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부진: 원인 및 감별진단
- 다양한 원인 존재
- 체중감소가 동반되지 않는 식욕부진: 생리적 변화, 의인성 원인, 기분 변화
식욕부진의 원인
|
식욕을 떨어뜨리는 약물
약물군 | 종류 |
항균제 | Ampicillin, macrolides, quinolones, trimethoprim, tetracycline, metronidazole |
항진균제 | Fluconazole, posaconazole, amphotericin, caspofungin, micafungin, griseofulvin, terbinafine, itraconazole |
항바이러스제 | Ganciclovir, foscarnet sodium, valganciclovir, telbivudine, boceprevir, ribavarin |
항파킨슨제 | Quinagolide |
근육이완제 | Baclofen, dantrolene sodium |
편두통약물 | Eletriptan, frovatriptan, rizatriptan |
심혈관약물 | Hydralazine hydrochloride, iloprost,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
항부정맥제 | Adenosine, dronedarone, amiodarone, propafenone hydrochloride |
이뇨제 | Amiloride hydrochloride |
statins | Atorvastatin |
갑상샘 약물 | Carbimazole, propylthiouracil |
TCA | Amitryptyline, clomipramine, dosulepin, doxepin, imipramine, lofepramine, nortriptyline, trimipramine |
항정신병제 | Trifluoperazine, aripiprazole, risperidone |
기분안정제 | Lithium carbonate, lithium citrate |
수면제 | Zaleplon, zopiclone |
기관지확장제 | Formoterol fumarate, tiotropium |
항염증제 | Celecoxib, etoricoxib |
체중감소가 없이 식욕부진만 있는 경우
|
체중감소가 동반되지 않는 식욕부진의 경우 생리적 변화와 의인성 원인이 가장 흔하고, 기분의 변화가 다음으로 흔합니다.
노인에서의 식욕부진: 노화에 따른 생리적 식욕저하(Physiologic anorexia of aging)
- 음식섭취의 조절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달라짐
- 순환 cholecystokinin (satiating hormone)↑
- satiety 유발하는 다른 물질 또한 증가: cachectin (or tumor necrosis factor), interleukin-1, interleukin-6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
개요
개념
-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 신체상(body image)의 심한 장애로 체중이 증가하는 데 대한 강한 두려움 때문에 먹지 않아서 체중이 지나치게 감소하는 병
- 정상체중의 85% 미만의 체중을 가지게 됨
역학
- 주로 청소년기 및 젊은 청년기 여성의 1%에서 발생
- 여성 대 남성비율 약 10:1
- 약 85%는 13-20세 사이에 발병
원인
- 생물학적 요인
- 유전: 직계 가족들에서 위험도 증가, 일란성 쌍둥이 > 이란성 쌍둥이
- 해부학: insula의 이상으로 배고픔을 느끼지 못함
- 신경화학: dopamine, serotonin 관련, 배고픔과 포만감을 관장하는 peptide YY, cholecystokinin, pancreatic polypeptide 등 말초 펩티드들도 관련 주목
- 정신사회적 요인
- 정신역동적 요인: 자신감 부족은 가장 큰 위험요인, 완벽주의 성향도 위험
-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는 능력 부족한 경우 등에서 발병 요소
- 사회-문화적 요인: 마른 체형과 완벽한 몸매에 대한 문화적 압력
진단
임상양상
- 핵심은 살찌는 것에 대한 강박적 혐오 때문에 식사를 하지 않는 것
Cf. 진단명에 붙어 있는 '식욕부진'은 사실 말기에 이르기 전에는 드묾
- 음식섭취 제한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
- 제한형(restricting type): 낮은 칼로리의 음식 섭취
- 폭식/제거형(purging type): 게걸스럽게 많이 먹고 먹은 음식 제거하기 위해 구토를 유발하거나 하제, 이뇨제, 관장제의 남용
- 그 밖에 심한 신체상 왜곡, 기초대사 저하, 무월경 등의 증상도 있음
진단기준
(DSM-5 요약)
연령, 성별, 발달적 궤도에 비추어 저체중
- 체중증가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
- 유형
- 제한형: 지난 3개월 동안 폭식 혹은 제거행동이 정기적이지 않았던 경우
- 폭식/제거형: 지난 3개월 동안 폭식 또는 제거행동(자발적 구토, 하제남용, 이뇨제, 관장 등)이 반복적으로 있었던 경우
경과 및 예후
- 일부는 단 한번의 삽화 후 완전하게 회복, 일부는 재발과 체중증가 반복, 일부는 만성적인 경과
- 평균 이환기간은 5년 정도
치료
- 보존적 치료
- 영양실조 극심하여 위험한 신체적 상태에 있으면 의학적 개입 필요(입원치료를 통한 영양 공급이 최우선)
- 전신쇠약, 탈수, 전해질장애 위험
- 약물치료
- 부가적인 방법
- 우울증이나 강박장애가 동반된 경우 항우울제가 효과 있음
- 기타
- 청소년의 경우 가족치료가 유일하게 효과가 입증된 치료 기법
- 성인의 경우 특정 치료기법보다는 식사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켜주는 치료가 효과적
식욕부진: 진단적 접근
- 포괄적인 평가: 충분한 병력청취, 진찰, 검사
- 영양평가는 반드시 포함할 것
- 식욕 측정 도구(설문지) 활용
병력
식이력
- 먹고자 하는 욕구, 공복감, 포만감, 예상되는 전구증상
- 식사의 즐거움 여부 확인
- 식사일기 작성(1-3일 정도)
- 실제적인 하루 식사량 확인, 식욕부진의 기간 및 정도 평가
- 실제 체중 감소여부, 정도, 기간 평가
정신사회력
- 혼자 사는가?
