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액작용제(거담제)(Mucoactive agents)


목차

점액작용제(거담제): Overview

거담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객담생성 기전

  • 객담: 주성분: 끈적끈적한 기관지 점액
  • 기관지 점액

생성장소

  • 기관지 점막의 점액선과 점막하선을 구성하는 점액선 세포와 장액선 세포

구성

  • 수분(95%), 당단백질/지질/무기질 등(나머지 5%)
  • 당단백질: 올리고당류 옆사슬로 길게 이어진 선형중합체 이중구조, 점액 당단백질망을 형성하는 겔 형태, 끈적이는 양상
  • 객담의 점도는 기관지 점액의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더 높아짐

기능: 보호작용

  • 세균으로부터의 보호: 세균을 포획하고 죽이며 세균의 성장과 균막의 형성을 억제
  • 이물질로부터의 보호: 기도 내로 흡인된 이물질과 여러 독성물질을 희석시키는 보호작용
  • 수분 손실로부터의 보호: 기도 내의 수분 손실로부터 기관지 점막을 보호

병적인 상태

  • 감염 및 염증에 반응하여 점액세포와 점막하선의 과다증식과 비대가 일어나서 기관지 점막의 점액 과분비가 일어남
  • 호중구 유도(neutrophil-derived) DNA, 실모양 액틴(filamentous actin), 세균, 세포 파괴물 같은 염증 물질들이 더하여져서 점액의 화농성을 더욱 조장함

 

병태생리

  • 객담분비량: 하루에 분비되는 객담의 양은 연구자에 따라 매우 다양. 비강을 포함한 전체 호흡기도에서 분비되는 양이 하루에 1 L 이상이라는 보고(+). 정상적인 객담 처리 능력 이내의 분비양은 객담 저류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중요하지 않음

이미지

 

거담제, 점액작용제란?

  • 기관지 점액 과다분비에 대하여 과다분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기관지 점액의 배출능력을 증가시켜 주는 치료약제
  • 동의어: 점액작용제(mucoactive agents) 
  •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작용과 관련된 약을 일컬음
  1. 가래 배출 능력을 증강시킴 ± 2. 점액 과분비를 감소시킴

☞ 점액작용제는 이러한 작용방식에 따라 분류

  • 작용기전이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점액작용제는 주된 작용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

가래 배출 능력을 증강시킴

점액 과분비를 감소시킴(점액분비의 biophysical properties를 변화시킴)

  • Expectorants
  • mucolytics
  • mucoregulators 
  • mucokinetics

 

 

거담제(점액작용제)의 기전

추정 작용기전

Mucoactive Agent

Putative Mechanism of Action

Expectorant

  • Increases volume and/or hydration of secretions.
    • May also induce cough (예. guaifenesin, hypertonic saline)

Mucolytic

  • Reduces viscosity of mucus
    • Non-peptide ("classical") mucolytics cleave disulphide bonds ("free" or "blocked" sulphydryl groups).
    • Low-molecular-weight saccharide mucolytics interfere with non-covalent interactions in mucus, and may osmotically pull water into airway lumen.
    • Peptide mucolytics degrade deoxyribonucleic acid (DNA) or actin

Mucokinetic

  • Increase "kinesis" of mucus and facilitates cough "transportability" of mucus
  • β2-adrenoceptor agonists increase airflow, ciliary beat, Cl-/water secretion, and mucin secretion (small effect).
  • Surfactant reduces mucus adherence to epithelium.

Mucoregulator

  • Reduces process of chronic mucus hypersecretion (예. glucocorticosteroids, anticholinergics, macrolide antibiotics)

 

점액작용제의 기도내 작용 타겟(Airway targets)

이미지

 

거담제(점액작용제)의 분류

  • 4가지로 분류
    1. 분비촉진제(expectorants)
    2. 점액조절제(mucoregulators)
    3. 점액용해제 또는 점액분해제(mucolytics)
    4. 점액활성제(mucokinetics)

다음과 같은 약물은 분류에 있어 논문마다 약간씩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

  • Ambroxol, bromhexine
  • Mucokinetics
  • Mucolytics
  • Erdosteine
  • Carbocysteine

그 외는 여러 논문에서 동일하게 분류하고 있음

 

거담제/점액작용제의 분류 1.

