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액작용제(거담제): Overview
거담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객담생성 기전
- 객담: 주성분: 끈적끈적한 기관지 점액
- 기관지 점액
생성장소
구성
기능: 보호작용
병적인 상태
|
병태생리
- 객담분비량: 하루에 분비되는 객담의 양은 연구자에 따라 매우 다양. 비강을 포함한 전체 호흡기도에서 분비되는 양이 하루에 1 L 이상이라는 보고(+). 정상적인 객담 처리 능력 이내의 분비양은 객담 저류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중요하지 않음
거담제, 점액작용제란?
- 기관지 점액 과다분비에 대하여 과다분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기관지 점액의 배출능력을 증가시켜 주는 치료약제
- 동의어: 점액작용제(mucoactive agents)
-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작용과 관련된 약을 일컬음
☞ 점액작용제는 이러한 작용방식에 따라 분류 |
- 작용기전이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점액작용제는 주된 작용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
가래 배출 능력을 증강시킴 | 점액 과분비를 감소시킴(점액분비의 biophysical properties를 변화시킴) |
▼ | ▼ |
|
|
거담제(점액작용제)의 기전
추정 작용기전
Mucoactive Agent | Putative Mechanism of Action |
Expectorant |
|
Mucolytic |
|
Mucokinetic |
|
Mucoregulator |
|
점액작용제의 기도내 작용 타겟(Airway targets)
거담제(점액작용제)의 분류
- 4가지로 분류
- 분비촉진제(expectorants)
- 점액조절제(mucoregulators)
- 점액용해제 또는 점액분해제(mucolytics)
- 점액활성제(mucokinetics)
다음과 같은 약물은 분류에 있어 논문마다 약간씩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
그 외는 여러 논문에서 동일하게 분류하고 있음 |
거담제/점액작용제의 분류 1.
Mucoactive drugs | Potential mechanism of action |
Expectorants | |
Hypertonic saline |
|
Guaifenesin |
|
그 외 expectorants: bromhexine, guaiacol & derivativesn, Guaimesal, hypertonic saline | |
Mucolytics | |
1. Classical mucolytics | |
N-acetylcysteine (NAC) |
|
N-acystelyn (NAL) |
|
Erdosteine |
|
Fudosteine |
|
2. Peptide mucolytics | |
Dornase alfa |
|
Gelsolin or thymosin β4 |
|
그 외 peptide mucolytics: Bromelain, alpha-chymotrypsin, recombinant human deoxyribonuclease I, fericase, ficin, gelsolin, helicidin | |
3. Non-destructive mucolytics | |
Dextran |
|
Heparin or Low molecular |
|
Weight heparin |
|
Mucoregulatory agents | |
Carbocysteine |
|
Anticholinergic agents |
|
Glucocorticoids |
|
Indomethacin |
|
Macrolide antibiotics |
|
Mucokinetics (cough clearance promoters) | |
Bronchodilators |
|
Surfactants |
|
Ambroxol |
|
다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음
점액작용제의 분류 2.
Expectorants/Mucokinetics |
|
|
Mucolytics |
|
|
Peptide Mucolytics (Enzymes) |
|
|
① Metabolized endogenously to form compounds with free sulphydryl groups
점액작용제(거담제): 주요 점액작용제
분비촉진제, 객담 배출제, 거담제(Expectorants)
- 기도 분비물의 수분을 증가시켜 객담의 배출 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제
- 종류: 고장성 식염수, 요오드 포함 복합물, guaifenesin, 이온통로 조절제 등
| 고장성 식염수 | Guaifenesin | 이온통로 조절제 |
개요 |
|
|
|
기전 및 효과 |
|
|
|
비고 |
|
|
|
Cf. 요오드 포함 복합물
- 종류: 요오드표지 글리세롤, domiodol(요오드표지 유기화합물)
- 기도내 수분 분비↑ → 객담 배출↑
- 갑상샘 기능에 대한 부작용 때문에 실제 임상에서의 사용은 제한적
점액조절제(Mucoregulators)
- 점액조절제란? 점액의 분비를 직접 조절하거나 점액 구성성분 중 DNA-실모양액틴 그물망의 형성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는 약제
- 종류: carbocysteine, 항콜린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macrolide계 항생제
| S-carboxymethylcysteine (carbocysteine) | 항콜린제 | Macrolide계 항생제 | ||
개요 |
|
|
| ||
기전 및 효과 |
|
|
| ||
치료 용도 |
|
|
| ||
부작용 |
|
|
|
① 일부 논문에서는 mucolytics로 분류되기도 하고, 점액용해효과(객담의 sulfhydril기 분해 → 점액용해)를 언급한 곳도 있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거나 없는 것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Cf. 스테로이드
-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는 점액 과다분비에는 제한적
- 점액섬모 청소능에 영향을 미침
- prednisolone: 안정적인 천식환자에서 폐청소능 개선
점액용해제 또는 점액분해제(Mucolytics)
- 점액용해제란? 점액의 점성도를 감소시키는 약제
