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칸디다증(Candidiasis)
병원체
임상양상
점막 감염
아구창
식도 칸디다증
식도 이외의 위장관 칸디다증
칸디다 외음질염(vulvovaginitis)
피부칸디다증
전신 피부 칸디다증
지간 미란증(erosio interdigitalis blastomycetica)
칸디다 모낭염(folliculitis)
칸디다 귀두포피염(balanitis)
파종 칸디다 감염의 피부침범
간찰진(intertrigo)
손톱 주위염(paronychia)/손발톱 진균증(onychomycosis)
기저귀 발진(diaper rash)
만성 점막피부 칸디다증
심부 장기 감염
중추신경계 감염
호흡기계 감염
심근염/심낭염
심내막염
요로 감염
관절염, 골수염, 늑연골염, 근염
복막, 간, 비장, 담낭
혈관염
안구염
파종 칸디다 감염 증후군, 칸디다 혈류 감염
진단: KOH 도말검사와 배양!
치료/예방
백선감염(Tinea infection)
칸디다증(Candidiasis)
- 칸디다는 진균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
- 다양한 임상양상: 점막 피부 칸디다증-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전신 감염증
병원체
- 칸디다는 25-37°C 에서 단순 배지 위에 4-6 μm의 얇은 벽을 가진 난원형의 세포(blastospores)로 존재하며 출아(budding)를 통해 성장
- 특수 배지와 조직에서는 균사(hyphae)나 가성균사(pseudohyphae)라 불리는 가늘고 긴 분지형(branching) 구조 형성
- 다양한 칸디다균종(150개 이상): 인체 감염을 주로 일으키는 균종은 소수에 불과
임상양상
점막 감염
아구창
- 구강과 인후 점막의 융합성 유착성 백색판, 특히 입안과 혀에 흔함
- 특히 HIV/AIDS 환자에게 흔한 감염 → 설명되지 않는 구강 아구창은 HIV 감염 시사
식도 칸디다증
- 가장 흔히 발생하는 식도 감염(esophageal infection)
- 칸디다(Candida)는 인후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 면역결핍상태에서는 병원성을 띄고, 식도염 유발 가능
- 삼킴곤란(dysphagia), 연하통(odynophagia)
- 합병증: 출혈, 천공, 협착(드물게 발생)
식도 이외의 위장관 칸디다증
- 위장관 칸디다증은 암질환을 가진 환자들에서 주로 발생: 식도 > 위
- 위: 단독, 또는 다발성 궤양, 만성 위궤양, 위궤양에 의한 천공 등
칸디다 외음질염(vulvovaginitis)
- 외음부 소양감 + 우유 찌꺼기 같은 질 분비물
- 정상 pH, budding yeast 또는 mycelia(균사체)관찰
- 대개 WBC 정상, whiff test 음성
- 배양: Sabouraud 배지(확진하기 위해 시행), Nickerson 배지
피부칸디다증
전신 피부 칸디다증
- 매우 드문 형태의 피부 칸디다증
- 체간, 흉부, 사지 전체, 특히 회음부, 항문, 겨드랑이, 손/발
지간 미란증(erosio interdigitalis blastomycetica)
- 손가락 또는 발가락 사이에 생긴 칸디다증
칸디다 모낭염(folliculitis)
- 광범위한 발병 가능: ① 면역저하환자, 정맥주사 상용자, 비만, ② 백선이나 어루러기(Tinea versicolor)에 의한 모낭염과의 감별이 반드시 필요
칸디다 귀두포피염(balanitis)
- 칸디다는 귀두포피염의 흔한 원인 중 하나
파종 칸디다 감염의 피부침범
- 4가지 발현 양상: ① 대결절성(macronodular) 병변 ② 괴저성 농포(ecthyma gangrenosum) ③ 전격성 자반(purpura fulminans) ④ 백혈구파괴 혈관염 (leukocytoclastic vasculitis)
간찰진(intertrigo)
- 피부가 서로 닿고 밀착하는 간찰부위에 생기는 병변
손톱 주위염(paronychia)/손발톱 진균증(onychomycosis)
- 칸디다 손톱주위염: 식기 세척, 세탁 등으로 인해 손을 물에 자주 접촉해야 하는 사람들과 당뇨병 환자들에서 호발
- 손발톱진균증: 손톱 자체까지 병변이 진행되는 경우
기저귀 발진(diaper rash)
- 유아의 장관 내 칸디다가 장기간의 기저귀 착용 결과로 엉덩이와 성기부에서 과잉 증식하여 발진과 가려움증, 피부 짓무름 유발
만성 점막피부 칸디다증
- 만성 점막피부 칸디다증(Chronic mucocutaneous candidiasis, CMC)