Mucoactive drugs

Potential mechanism of action

Expectorants

Hypertonic saline

  • Increases secretion volume and/or hydration

Guaifenesin

  • Stimulates secretion and reduces mucus viscosity

그 외 expectorants: bromhexine, guaiacol & derivativesn, Guaimesal, hypertonic saline

Mucolytics

1. Classical mucolytics

N-acetylcysteine (NAC)

  • Breaks disulphide bonds linking mucin polymers
  •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N-acystelyn (NAL)

  • Increases chloride secretion and breaks disulphide bonds

Erdosteine

  • Modulates mucus production and increases mucociliary transport

Fudosteine

 

2. Peptide mucolytics

Dornase alfa

  • Hydrolyses the DNA in mucus and reduces viscosity in the lungs

Gelsolin or thymosin β4

  • Severs actin filament cross-links

그 외 peptide mucolytics: Bromelain, alpha-chymotrypsin, recombinant human deoxyribonuclease I, fericase, ficin, gelsolin, helicidin

3. Non-destructive mucolytics

Dextran

  • Breaks hydrogen bonds and increases secretion hydration

Heparin or Low molecular 

  • Breaks both hydrogen and ionic bonds

Weight heparin

 

Mucoregulatory agents

Carbocysteine

  • Metabolism of mucus producing cell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modulates mucus production

Anticholinergic agents

  • Decreases secretion volume

Glucocorticoids

  • Reduces airway inflammation and mucin secretion

Indomethacin

  • Decrease airway inflammation

Macrolide antibiotics

  • Reduces airway inflammation and mucin secretion

Mucokinetics (cough clearance promoters)

 Bronchodilators 

  • Improves cough clearance by increasing expiratory flow

Surfactants 

  • Decreases sputum/mucus adhesiveness

Ambroxol 

  • Stimulates surfactant production and inhibits neuronal sodium channels

 다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음

 

점액작용제의 분류 2.

Expectorants/Mucokinetics

  • Ambroxol
  • Ambroxol-theophylline-7-acetate
  • Bromhexine
  • Guaiacol and derivatives
  • Guaifenesin
  • Guaimesal
  • Hypertonic solutions (saline)
  • Inorganic iodides
  • Organic iodides
  • Ipecacuanha
  • Sobrerol
  • Sodium citrate
  • Squill
  • Volatile inhalants and balsams
  • 2-Adrenoceptor agonists
  • Surfactant
  • YM-40461 (surfactant secretagogue)

Mucolytics

  • Cysteine
  • N-Acetylcysteine
  • Nacystelyn
  • Ethylcysteine
  • Nesosteine
  • Dithiothreitol
  • MESNA (2-mercaptoethanesulphonate sodium)
  • Thiopronine
  • Urea
  • Tasuldine
  • Carbocysteine
  • Carbocysteine-Lys
  • Erdosteine
  • Fudostein
  • Letosteine
  • Stepronin
  • Usherdex-4 (a low-molecular-weight form of dextran)

Peptide Mucolytics (Enzymes)

  • Bromelain
  • Chymotrypsin
  • Recombinant human deoxyribonoclease I (aka, dornase-alfa and rhDNase)
  • Fericase
  • Ficin
  • Gelsolin
  • Helicidin
  • Leucine amino peptidase
  • Neuraminidase
  • Onopronase
  • Papain
  • Serratopeptidase
  • Streptodornase
  • Streptokinase
  • Thymosin beta 4
  • Trypsin

① Metabolized endogenously to form compounds with free sulphydryl groups

 

 

 

점액작용제(거담제): 주요 점액작용제

분비촉진제, 객담 배출제, 거담제(Expectorants)

  • 기도 분비물의 수분을 증가시켜 객담의 배출 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 종류: 고장성 식염수, 요오드 포함 복합물, guaifenesin, 이온통로 조절제 등

 

