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 진단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란?
- 인후점막에 염증성 소견을 보이는 상기도 감염증
- 급성 편도선염과 급성 인후편도선염 포함
- 증상: 인후통을 특징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 삼킴곤란 유발 가능
원인(Etiology)
- 다양한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해 발생
- 바이러스
- 호흡기 바이러스가 급성 인두염의 가장 흔한 원인
- rhinovirus, adenovirus, influenza virus, parainfluenza virus, coxsackievirus, coronavirus, echoviru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metapneumovirus 등
= 주로 사춘기 젊은 연령의 성인에서 Ebstein Barr virus (EBV)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단핵구증(infectious mononucleosis)과 급성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 cytomegalovirus 감염 및 herpes simplex virus 감염의 감별 필요
- 세균
- group A Streptococcus (GAS) (S. pyogenes): 가장 흔한 세균 병원체
- 급성 인두편도염 성인 환자의 5-15% 차지
= S. pyogenes 감염에 의한 급성 인두편도염은 급성 화농 합병증(중이염, 편도주위농양 등)과 비화농 합병증(류마티스열, 급성 사구체신염)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권장됨 - C 또는 G군 베타용혈성연쇄구균(Group C or G beta-hemolytic Streptococci), C. pneumoniae, M. pneumoniae, Arcanobacterium haemolyticum, Corynebacterium diphtheriae, Fusobacterium necrophorum, Neisseria gonorrheae, Treponema pallidum, Francisella tularensis 등
- 바이러스
임상적 초점
- “급성 세균성 인두염을 가려내어 적절하게 항생제 치료를 하는 것”
- 항생제 치료의 목적
- 세균성 감염 후에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
- 이 중 후기합병증의 예방이 항생제 사용의 가장 큰 이유
- 성인에서는 이런 후기합병증의 발생빈도는 매우 낮음
- S. pyogenes에 의한 인두염이 의심되는 경우 성인에서도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진단
- 임상에서 S. pyogenes에 의한 세균성 인두염인지에 대한 감별진단이 중요
- 세균성 인두염은 다음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
- 류마티스열
- 급성 사구체신염
- 급성 화농성 합병증(편도농양 등)
- 항생제 치료를 통해 이와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고 전염력을 저하시킬 수 있음
급성 인두편도염의 원인균 감별은 병력 청취, 신체검사와 인두 도말 검체를 이용한 배양검사나 신속 항원 검사가 도움이 된다.
임상상에 의한 감별
S. pyogenes에 의한 경우와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의 임상상의 비교
S. pyogenes 감염을 시사하는 경우 | 바이러스감염을 시사하는 경우 |
▼ | ▼ |
|
|
- 임상상에 의해 실제 완벽히 구분하기는 어려움
- 환자가 내원하였을 때 임상소견으로 사슬알균성 인두염을 감별하고자 하는 여러시도 존재 ☞ 이 중 Centor criteria가 대표적
Centor criteria
① 편도삼출 ② 전경부 림프절염 ③ 발열 ④ 기침이 동반되지 않는 임상 소견 중
|
Modified Centor criteria
- 기존 Centor criteria에 연령 항목을 추가, 이후 600명의 성인과 소아를 대상으로 하여 입증됨
급성 인두편도염에서 항생제 사용의 흐름도
진단 검사
미국 질병관리본부(CDC)
|
신속항원검사/세균배양검사
미국 질병관리본부(CDC)
|
신속항원검사 | 배양검사 |
민감도 70-90%, 특이도 95% | 민감도 90-95% |
우리나라에서는 보험적용 안됨(→ 이것은 보험기준 확인 필요) | 확진을 위해서 중요하나 환자가 처음 내원하였을 때 바로 결과를 얻을 수 없어 초기 항생제 사용의 판단에 도움이 되지 않음 |
ASO (antistreptolysin O) 항체 수치 검사
- 급성 인두염의 일반 진단법으로 추천되지 않음 → 과거 감염을 의미하는 것이며, 현 상태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
- 후기합병증 의심 시 시행 필요
기타 검사실 검사
- 전체 백혈구수: 바이러스성에서도 백혈구 수의 증가가 동반될 수 있어 바이러스성과 세균성의 감별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음