mucolytics의 분류 및 각각의 작용기전
Classic mucolytics |
|
|
펩타이드 점액용해제(Peptide Mucolytics) |
|
|
비파괴성 점액용해제(Nondestructive mucolytics) |
|
|
| N-acetylcysteine (NAC) | Erdosteine | ||
기전 및 효과 |
|
| ||
치료용도 |
|
| ||
부작용 |
|
| ||
용법 |
|
|
Cf. Fudosteine
- NAC보다 우수한 생체이용율을 갖는 cysteine-donating 복합물
- 기전: 점액 유전자(MUC5AC)의 표현을 하향조절 → 점액 과다분비↓
Cf. Letocysteine
- sulfhydril기를 끊는다는 경구 약제
Cf. Dornase alfa
- 단백분해효소로써 선택적으로 DNA 중합체를 분해하는 약제
-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한 백혈구에서 유리된 DNA를 분해하여 객담의 점도를 낮추는 흡입 분무 치료제
- 낭성섬유증에서 점액 과다분비의 치료제로 개발
- cystic fibrosis: 낭성섬유증 환자에서는 급성 기관지염의 급성악화의 횟수와 기간을 감소시킴
- COPD: 효과 입증(-) → COPD환자에서의 사용은 추천되지 않음
점액활성제(Mucokinetics)
- 기도 내의 섬모에 작용하여 점액섬모 청소능을 증가시키는 약제
- 동의어: 기침 청소율 촉진제(cough clearance promoter)
- 종류: 흡입 속효성베타작용제, 메틸잔틴, 표면활성제, ambroxol, acebrophylline
- 기전: 섬모의 진동빈도를 증가시켜서 그 효과를 나타내지만, 폐질환이 있는 환자들에서는 섬모의 기능이상 및 탈락으로 인하여 점액섬모 청소능 효과가 감소
- 표면활성제: 점액과 기도상피세포 사이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기침 청소율을 증진시켜 객담 배출을 도움
| Ambroxol/Acebrophylline | Bromhexine | ||
개요 |
|
| ||
기전 및 효과 |
|
| ||
치료 용도 |
|
|
기타 점액작용제
Ivy leaf extract, hederae helix fluid ext
- Ivy(아이비)
- 담쟁이의 일종, Araliaceae(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유럽 전역 습지에서 자생하는 흔한 식물
- 학명: Hedera helix(헤데라)
- Ivy Leaf(아이비잎, 아이비엽)
- 생약명: Hederae helicis folium(헤데라헬리시스엽)
- 천식의 Herbal Therapy 치료제
- 아이비잎의 세부적 조성에 대한 과학적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 5-8%의 saponin 성분을 함유함
- Ipecac(토근)에서 발견되는 알칼로이드와 유사한 것이 아이비잎 추출물에서도 나타남
<효능/효과> 만성 염증성 기관지 질환의 증상 개선, 기침을 동반한 호흡기의 급성 염증 완화 |
참고자료
[점액작용제(거담제): Overview]
- 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 기침 진료지침. 2014
- Kim SH. Antitussives, mucolytic agents and expectorants in clinical practice. Korean J Med 2010;78:682–6.
- Sohn JW. Antitussive and mucoactive drugs. J Korean Med Assoc 2013; 56(11): 1025-1030
- Balsamo R, Lanata L, Egan CG. Mucoactive drugs. Eur Respir Rev 2010;19(116):127-33.
- Rubin BK. The pharmacologic approach to airway clearance: mucoactive agents. Respir Care 2002;47(7):818-22.
- Rogers DF. Mucoactive agents for airway mucus hypersecretory diseases. Respir Care 2007;52(9):1176-93; discussion 93-7.
- Ahn CM. Use of antitussive, mucolytic agents and expectorants. J Korean Med Assoc 2006;48(1):77-81.
- Rubin BK. The pharmacologic approach to airway clearance: mucoactive agents. Paediatr Respir Rev 2006;7 Suppl 1:S215-9.
[점액작용제(거담제): 주요 점액작용제]
- 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 기침 진료지침. 2014
- Kim SH. Antitussives, mucolytic agents and expectorants in clinical practice. Korean J Med 2010;78:682–
- Sohn JW. Antitussive and mucoactive drug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3;56(11):1025.6.
- Balsamo R, Lanata L, Egan CG. Mucoactive drugs. Eur Respir Rev 2010;19(116):127-33.
- Rubin BK. The pharmacologic approach to airway clearance: mucoactive agents. Respir Care 2002;47(7):818-22.
- Rogers DF. Mucoactive agents for airway mucus hypersecretory diseases. Respir Care 2007;52(9):1176-93; discussion 93-7.
- Ahn CM. Use of antitussive, mucolytic agents and expectorants. J Korean Med Assoc 2006;48(1):77-81.
- Rubin BK. The pharmacologic approach to airway clearance: mucoactive agents. Paediatr Respir Rev 2006;7 Suppl 1:S215-9.
- Kim SK, Chang J. Respiratory symptoms relievers-antitussives, mucolytics, antihistamines.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6;60(3):2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