고장성 식염수

Guaifenesin

이온통로 조절제

개요

  • 고장성 식염수를 연무요법으로 사용가능
  • 거담제의 대표적인 약제로 많은 감기약(일반약)에 포함되어 판매되고 있는 성분
  • 효과는 불분명, 일부 연구에서 효과가 있다고 발표 했으나(좋은 대조 시험 등 객관적 자료 부족), 실제 효과는 크지 않음
  • 분비촉진제(거담제) 중 유일하게 FDA 승인 → 효과가 다소 불분명하지만 부작용이 별로 없었고 가격이 저렴하다 등의 사유로 FDA 승인이 취소되지 않고 있음
  • 종류: ① 삼환계 뉴클레오티드: 삼인산 우리딘(uridine triphosphate), 삼인산 아데노신(adenosine triphosphate) ② 합성 선택적 P2Y2 수용체 작용제: Denufosol

기전 및 효과

  • 기관지 내 수분의 삼투성 이동과 분자 내 또는 분자 간 결합에 관여 → 객담 배출↑
  • 낭성섬유증: 고장성 식염수 흡입요법이 폐기능의 향상에 도움을 줌
  • 비낭성섬유증 기관지확장증: 만니톨 흡입요법이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음 
  • 최신 메타분석: 고장성 식염수 흡입요법은 단지 낭성섬유증 환자에서만 점액섬모 청소능을 향상시킴(DNase보다는 덜 효과적임)
  • 객담의 양을 늘리고 점도를 감소시켜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함
  • 객담의 표면장력 감소, 콜린성 경로 자극 → 기도 내의 점막하선에서의 점액 분비 촉진 → 객담 배출↑
  • 무작위 대조군 연구에서는 임상적인 효과 확인(-)
  • 일부 연구에서 감기 후 기침과 기관지확장증에 의한 기침을 감소시킨다고 보고 존재

 

  • 기관지의 P2Y2 퓨린성 수용체를 통한 이온의 이동 조절 → 세포 내 칼슘농도↑ → 칼슘의존성 염소통로를 통한 수분의 이동 촉진
  • 삼인산 우리딘 흡입요법: 점액섬모 청소능 향상
  • Denufosol: 초기 임상연구에서는 좋은 임상연구 결과, 최근의 장기간 임상연구에서는 그 효과를 입증하지 못함

비고

  • 고장성식염수 흡입요법은 진단 및 연구목적으로 시행하는 유도객담에 대해서는 매우 유용한 검사법

 

 

 

Cf. 요오드 포함 복합물

  • 종류: 요오드표지 글리세롤, domiodol(요오드표지 유기화합물)
  • 기도내 수분 분비↑ → 객담 배출↑
  • 갑상샘 기능에 대한 부작용 때문에 실제 임상에서의 사용은 제한적

 

 

점액조절제(Mucoregulators)

  • 점액조절제란? 점액의 분비를 직접 조절하거나 점액 구성성분 중 DNA-실모양액틴 그물망의 형성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는 약제
  • 종류: carbocysteine, 항콜린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macrolide계 항생제 

 

S-carboxymethylcysteine (carbocysteine)

항콜린제

Macrolide계 항생제

개요

  • 항염증효과와 항산화효과를 갖는 점액조절제
  • COPD의 치료에 흔히 사용됨
  • 종류: Atropine, ipratropium, scopolamine, glycopyrrolate, tiopropium
  • erythromycin, azithromycin, clarithromycin, roxithromycin 

기전 및 효과

  • 점액조절 작용
    1. 시알로뮤신(sialomucin)(점액의 중요 구성성분) 합성↑, sialyltransferase(점액의 점성 탄력성에 관여) 활성도 자극 → 시알로뮤신과 fucomucin 균형 유지
    2. 동물연구: 기도 상피세포의 염소 이동↑ → 점액조절작용
    3. 점액의 구조에는 직접적인 작용을 하지 않음(N-acetylcysteine과 같은 점액용해제와의 차이점)
  • 항염증효과: 반응성 산소기에 대한 청소효과, 항산화효과
  • COPD: 무작위 대조군 연구(급성악화 빈도↓, 삶의 질↑)
  • 콜린성 부교감신경 활성 [M3 무스카린 수용체(기도 내의 점막하 상피세포에 존재)에 의해 매개] → 기도 내의 점액분비 자극
  • 항콜린제: 콜린성 부교감신경 활성도 차단 → 기도 내 점액선에서의 분비↓
  • M1 무스카린 수용체는 단독으로는 점액 분비에 관여하지 않지만, M3 무스카린 수용체와 상호작용하여 점액분비 조절
  • 기전 불명확
  • 심한 기관지루, 미만성 범세기관지염, 부비동 기관지 증후군, 또는 이염 등의 질환에서 객담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
  • COPD: controversial, 안정성에 대한 우려