- C-반응 단백, 호중성 과립구수, 프로칼시토닌(procalcitonin), 적혈구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세균성 급성 인두편도염 감별 진단에 유용성이 낮음
일반적으로 급성 인두편도염 의심 환자에서 혈액 검사를 권유하지는 않는다.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 치료
- 성인에서의 급성 인두염의 치료는 대부분 대증치료
- 성인에서 5-10% 정도 되는 급성 세균성 인두염을 감별해내어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 항생제 치료를 통해 급성 세균성 인두염에 의한 합병증[류마티스열, 급성 사구체신염, 급성 화농성 합병증(편도농양 등)] 예방 가능
항생제 치료
- 항생제 치료는 원인균을 인두에서 없애는 것이 목적이므로 감수성인 항생제를 적절한 기간동안 유지하는 것이 중요
IDSA 가이드라인(2012) A군 사슬알균 인두염이 있는 환자는 적절한 용량의 적절한 항균제를 사용하여 인두로부터 병원체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기간으로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일반적으로 10일) |
항생제를 왜 사용해야 하는가?
비화농성 합병증의 발생 감소
화농성 합병증의 발생 감소
균배양음전
증상감소
|
어떤 항생제를 선택할 것인가?
IDSA 가이드라인(2012)
- 좁은 항균 범위, 흔하지 않은 이상반응, 적절한 가격 등을 고려할 때 penicillin이나 amoxicillin이 이들 약제에 대한 알레르기가 없는 환자에 있어 선택약제
- penicillin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의 A군 사슬알균 인두염에 대한 치료는 1세대 cephalosporin(아나필락시스가 없는 경우) 10일, clindamycin 혹은 clarithromycin 10일, 혹은 azithromycin 5일 투여
급성 세균 인두염의 항생제 치료
| 약물 | 투여용량 | 투여기간 |
penicillin 알레르기가 없는 경우
| penicillin V | 성인: 250 mg tid-qid, 500 mg bid 소아: 250 mg bid-tid | 10일 |
penicillin G benzathine | <27 kg: 600,000 U; ≥27 kg: 1,200,000 U | 1회 주사 | |
amoxicillin | 50 mg/kg, qd(최대량= 1,000 mg); alternate: 25 mg/kg(최대량 = 500 mg) bid | 10일 | |
penicillin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 cephalexin | 성인: 500 mg bid 소아: 25-50mg/kg/d, #2 | 10일 |
cefadroxil | 성인: 1 g qd-bid 소아: 30 mg/kg/d, #2 | 10일 | |
clindamycin | 7 mg/kg, tid (max = 300 mg/dose) | 10일 | |
Azithromycin | 12 mg/kg, qd (max = 500 mg) | 5일 | |
Clarithromycin | 7.5 mg/kg, bid (max = 250 mg/dose) | 10일 |
- 다음과 같은 약물은 FDA 승인은 받았지만 GABHS 인두염의 1차치료로 추전되지 않음
- azithromycin, clarithromycin
- cefprozil (2세대 cephalosporin), cefpodoxime (3세대 cephalosporin), ceftibuten(3세대 cephalosporin), cefdinir (3세대 cephalosporin)
- penicillin이 선택약제이나 경구제가 국내에 없어 amoxicillin이 이를 대치하여 쓰일 수 있음
- 경구치료의 순응도가 좋지 않을 것 같은 환자에게는 benazathine penicillin G 120만 단위를 일회 근주하는 것이 바람직
국내 가이드라인(2017)
Streptococcus pyogenes 급성 인두편도염의 권고 항생제 용량 및 치료 기간
약제 | 경로 | 용량 | 투여기간 | ||
Penicillin 과민반응이 없는 환자
| Preferred | Amoxicillin | 경구 | 50 mg/kg를 1일 1회(최대 1,000 mg) 25 mg/kg를 1일 2회 | 10일 |
Alternative
| Amoxicillin/clavulanate | 경구 | 1회 500/125 mg 하루 3회 | 10일 | |
Ampicillin/sulbactam | 경구 | 1회 500/250 mg 하루 3회 | 10일 | ||
Benzathine penicillin G | 근육 주사 | 1,200,000 Unit | 1회 | ||
Penicillin 4형 알레르기(발진 등)
| Preferred; 1st-generation cephalosporins
| Cephalexin | 경구 | 1회 500 mg을 하루 2회 | 10일 |
Cefadroxil | 경구 | 1회 1,000 mg을 하루 1회 | 10일 | ||
Alternative
| Cefpodoxime | 경구 | 1회 100 mg을 하루 2회 | 5일 | |
Cefdinir | 경구 | 1회 300 mg을 하루 2회 | 5일 | ||
Penicillin 1형 알레르기(아나필락시스 등) | Clindamycin | 경구 | 1회 300 mg을 하루 3회 | 10일 | |
Azithromycin | 경구 | 1회 500 mg을 하루 1회 | 5일 | ||
Clarithromycin | 경구 | 1회 250 mg을 하루 2회 | 10일 |