- 혼자 식사하는가?
- 최근 슬픈 일이나 생활양식의 변화가 없었는가?
- 경제적 문제나 시간적 제약 등 적절한 식사를 제약하는 문제는 없는가?
- 수면의 변화는 없는가?
- 일상생활과 직장에서 심인성 요인으로 간주되는 스트레스는 없는가?
기타 병력
- 약물복용력
- 현재 치료중인 질병 여부
설문지 활용
- 노인에서 식욕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도구들이 있음. 이런 도구들을 활용하면 식욕부진, 체중감소, 영양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
- The Appetite, Hunger and Sensory Perception (AHSP)
- Simplified Nutritional Appetite Questionnaire (SNAQ)
Simplified Nutritional Appetite Questionnaire
- 식욕에 초첨을 맞춘 평가요인만을 가진 효율적이며 신뢰성과 타당성 있는 도구
- 14점 미만 시 6개월 내 적어도 5%의 체중감소 위험 시사
1. 나의 식욕(입맛)은 | A. 매우 나쁘다. B. 나쁘다. C. 보통이다. D. 좋다. E. 매우 좋다. |
2. 나는 식사할 때 | A. 몇 숟가락을 먹은 후 배부름을 느낀다. B. 한 끼 식사의 1/3 정도 먹은 후 배부름을 느낀다. C. 한 끼 식사의 1/2 이상 먹은 후 배부름을 느낀다. D. 한 끼 식사 대부분을 먹은 후 배부름을 느낀다. E. 한 끼 식사를 다 먹은 후에도 배부름을 느낀 적이 거의 없다. |
3. 음식 맛이 | A. 매우 나쁘다. B. 나쁘다. C. 보통이다. D. 좋다. E. 매우 좋다. |
4. 나는 보통 하루에 | A. 한 끼 미만의 식사를 한다. B. 한 끼 식사를 한다. C. 두 끼 식사를 한다. D. 세 끼 식사를 한다. E. 세 끼 이상의 식사를 한다. |
A=1, B=2, C=3, D=4, E=5 점수의 합이 14점 미만 시 체중 감소 위험이 높음
신체검사
- 체질량지수 계산
- 성장기록지 검토
- 영양상태 평가: 피부주름 등
- 미각, 후각, 시각 변화 평가
- 구강 병변, 치아 상태, 턱관절 이상
진단 검사
식욕부진 | |||||||||||||
▼ | ▼ | ||||||||||||
체중감소가 동반되지 않은 경우 | 체중감소가 동반된 경우 | ||||||||||||
문진과 신체검사에서 특별한 소견이 없는 한 임상검사는 추천되지 않으며 4-6주 후 추적 관찰을 권함 | 신체검사에서 특별한 이상 소견이 없으면, 다음과 같은 검사 시행
|
참고자료
[식욕부진: 원인 및 감별진단]
- 대한가정의학회. 가정의학. 개정 4판. 진기획; 2013.
- Medlineplus. Appetite - decreased.
- Pilgrim A, Robinson S, Sayer AA, Roberts H. An overview of appetite decline in older people. Nurs Older People 2015;27(5):29–35.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9장(급식 및 섭식 장애)
[식욕부진: 진단적 접근]
- Morley JE. Undernutrition in older adults. Fam Pract 2012;29 Suppl 1:i89–i93.
-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최신 노인의학. 한국의학; 2011.
- 대한가정의학회. 가정의학. 개정 4판. 진기획;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