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한잔이란?
- 알코올(g) = 술의 양(mL) x 도수(%) x 알코올 비중(0.8)/100
음주량을 측정할 때 ‘표준잔’을 보통 이용한다. 다양한 종류의 술이 있으며 술의 종류에 따라 마시는 잔의 크기가 다르다. 그러나 술의 종류별 1 표준잔에 들어있는 순수 알코올의 함량은 동일하다.
WHO 기준과 미국 국립보건원 알코올남용중독연구소(NIAAA)나 국내의 표준잔 기준이 다르다. WHO에서는 1 표준잔에 포함된 알코올의 양을 10 g으로 정하고 있는데 반해 미국 국립보건원 알코올남용중독연구소(NIAAA)나 국내에서는 1 표준잔의 알코올 양을 14 g으로 제시하고 있다.
1 SD (Standard Drinking)=알코올 14 g (NIAAA 기준) (cf. WHO 기준 = 10 g)
|
흔히 소비되는 주류의 경우
술의 종류에 따른 알코올 1단위 기준
맥주(5%) 12oz (≒ 350-360 mL) 캔맥주 1캔 작은 병맥주 1병 생맥주 500 cc | 막걸리(7%) 1잔(250 mL) | 와인(12%) 5oz (≒150 mL) 1잔 | 소주(20%) 1/4병(90 mL) | 양주(40%) 1.5 oz (≒45 mL) 1잔 |
WHO 기준
주류의 표준잔 수 계산하는 방법
|
|
미국 국립보건원 알코올남용중독연구소(NIAAA) 기준
- 단위로 사용된 1잔은 알코올 14 g에 해당하는 양으로 맥주 1캔(350-360 mL), 막걸리 1사발(300 mL), 20도 소주 1/4병(90 mL) 정도
적정 음주(저위험 음주량)
적정 음주량 가이드라인: 해외
WHO(국제보건기구) 1일 적정 알코올섭취 권장량
구분 | 성인남자 알코올 섭취량(g) | 성인여자 알코올 섭취량(g) |
저 위험군 | 1-40 | 1-20 |
중간 위험군 | 41-60 | 21-40 |
고 위험군 | 61-100 | 41-60 |
매우 위험군 | 101+ | 61+ |
※ 술을 섭취할 경우 WHO에서 권장기준으로 제시
미국 국립보건원 알코올남용중독연구소(NIAAA) 가이드라인
표준 1잔 중 알코올 양 14 g | ||
구분 | 남성 | 여성 |
적정 음주량 | 2잔 / 1일 | 1잔 / 1일 |
저위험 음주량 | 4잔 / 1일 | 3잔 / 1일 |
14잔 / 1주 | 7잔 / 1주 | |
폭음 | 5잔 / 2시간 | 4잔 / 2시간 |
2회 / 1달 |
| |
과량 | 5회 이상의 폭음 / 1달 |
|
적정 음주량 가이드라인: 국내
2019년 7월 대한가정의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에 한국인 적정 음주량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연구팀(김종성·이사미 교수)은 국내 음주 관련 연구 문헌 14편을 분석해 '한국인 음주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서양인과 다른 한국인의 특성과 체질을 반영한 적정 음주 가이드라인을 새롭게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
한국인은 서구인보다 체형이 작을 뿐 아니라 알코올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H)' 유전자의 비활성형이 많아 알코올 대사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잘 분해하지 못한다. 소량의 음주에도 얼굴이 쉽게 빨개지는 사람은 바로 이 알데하이드 분해효소의 활성이 유전적으로 낮은 경우에 해당하는데 서양과 다른 한국인 특성을 고려해 적정 음주량 기준을 새로 제정할 필요성이 있었다.
Subjects | Weekly drinking thresholds (drinks①) | Maximum drinking per session (drinks①) | ||||
NIAAA | Korean | NIAAA | Korean | |||
Non-flushers | Flushers | Non-flushers | Flushers | |||
Men ≤65 y | ≤14 | ≤8 | ≤4 | ≤4 | ≤3 | ≤1.5 |
Elderly men >65 y, women ≤65 y | ≤7 | ≤4 | ≤2 | ≤3 | ≤2 | ≤1 |
Elderly women >65 y | NA | ≤2 | ≤1 | NA | ≤1 | ≤0.5 |
NIAAA,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NA, not applicable.
① 1 drink = 14 g alcohol: 1 can of beer, 1 small bottle of beer, 350 mL of draft beer, rice beer 300 mL (1 bowl of rice beer), wine 150 mL (1 glass of wine), 20% Soju 90 mL (1/4 bottle), and 40% liquor 45 mL (1 shot glass).
- 여성의 적정 음주량은 남성의 절반 정도 → 여성이 남성보다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농도가 낮고 체수분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같은 양의 음주에도 더 높은 혈중알코올농도를 보이기 때문
- 술을 마셨을 때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은 해당 성별과 연령 권고량의 절반 이하로 음주량을 줄여야 함
- 폭음 기준도 새롭게 제시 → 65세 이하 성인 남성의 경우 1회 최대 음주량이 3잔을 넘으면 폭음으로 간주할 것
위험음주
음주상태를 지칭하는 용어
위험음주
- 주된 사용하는 기준
- 미국 국립 알코올남용 및 중독연구소(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NIAAA) 기준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기준
- 음주량과 음주 습관에 따라 적정음주(moderate drinking), 과음(heavy drinking), 폭음(binge drinking), 위험음주(미국 NIAAA에서는 at-risk drinking, WHO에서는 hazardous drinking), 유해음주(harmful drinking) 등으로 규정
- 대부분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가 위험음주자에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위험음주를 정의할 때는 알코올 사용장애의 전(前) 단계를 칭함
※ 간단히 정리해봅시다!!
|
위험음주의 정의(NIAAA)
Moderate drinking
Heavy drinking
Binge drinking
At-risk drinking
|
1 standard drinking = 14 g
NIAAA: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위험음주의 정의(WHO)
Hazardous drinking
Harmful drinking
|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참고자료
- Lee S, Kim J-S, Jung J-G, Oh M-K, Chung T-H, Kim J. Korean Alcohol Guidelines for Moderate Drinking Based on Facial Flushing. Korean J Fam Med 2019;40(4):204–11.
- Allen JP, Columbus M.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U.S.). Assessing alcohol problems : a guide for clinicians and researchers. NIAAA treatment handbook series. Bethesda, Md.: U.S.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1995.
-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1992.
- 대한간학회. 2013 알코올 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