참고자료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 진단]
- 김신우. 성인의 상기도 감염. 대한의사협회지 2010;53(1):10–9.
- 질병관리본부. 성인 급성 상기도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2017
- Bisno AL. Acute pharyngitis. N Engl J Med 2001;344:205-2110
- Esposito S. Blasi F, Bosis S, Droghetti R, Faelli N, et al. Aetiology of acute pharyngitis: the role of atypical bacteria. J Med Microbiol 2004;53:645-651.
- Chiappini E. Regoli M, Bonsignori F, Sollai S, Pareretti A, et al. Analysis of different recommendations from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pharyngitis in adults and children. Clin Therapeutics 2011;33:48-58.
- Centor RM, Witherspoon JM, Dalton HP, Brody CE, Link K. The diagnosis of strep throat in adults in the emergency room. Med Decis Making 1981;1(3):239–46.
- McIsaac WJ, White D, Tannenbaum D, Low DE. A clinical score to reduce unnecessary antibiotic use in patients with sore throat. CMAJ 1998;158(1):75–83.
- McIsaac WJ, Goel V, To T, Low DE. The validity of a sore throat score in family practice. CMAJ 2000;163(7):811–5.
- Ebell MH. Making decisions at the point of care: sore throat. Fam Pract Manag 2003;10(8):68–9.
- Shulman ST, Bisno AL, Clegg HW,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itis: 2012 update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 Infect Dis 2012;55(10):e86–102.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 치료]
- 김신우. 성인의 상기도 감염. 대한의사협회지 2010;53(1):10–9.
- 질병관리본부. 성인 급성 상기도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2017
- Chiappini E. Regoli M, Bonsignori F, Sollai S, Pareretti A, et al. Analysis of different recommendations from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pharyngitis in adults and children. Clin Therapeutics 2011;33:48-58.
- Shulman ST, Bisno AL, Clegg HW,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itis: 2012 update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 Infect Dis 2012;55(10):e86–102.
- Gerber MA, Baltimore RS, Eaton CB, et al. Prevention of rheumatic fever and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Streptococcal pharyngiti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Rheumatic Fever, Endocarditis, and Kawasaki Disease Committee of the Council on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Young, the Interdisciplinary Council on Functional Genomics and Translational Biology, and the Interdisciplinary Council on Quality of Care and Outcomes Research: endorsed by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irculation 2009;119(11):1541.
- Wessels MR. Clinical practice. Streptococcal pharyngitis. N Engl J Med 2011;364(7):648–55.
- Choby BA. Diagnosis and treatment of streptococcal pharyngitis. Am Fam Physician 2009;79(5):38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