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es, HPVs) 감염


목차
  •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es, HPVs)는 피부 혹은 점막 상피세포에 감염되어 무증상으로 남을 수 있으나 사마귀, 다양한 양성 및 악성 종양과 관련됨. 특히 여성 자궁경부암과 연관됨

 

 

 

개요: 병원체

Papillomaviridae과의 Papilloavirus속에 속하고 라틴어 “papilla(유두)”와 그리스어 “-oma(종양)” 에서 유래 

  • 이중 나선 DNA 바이러스, 직경 50-55 nm 의 외피가 없는 바이러스
  • 100가지 이상의 유전형 존재, 캡시드 단백질 L1의 유전자 염기서열에 따라 분류
    • 유전형은 특징적인 임상소견과 연관
    • 40여 종이 성접촉을 통해 항문이나 생식기 주위 감염 유발 
    • 자궁경부암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고위험군

저위험군

HPV 종류

  • HPV 16,18
  • 그 외: 31, 33, 35, 39, 45, 51, 56, 58, 59, 68, 69, 73, 82
  • HPV 6, 11
  • 그 외: 40, 42, 43, 44, 54

관련 질환

  • 자궁경부암, 질암, 외음부암, 음경암, 항문암, 구강암, 구인두암
  • 저등급 자궁경부세포이상, 생식기 사마귀, 재발 호흡기 유두종 

 

 

 

임상양상

  • 병변의 위치와 바이러스 형에 따라 임상소견 결정
  •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지속적인 감염 시 다양한 질환 유발: 항문 및 생식기의 사마귀,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 자궁경부 전암병변, 자궁경부암 등 

HPV의 임상양상

사마귀

호흡기 유두종

종양

  • 보통사마귀
  • 발바닥사마귀
  • 편평사마귀(verruca plana)
  • 항문생식기사마귀
  • 소아: 쉰 소리, 협착음 및 호흡 곤란 등 → 생명 위협가능
  • 성인: 대개 더 경미한 양상
  • 자궁경부 형성이상
  •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 전암병변)

 이미지

 

 

 

진단

  • 육안으로 보이는 사마귀는 병력과 진찰소견으로 쉽게 진단가능
  • 질경 확인(질, 자궁경부 병변) + Pap smear (HPV 확인) ± 생검(지속되거나 비정형 병변)
  • HPV 존재 및 유전형 확인(현재 진단의 표준): HPV DNA 증폭(PCR), 교잡법(hydridization)
    1. HPV DNA 직접 확인법: liquid hybridization (Hybrid capture system)
    2. 특정 DNA 또는 RNA (probe)를 이용한 교잡법(hybridization): Dot blot hybridization, Southern blot hybridization, Filter in situ hybridization

 

 

 

치료

치료원칙

  1. 관련 병변을 제거할 수는 있지만 바이러스 감염의 완전한 제거는 불가능
  2. 많은 병변이 저절로 소실
  3. 효과와 안전성이 완벽히 입증된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음
  4. 치료 후 흔한 재발

 

치료방법

  • HPV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음
  • HPV-관련성 자궁경부 병변의 치료에 집중됨
  • 생식기 사마귀와 자궁경부, 질, 외음부 전암병변에 대한 치료: 냉동요법(cryotherapy), 부식약제 도포, 전기건조법, 외과적 절제, 레이저를 이용한 절제 등


참고자료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785-796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예방접종 실시 기준 및 방법. 2017
PC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