙잡아 고정시키고 발바닥에 아픈 자극을 주면 반대쪽 다리를 구부렸다 펴면서 내전하여 마치 아픈 자극을 제거하려는 것처럼 보이는 반응(생후 1-2개월에 소실)
낙하산 반사((Parachute reflex)
- 생후 9개월 이후에 나타나 평생 지속(가장 늦게 나타나는 반사)
※ 반사의 소실시기
반사 | 소실 시기 |
Stepping reflex Trunk incurvation reflex, Crossed extension reflex Rooting reflex, Sucking reflex, Moro reflex, Grasp reflex Placing reflex, Tonic neck reflex Landau reflex | 1개월 1-2개월 3개월 3-4개월 1-2년 |
- 가장 늦게 나타나는 반사: parachute reflex(→ 생후 9개월에 시작하여 평생 지속)
- 가장 늦게 소실되는 반사: Landau reflex(→ 생후 1~2년간 지속)
참고자료
- 홍창의 소아과학 12판(2020), 11장, P259-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