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 태생기에 눈소포(optic vesicle)가 함입(invagination)하면서 형성된 2개의 층, 즉 안쪽의 감각신경망막층과 바깥쪽의 색소상피세포층 사이는 잠재적인 공간으로 이 사이가 떨어지면 망막이 박리됨
열공 망막박리(Rhegmatogenous) | Vs. | 비열공 망막박리(non-rhegmatogenous) |
일차망막박리(primary retinal detachment)
|
| 속발망막박리(secondary retinal detachment)
|
|
|
|
임상양상
전구 증상 |
|
↓ |
|
증상 발현 | 시력 장애
|
↓ |
|
오래 지속되는 경우 |
|
진단
- 망막박리는 쉽게 진단할 수 있지만, 열공 망막 박리와 비열공 망막 박리 감별이 중요
- 직상, 도상검안경검사, 골드만삼면경렌즈를 이용한 세극등검사로 세밀하게 검사하여 열공을 찾아내는 노력 필요
열공망막박리 | vs. | 비열공망막박리 |
열공 부위를 중심으로 박리되고, 박리된 망막 표면에 주름이 잘 새기며 안구운동에 따라 박리된 망막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음 |
| 박리의 원인인 일차적 병변이 발견되고 삼출망막박리인 경우 망막하액이 중력에 따라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박리된 망막 표면이 팽팽하고 후극부가 더 잘 분리됨 |
치료
- 속발망막박리: 원인 질환을 먼저 치료, 때로는 망막하액의 배출 병행
- 견인망막박리: 유리체 절제술로 유리체강 내의 견인 섬유조직 제거
- 열공망막박리: 반드시 수술
참고자료
- Sung Il Kang MD. Clinical Features of Primary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According to Initial Intraocular Pressure. Journal of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9;60(5):440–6.
- Gye Jung Kim MD. Clinical Features and Surgical Outcomes of Primary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according to Age. Journal of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7;58(1):56–61.
- Park SH et al. A Case of Pigmentary Proliferation on the Fovea after Scleral Buckling f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20;61(4):428-431
- Kim JH et al. Subretinal Fluid Drainage through Original Breaks without Perfluorocarbon Liquid f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9;60(9):859-866
- Amer R, Nalcı H, Yalçındağ N.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Surv Ophthalmol 2017;62(6):723–69.
- Wubben TJ, Besirli CG, Zacks DN. Pharmacotherapies for Retinal Detachment. Ophthalmology 2016;123(7):1553–62.
- 대한안과학회. 안과학 제11판(2017년). P258-260