 

치료 용도

<효능/효과> (캡슐제)

  1. 다음 질환에서의 객담(가래)배출곤란: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기관지확장증, 인두염
  2. 만성비부비동염의 배농

<효능/효과> ipratropium: 에어로솔제

주효능 효과: 다음 질환의 기도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의 완화: 기관지천식,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부작용

  • 위장장애가 흔함

 

 

① 일부 논문에서는 mucolytics로 분류되기도 하고, 점액용해효과(객담의 sulfhydril기 분해 → 점액용해)를 언급한 곳도 있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거나 없는 것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Cf. 스테로이드

  •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는 점액 과다분비에는 제한적
  • 점액섬모 청소능에 영향을 미침
  • prednisolone: 안정적인 천식환자에서 폐청소능 개선

 

 

점액용해제 또는 점액분해제(Mucolytics)

  • 점액용해제란? 점액의 점성도를 감소시키는 약제

 

mucolytics의 분류 및 각각의 작용기전

Classic mucolytics

  • 점액단량체(mucin monomer)를 이어주는 이황결합(disulfide bond)을 가수분해 → 점액 당단백 소중합체(Mucin glycoprotein oligomer)를 중합해제(depolymerization)시킴 → 점액의 점도를 떨어뜨림
  • 전형적 점액용해제는 점액 당단백질을 분해시켜서 그 효과를 나타내며 thiol 복합체로 알려진 N-acetylcysteine, N-acetylin, bromhexin, erdosteine, fudosteine 등이 이에 속함

 

  • N-acetylcysteine (NAC)
  • S-carboxymethylcysteine (carbocysteine)
  • Erdosteine
  • Letocysteine
  • Fudosteine

펩타이드 점액용해제(Peptide Mucolytics)

  • 기전: 객담의 화농성을 나타내는 DNA-실모양액틴 그물망을 분해, 점액의 구조에서 DNA-실모양액틴 그물망을 분해시켜서 점도를 감소시킴
    (cf. 전형적 점액용해제: 점액 당단백질 그물망을 분해)
  1. DNA polymer: 괴사된 중성구로부터 배출되어 기도점액 내 다량포함 → DNA들 사이의 중합반응이 일어나면서 점액점성도가 증가(작용 약물: Dornase alfa)
  2. F-actin network(작용약물: gelsolin, thymosin β4)
  • Dornase alfa
  • Gelsolin/thymosin β4

 

 

비파괴성 점액용해제(Nondestructive mucolytics)

  • 점액은 여러 이온이 얽힌 네트워크이며 올리고당 측쇄의 전하(charge)로 인해 이 네트워크는 겔로서 잘 뭉쳐있게 됨
  • 기전: 전하시스템에 간섭하여 네트워크를 느슨하게 하는 약물, charge shielding이라는 기전을 통하여 다중이온 올리고당류 점액 그물망을 분해
    (Cf. 전형적 점액용해제/펩타이드 점액용해제: 화학결합을 분해하여 점액용해 작용 발휘)
  • Low molecular weight dextran
  • Heparin
  • Other sugars or glycoproteins

 

 

N-acetylcysteine (NAC)