- 국한된 과각화성 피부 병변들, 부스러지는 조갑이영양증, 두피 병변 부위의 부분 탈모증과 구강 및 질 칸디다증을 함께 동반
심부 장기 감염
중추신경계 감염
- 혈행 칸디다증의 합병증
- C. albicans: 칸디다 원인균의 >90%
호흡기계 감염
- 혈행 칸디다증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면 칸디다 폐렴은 매우 드묾
심근염/심낭염
- 파종 칸디다증
심내막염
- 칸디다 심내막염: 전체 진균 심내막염의 67%
- 위험인자: ① 기존의 심장판막 질환 ② 헤로인 중독 ③ 항암 치료 ④ 인공판막 삽입 ⑤ 혈관카테터의 장기간 유치 ⑥ 이전의 세균 심내막염 병력
요로 감염
- 무증상 칸디다뇨
- 칸디다 요로집락의 위험인자: ① 항균제 사용 ② 요로카테터 유치
- 소변 배양에서 칸디다가 확인 되어도 별다른 치료 없이 균이 소멸됨
- 다음과 같은 경우 방광염, 신우신장염, 신유두괴사, 신장주위농양 등 초래 가능
- 당뇨병, 요로결석, 요로 폐쇄가 있는 환자에서 칸디다가 소변에서 계속 배양되는 경우
- 방광 내 진균덩이(fungal ball)가 있을 경우
- 칸디다 방광염: <위험인자> ① 요로카테터의 장기 유치 ② 당뇨
관절염, 골수염, 늑연골염, 근염
- 근골격계 칸디다 감염: 매우 드묾
복막, 간, 비장, 담낭
- 칸디다 복막염: 복막 투석, 위장관계 수술, 위장관 천공 후
- 간비 칸디다증(hepatosplenic candidiasis): 면역저하자
혈관염
- 혈관 카테터 사용과 연관 의한 경우
안구염
- 칸디다 안구감염: 혈행성 전파, 또는 안과 수술 시 직접적인 접종
- 안구내염(endophthalmitis), 망막병변(망막 박리, 유리체 농양)
파종 칸디다 감염 증후군, 칸디다 혈류 감염
- 파종 칸디다 감염은 다음과 같은 경우 주로 발생
- 암환자, 특히 급성 백혈병환자
- 심장수술 또는 위장관계 수술 후 합병증이 동반된 환자
- 화상환자
- 고형장기 이식환자
- 저체중신생아
- 주요 파급 장기: 신장, 뇌, 심근, 안구 등
진단: KOH 도말검사와 배양!
- 점막/피부 칸디다증: Wet mount, KOH smear (pseudohyphae 관찰)
- 전신 칸디다증: 배양검사
치료/예방
| 1차 치료제 | 대체 치료제 |
복부 감염 |
|
|
골/관절 감염 |
|
|
중추신경계 감염 |
|
|
안구내염(endophthalmitis) |
|
|
요로감염 |
|
|
백선감염(Tinea infection)
피부 - 백선감염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참조 "피부 - 백선감염" 참조
참고자료
[칸디다증(Candidiasis)]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925-940
- Fisher JF, Sobel JD, Kauffman CA, Newman CA. Candida urinary tract infections--treatment. Clin Infect Dis 2011;52 Suppl 6:S457-466.
- Pappas PG, Kauffman CA, Andes DR,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Candidiasis: 2016 Update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 Infect Dis 2016;62(4):e1-5
- Pappas PG, Kauffman CA, Andes D,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andidiasis: 2009 update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Clin Infect Dis 2009;48(5):503–35.
- Pappas PG, Rex JH, Sobel JD, et al. Guidelines for treatment of candidiasis. Clin Infect Dis 2004;38(2):161–89.
- Bariteau JT, Waryasz GR, McDonnell M, Fischer SA, Hayda RA, Born CT. Fungal osteomyelitis and septic arthritis. J Am Acad Orthop Surg 2014;22(6):39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