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Leukotriene이란?
합성
류코트리엔 수용체 및 류코트리엔의 생물학적 활성
CysLTs 수용체: LTC4, LTD4, LTE4에 대한 수용체
BLT1, BLT2 수용체: LTB4의 수용체
류코트리엔 조절제(=류코트리엔 길항제)
류코트리엔 생성 억제제(5-lipoxygenase inhibitors)
Leukotriene 수용체 길항제
Leukotriene이란?
- leukotriene란 이름은 기원 세포(leukocytes)와 세 개의 이중 결합(triene) 구조에서 유래되었음
합성
- leukotriene은 cytosolic phospholipase A2 (cPLA2)에 의해 만들어진 arachidonic acid로부터 합성
- Leukotriene 경로의 두축(① LTB4 ② LTC4/LTD4)는 여러 가지 염증반응(예. 건선, 관절염)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
- 혈관성 질환에 중요한 매개체
- 죽상경화증, 비만, 천식 등에 중요한 인자
Cf. lipoxin이란?
|
류코트리엔 수용체 및 류코트리엔의 생물학적 활성
CysLTs 수용체: LTC4, LTD4, LTE4에 대한 수용체
- 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 1 (cysLTR1), 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 2 (cysLTR2)
CysLTR1 | CysLTR2 |
|
|
|
|
- cysLTR1, cysLTR 이외 다른 수용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여러 연구를 통해서 점차 높아지고 있음
BLT1, BLT2 수용체: LTB4의 수용체
- BLT1: 주된 수용체. 호중구/기타 백혈구의 동원 및 활성화
- BLT2: 낮은 친화도의 수용체. 역할 불분명
류코트리엔 조절제(=류코트리엔 길항제)
- leukotriene을 억제하는 약물은 크게 3가지 기전으로 분류 가능
- 임상적으로 사용가능한 약물 2가지: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 5-lipoxygenase inhibitors
분류 | 작용 기전 | 주요 약물 |
1. Leukotriene 생합성 억제제 | leukotriene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억제 | LTB4 생합성을 억제하는 LTA4 가수분해효소 억제제 개발 중 |
Lipooxygenase 억제제(5-lipoxygenase inhibitors)① | LOX를 억제하여 아라키돈산이 5-HPETE와 LTA4로 전환되는 것을 차단 | Zileuton |
2. 5-Lipoxygenase 활성단백질(FLAP) 억제제 | FLAP (5-lipooxygenase activating protein)의 역할을 방해하여 5-LOX 활성과 leukotriene 기능을 선택적으로 억제 | 임상적으로 사용가능한 약물은 없음 |
3. Leukotriene 수용체 길항제② | cyseinyl leukotriene 수용체인 CysLT1에 대한 길항제(주로 LTC4, LTD4) | Zafirlukast, montelukast, pranlukast |
① 1996년 미국에 도입되었고 현재 국내에는 유통되지 않는다.
② 1995년부터 임상에서 사용되기 시작
류코트리엔 생성 억제제(5-lipoxygenase inhibitors)
- zileuton: 임상에서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LOX 억제제.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유통되지 않고 있음
- 천식, 염증성 장질환, 류마티스관절염 등과 같이 leukotriene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에 사용 가능
Leukotriene 수용체 길항제
- Leukotriene 수용체 길항 → leukotriene에 의한 기관지 수축 및 그 외 효과를 억제
- Cysteinyl leukotriene 수용체(CysLT1) 길항제: montelukast, pranlukast, zafirlukast
참고자료
- Golan의 약리학: 약물요법의 병태생리학적 기초. 3판(2012). 42장
- Kim SH. Leukotrienes and Allergic Inflammation.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2;32:67-72
- Choi BS, Sohn MH, Kim KE. The role of leukotriene modifier in pediatric allergic disease.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255-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