Erdosteine

기전 및 효과

  • 점액을 용해시켜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만듦
  • 점액 monomer를 연결하는 이황화물 결합 가수분해, 점액 당단백질oligomer 분해, 다른 단백질들(알부민, secretory IgA)에 점액 당단백이 결합하는 disulfide가교(bridges) 분해 → 점액 점도↓
  • 흡입치료를 하는 경우 1분 이내에 효과가 나타나고 5-10분 사이에 최고 효과 발현
  • 흡입용: 만성 기관지염에서 분비물을 묽게 하지만 기류 개선이나 객담 생성량 등에서는 효과가 없고 기관지수축 유발 가능성(+)
  • 경구약제: 점액용해 작용 + 항산화효과에 의한 기도 염증 감소 → COPD 악화 횟수 감소
  • 경구용 NAC (600 mg): 흡입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거나 안정상태의 COPD 환자에서 임상적 효과(+)
  • 항산화 작용 보유
  • 경구 투여하면 흡수되면서 간에서 N-thiodiylglycolylhomocystein, N-acetylhomocystein과 Homocystein의 세가지 성분으로 대사되어 약효를 나타내므로 cysteine 제제와 유사한 효과 발현
  • 객관적인 효과 입증
  • amoxicillin 조직내 농도를 높임 → amoxicillin과 함께 사용할 때 소아 급성 하기도 질환자에서 효과적
  • cysteine 제제와 비슷한 점액용해 및 항산화 효과
  • COPD에서 효과를 입증한 연구 존재(악화빈도↓, 입원기간↓)

 

치료용도 

<효능/효과>

  1. 다음 질환에서의 객담배출곤란: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천식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세기관지염, 낭성섬유증
  2. 인·후두염, 부비강염, 삼출성 및 장액성중이염

<효능/효과> (캡슐제)(정제)(시럽제)

급ㆍ만성 호흡기질환에서의 점액용해 및 거담

부작용

  • 고장성액이므로 기도 자극 및 기관지 수축 유발 가능 → 급성천식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말 것
  • 다른 점액 용해제에 비해 위장장애가 적음
  • 간경변 환자나 시스타치오닌 합성효소 결핍 환자에서 투여를 금지하고 있음

용법

  • 흡입용
    • 20% 용액은 생리식염수나 증류수로 희석하여 10% 농도로 2-20 mL씩 2-6시간마다 분무 흡입시킴
    • 기관지내시경이나 기관삽관을 통하여 직접 약제 주입 시 10-20% 용액을 1-2 mL씩 주입 
    • 기관지확장제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음

 


Cf. Fudosteine

  • NAC보다 우수한 생체이용율을 갖는 cysteine-donating 복합물
  • 기전: 점액 유전자(MUC5AC)의 표현을 하향조절 → 점액 과다분비↓


Cf. Letocysteine

  • sulfhydril기를 끊는다는 경구 약제

 

Cf. Dornase alfa

  • 단백분해효소로써 선택적으로 DNA 중합체를 분해하는 약제
  •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한 백혈구에서 유리된 DNA를 분해하여 객담의 점도를 낮추는 흡입 분무 치료제
  • 낭성섬유증에서 점액 과다분비의 치료제로 개발
  • cystic fibrosis: 낭성섬유증 환자에서는 급성 기관지염의 급성악화의 횟수와 기간을 감소시킴
  • COPD: 효과 입증(-) → COPD환자에서의 사용은 추천되지 않음

 

 

점액활성제(Mucokinetics)

  • 기도 내의 섬모에 작용하여 점액섬모 청소능을 증가시키는 약제
  • 동의어: 기침 청소율 촉진제(cough clearance promoter)
  • 종류: 흡입 속효성베타작용제, 메틸잔틴, 표면활성제, ambroxol, acebrophylline 
  • 기전: 섬모의 진동빈도를 증가시켜서 그 효과를 나타내지만, 폐질환이 있는 환자들에서는 섬모의 기능이상 및 탈락으로 인하여 점액섬모 청소능 효과가 감소 
  • 표면활성제: 점액과 기도상피세포 사이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기침 청소율을 증진시켜 객담 배출을 도움 

 

 Ambroxol/Acebrophylline

 Bromhexine

개요

  •  표면활성제의 분비를 자극하여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약제
  • Ambroxol: bromhexine의 대사물
  • Acebrophylline: ambroxol에 acephylline 기를 붙인 ambroxol 유도체

 

기전 및 효과

  • ambroxol: 메타분석 - 점액 청소율, 항염증작용 및 항산화작용에 있어서 긍정적인 결과
  • 경구투여 시 객담으로의 투과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객담용해능이 떨어짐
  • 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환자에게 사용하는 경우 객담의 양을 줄일 수 있지만 기침을 호전시키지는 못함

치료 용도

<효능/효과> Ambroxol

(정제)(캡슐제)(시럽제)(흡입제)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다음의 급·만성 호흡기질환: 급·만성기관지염, 천식성기관지염

<효능/효과> Acebrophylline

(캡슐제)

기도폐쇄 장애 및 점액분비 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질환: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비부비동염, 건성비염

<효능/효과>

(정제)

다음 질환에서의 객담배출곤란: 급·만성기관지염

(주사제) 

  1. 경구 투여 곤란한 경우의 다음 질환에서의 객담배출곤란 : 폐결핵, 진폐증, 수술 후
  2. 기관지조영 후 조영제의 배출촉진

 

 

 

기타 점액작용제

Ivy leaf extract, hederae helix fluid ext

  1. Ivy(아이비)
    • 담쟁이의 일종, Araliaceae(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유럽 전역 습지에서 자생하는 흔한 식물 
    • 학명: Hedera helix(헤데라)
  2. Ivy Leaf(아이비잎, 아이비엽)
    • 생약명: Hederae helicis folium(헤데라헬리시스엽)
    • 천식의 Herbal Therapy 치료제
    • 아이비잎의 세부적 조성에 대한 과학적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 5-8%의 saponin 성분을 함유함
    • Ipecac(토근)에서 발견되는 알칼로이드와 유사한 것이 아이비잎 추출물에서도 나타남

 


<효능/효과>

만성 염증성 기관지 질환의 증상 개선, 기침을 동반한 호흡기의 급성 염증 완화


참고자료

[점액작용제(거담제): Overview]

  • 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 기침 진료지침. 2014
  • Kim SH. Antitussives, mucolytic agents and expectorants in clinical practice. Korean J Med 2010;78:682–6.
  • Sohn JW. Antitussive and mucoactive drugs. J Korean Med Assoc 2013; 56(11): 1025-1030
  • Balsamo R, Lanata L, Egan CG. Mucoactive drugs. Eur Respir Rev 2010;19(116):127-33.
  • Rubin BK. The pharmacologic approach to airway clearance: mucoactive agents. Respir Care 2002;47(7):818-22.
  • Rogers DF. Mucoactive agents for airway mucus hypersecretory diseases. Respir Care 2007;52(9):1176-93; discussion 93-7.
  • Ahn CM. Use of antitussive, mucolytic agents and expectorants. J Korean Med Assoc 2006;48(1):77-81.
  • Rubin BK. The pharmacologic approach to airway clearance: mucoactive agents. Paediatr Respir Rev 2006;7 Suppl 1:S215-9.

 

[점액작용제(거담제): 주요 점액작용제]

  • 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 기침 진료지침. 2014
  • Kim SH. Antitussives, mucolytic agents and expectorants in clinical practice. Korean J Med 2010;78:682–
  • Sohn JW. Antitussive and mucoactive drug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3;56(11):1025.6.
  • Balsamo R, Lanata L, Egan CG. Mucoactive drugs. Eur Respir Rev 2010;19(116):127-33.
  • Rubin BK. The pharmacologic approach to airway clearance: mucoactive agents. Respir Care 2002;47(7):818-22.
  • Rogers DF. Mucoactive agents for airway mucus hypersecretory diseases. Respir Care 2007;52(9):1176-93; discussion 93-7.
  • Ahn CM. Use of antitussive, mucolytic agents and expectorants. J Korean Med Assoc 2006;48(1):77-81.
  • Rubin BK. The pharmacologic approach to airway clearance: mucoactive agents. Paediatr Respir Rev 2006;7 Suppl 1:S215-9.
  • Kim SK, Chang J. Respiratory symptoms relievers-antitussives, mucolytics, antihistamines.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6;60(3):262-9.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